견성안목 견상안목
인+연=과
마음공부자가 모양다리相을 보는가
마음공부자가 성질머리를 보는가


우리들은 너나할것없이 모두 불성을 가지고잇다
그러하기에 우리의 짓짓은 알고하든 모르고하는짓이던 다 청정부동심의작용 이라는거다
처음이나  나중이나 한결같은 청정부동심이거늘, 한걸음 또한걸음 걸을때마다 모양다리相은 다르게 나타난다 하겟다
첫걸음때는 힘이 얼마나 들엇는지 알쑤가없다
그나 두걸음 세걸음때가되어가면서 분별비교가되어 점점 힘들어져간다
12대문 문깐방을 넘으면서 갓는지 왓는지조차 무분별이어 의식치못하다가妙有
또 문지방넘으며 독毒에 취해 넘고넘으며 첩첩굴을 그습관 그대로 업집착은 두터워져가다가다
급기야는 생사로 나타난다 보는것이다
한걸음만이엇을때는(청정의묘유)그것이  약인지 독인지도 또 아는지 모르는지가 자연적 으로 나타난다이다
똑같은 하나짓이지마는 그당시 끼리족은 하나의움직임動은 이름도 성도 모르듯 그냥 바람불듯 (보시빙자바라밀행, 주되받되 그냥  움직임 이라는거다 三輪淸淨) 근까 삼륜청정행은 그대로 중도아닌가이다
사회적으로도 어느 노보살이 고생고생하며 한푼두푼 모은것을 이름도 밝히지않은채 몆억되는 돈을 그냥 보시動하는 뉴스 들엇다
누가 그랫는지도 모르게(귀신도 모르게=무주상보시=보살의수행)말이다
생면부지의 누구가 내게 묻찌도 따지지도말고 (수술비건 도박비이건) 십만원만 간절하게 간절하게 도와달라하면
줄까 말까
평소 삼매에힘이 꼬딱지만큼도 없는내가 줄쑤가잇지는 절대아니다 목에 칼 들이대면 혹 줄까나
중도행을 하지를 못한다
반드시 이것 저것이 잇게되는 분별지에 사는것이다
똑같은짓을 하여도 누군 분별지에 살고 또 누구는 무분별지에 살아간다이다
말로하자면, 첨마음 그대로~
뭔짓을해도 자연스럽지가 않는다
그나 마음공부자는 어려운 처음을지나므로써 설령 그것이 죽는것이라해도 갓난아기처럼 물불을 가리지않는다
하튼, 짓은 같을찌라도 불력없는자는 생사를 맞이허지만 불력잇는자는  미혹자가 맞이하는 허망상인 생사는 없는것 아니겟는가
불생 불멸이다
다시말해
때어나면  태어나는것에 집착하고
죽으면 죽는것에 집착한다
젊으면 젊은것에  늙으면 늙는것에 집착하는것처럼~
 

' URI休憩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방천지  (1) 2025.04.08
성질머리와 모양다리  (1) 2025.01.02
표리부동表裏不同  (1) 2024.10.11
체상용  (4) 2024.04.07
부처님되신날  (1) 2024.01.17
Posted by 獨孤老人
,

사방천지

URI休憩室 2025. 4. 8. 04:08

 

사방천지 한누리 한세상

 

사방四方= 천방지축天方地軸 하늘과 땅 왼쪽과오른쪽 안횡과 비직
이것이 잇으면 저것이잇고
양력 과 음력
하여 해를 기준하면되지만
정서상 동양에서는 대부분이 음력을 썻던것으로알고잇다
그타면 음력이 우리에게는 더 친숙한 부드러움 아닌가이다
양과 음
마찬가지이지만 마찬가지를 어느것을 사용허든 썻다한다면 그냥 써라이다
그냥이(청정부동) 아니라면 집착하는것이므로有染 어느것을이용해서 나아갈쑤록 온달이 반달 쪼각달로 로 나아가지않는가이다
하튼 집착주착염색하게되면 되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곤건滿乾坤할제 우리휴게실에서 쉬어간들어떠하리까
 누가 늙은이 아니랠까봐 글쓰기 도 힘들고 해마다 매사 귀찮키만해져간다
근데 음력아닌 양력이지만 부처님탄생일인 0408과 인연이 스쳐가는 연고로 되는소리 아닌소리로 글을 쓰며 운을띄우고잇네요
우리부처님 사워초파일 새벽별이 움직이는것을보시고  오도하시엇다 
송명경숙조 소나무가지에 이는 바람소리를 듣고 문득 어둠이 사라지듯이~
법 륜 法 輪
법의 수레바퀴(달구지의 굴렁쇠
法을굴리다 自力으로 굴리다
자력으로 굴러?
그냥지나치기 어려워 한번 쪼고간다
공산이기 고금외  空山理氣 古今外 
백운청풍 자거래  白雲淸風自去來 
하사달마 월서천  何事達摩 越西天

계명축시 인일출  鷄鳴丑時 寅日出

 

높은산의 성질은 본래 높이가없어 우리가살아가고잇는 예토穢土(티끌이 살아가는 종기(쪼그만그릇)세상살이도 하나의움직임(신구의짓業報=자업자득)은 자유자재하게 저마다의 성질을 부리며 움직이는것이다 날라다니는것이다(재주가 손오공 뺨친다)
그나 하면서도 하는고걸 모르며산다(알면 쉽다하는 용이심容易心 늘듣던야기慣聞想을내고, 어려우면 현애상 어려워 들으려 하지않으려한다)귀등으로들으며 A~또 그야기 하며 절래절래 손사레까지치며 등을보이며(하는 모양다리 꼬라지신세보이는 樣態되어 이~그) 스트레스잔뜩이된다
그타면 그타(손오공 뺨질정도로 잘헌다)
하튼간에 우리들은 자유럽게
노닌다(풍류없는곳處에서 풍류를한다 노닌다 함바없는 짓을(무위법) 한다
근데 고로케 손오공 뺨치듯 잘하며 인생살이 하지만서두 하기만햇찌 그것이 손오공 빗자루타듯하면서 고걸모르며 살고잇다
자유롭게 날쑤잇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라기만햇찌 이미 그러함은 쌔까맣게 모른다 이다
보고 듣고 아는 생각에 집착하며 중생노릇 하는것이다
내가짓고 내가받는다
지금 쓰고잇는 글이 유익한글(=부처님 말씀은 무가보 라고 한다)이라하나부다
그타하더라도 모양다리相에
익숙해진 습관업짓을 할까 자기성질죽이고, 하나성질을 바로보고들어 귀쭁끗해도 잠시일뿐 금방 모양다리相에 집착되어 까먹는것이겟다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다
많이 배운이들도 마찬가지라 장담해본다
하튼 相에 집착마라 소리相이나 보이는色相은 허망상虛妄相쫒는것이므로(한로축괴) 하던짓 멈추고(=계와 정 그리고 혜=三學) 으로서 바른 안목으로, 직면한 色聲에 집착하지말고 첨힘 오지게 힘들지만 힘들어도 그러케 말어붙이는거다
치과에서 이 치로할때 치과선생님 에게 자주듣던말
침 키지않은상태로잇어요 처럼       그대로 계속 밀고나가는거다
하튼 이제 첨자(발심자)는 힘들다
안하던짓 하려니 힘드는것 당연지사이다
와 그래야하나? 
들은유익한말 까먹지않으려면 그런거다(남아잇는 물 쏱아 버리고 쌔물 담듯이 ~  (그타구 독고인 궁상짓하는 짓일찌는 몰러두, 청소한답시구 먹다남겨논 커피  또 버리지않은 꼬바리 막버리지 맙시다)
첨만 그치 날이가고 달이갈쑤록 그려운것이 어려운것이 아니요 그토록 스트만 쌓이고 절레절래 몸서리치듯함이 부끄러졋다
獨孤人만 그런건진 몰겟찌만
하튼 이런말 실천證明 하자면  그트라 이다
하여튼 나는 나대로 너는 너대로 스스로 웃엇다 울엇다 또말하자면 부자건 빈자건 스스로 좋아하고 스스로 처량해지더라  이다

현애상懸崖想을 내지 마라.
들어도 모를 것이라고 지레짐작하지 말라

관문상(을 내지 마라. 
늘 듣던 얘기려니 하고 소홀히 듣지 말라. 
가는名짓꺼리(動움직임)
우리들은 좋던싫던(주관적이든 수동적이던간에 불자건 아니건 남자건 아니건 깨달앗껀 아니건 살아가고잇다)
석가불or 미륵불이 오셧던간에 우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수도修道의 길을 자기만의 유일무이唯1無2한(1/팔십억)성질머리가 움직이고잇다
지멋대로 그러하면 그러한(그면그타)자유롭게 움직인다 (가고자하면 가고 오고자하면 온다=자기 맘이다) 白雲淸風흰구름 맑은바람 自去來 스스로 오고간다

 

집착중생(보고 듣는집착중생 肉眼目중생) 하는일마다 집착하고 집착하여 설상가상이되어 두터워일을 두터워진 눈송이 눈떵이되어
근까 눈볼때마다(디딤돌삼아 일되고 또 집착하여 또집착하니 갈쑤록 굳어진다이다
이것이 한번 독화살맞고 또 맞아 생기는 이성질머리가 움직엿다하면 또같은짓을하는줄은 꿈에도모른채, 相에집착을 더해가는것이 한번相이다가 또하면 두번相되는업장業障은 디딤집착하며 네번 다번만 열번 백번이되는 허망相으로 살아가는 우리중생살이 결국 죽는다고 그습성업까지 죽을까이다
결국 습성이 또짓고 지는짓꺼리가 없어지지않는한 어찌윤회치 않으리오
윤회가 잇니 없니 따지는것이 윤회하면서 윤회하는줄 어찌알겟으리요
하면서도 하는줄모른다
모르는게 뭔자랑이라고 잇니없니 하니안하니하는것이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며 모양다리만 굳어져간다 하면서 하는줄 모르고 다람쥐챗바퀴를 돌리는것과 뭐가 다르리요
行行本處 至至發處
해도해도 처음그자리 이르고 이르러도 출발한 그자리
다람챗바퀴도는것과 뭬가 달라 다람보고 수고하는다람쥐 누가 어리석다 하고잇는가
자기허물보지못하고 남탓만하는구나
또 적어야하나
일보짓꺼리일뿐이다
일보짓의 모양다리만 집착앓음으로써 두번세번 하고잇따
하나인 것을 해도모른다
앓음으로 보고 아는것이 집착독짓을 해서 그치,=그날이 그날인거지
시시때때로 번해가고잇는것이다(인생살이가 무상한거다 항상치않은거다)
것두 모르니까 헌다는짓이 백년도 못사는데 천만년 사는양 하는것이
수자상壽者相 이어 수자상이잇으면 참된수행보살자가 아니다
변해가면서 변해가는줄 모르는것은 집착산물인 생각짓을 하는 까닭이겟따
돈 명예 지식도 많으면 좋다
그나 이에 집착하느니 환지본처하는것이 보살수행자이지,수행화합승이 재산많기에 집착하고 지식명예많키에 집착이어 짓짓이 투성인것이된다
그거 죽어가는 일보 이보 변해가다보면 결국 소멸되어가는줄몰고 소멸되지만 성의그림자相만 쫒던습성만 왕성되어 윤회하는것이겟다

 

앓음지식을 죽이듯殺佛殺祖도 죽여 천하를 안정되게하리라
불조조차 신명을잃엇으니 흐르는 물은 다리밑을 지난다
綠水는 岩前去 流水過橋來
푸른물은 바위앞을 지난다

흘러오는 물은 다리밑을 지난다 다리는 흐르고 물은흐른다
중생 알아봣짜 한계가 잇는것이다
밑底없는 鐵船을 타고 구멍없는 피리無孔箸를 불어댄다
제주 돌하루방이 웃고 石女가 아이를낳고
木人이 노래부른다
달마가 서쭉을떠나 동쪽을 향한뜻이 무엇인가?
푸른물은 바위앞을 지난다
독화살의비유比喩
독화살 한번맞앗을 그때
맞은것을 디딤삼지마라
이미 맞앗을진대果 지체없이 뽑는것이 급선무다
첫번째 맞은화살 그래도 덜깊이 맞앗껀만 두번째맞은화살은 깊다
한번맞은일을 디딤삼앗으니 (한번맞고 과보로써 누가 쏘잇는가? 죽어가고잇는데 뭔소리하는거여?
누가 쐇는지 알면 화살이 뽑힌다여? 그러는사이에도 더깊쑥해진다
일이 이가 되고 또 삼이되어 두터워진다 움직일쑤록 깊쑥해진다는것을 알아채야한다

늪수렁에 빠지면 그후 움직일쑤록 더 빠져든다
우리는 움직인다
안 움직지 못하고 (가만잇찌를못하고) 옳은말是 그른말非을 자꾸만 할쑤록 분석하고 따진다
두두물물이 한강사수(한강의 모래수)많은데 그거 헤아려봐야 어디다 써?
하는짓보구 척 알아먹으면 (성질머리를 보면)만가지 모래알의 탄생연고를 알쑤잇는것이다
처음부터 山이던가
빈산이 자꾸 오물티가 밀려오니 쌓이고 쌓여 高山이지 마치 成住壞滅 흥망성쇠 춘하추동相 희노애상名色果하는 것이 자연의 섭리이겟따
기쁘고 슬프고 하는것이
덥고추운것이
덥고 추운것의집착 일 뿐이지 심집착의소산이지
그것이 습성의소산집착할 뿐이다
심수만경전 전처실능유
수류인득성 무희역무우

 

인因+연緣=과果
과果~역관逆觀=묘유妙有
반조返照~득성得成證明
무희無喜 亦 무우無憂
기뻐해도 그때뿐  쫌잇다 (번개번쩍 잠깐이듯) 기쁠것도 또 마찬가지루 슬퍼해도 쫌잇다 슬픔도 없다
왜그럴까
생겨먹은것은 반드시 멸하는 제행무상諸行無常
생겨난것은 반드시 멸한다 변變하기 마련이다
천평저울이 生(고高 나는것이 담기면) 한쪽은 반드시 하下 낮아진다 기울어진다
그것이(기울기가) 바른평등平等 평탄한거다 한거다
기울기가 없어도 잇어도
이래저래 평등이라 허겟다

다만 희우喜憂에(기울기에  집착하므로서 애愛증憎 부자 빈자가되어 살아가드란다
그나 집착하여 기쁘고 or 슬프더라도(=기울기), 이것이 바른평등이라는것을 안다면覺 집착무착이 몽땅 평등이라는것을 증명證明해 보는것 아니겟는가이로소이다
하느님 부처님 증명하여주시옵소서?
내가 행하고잇음을 즈영하여 보여주소서~
내가짓고 내가 받는다
자작자수自作自受
내가창조하고 내가 맞이한다
개구리도 그리고 비양도 그리다 누가?
내 생각이~
그리고 그 그림을보고 마으에 든다 안든다 분별고分別苦 늪에 빠진다
부처 하느님도 구제할쑤없는것이다
참 창조주 오로주 나 만이 보고들어 어긋남邪見에서 벗어날쑤가잇는것이다
하튼 한생각한생각이 던져지는것을 째려봐라
구시화문口是禍門 애愛좋은화살 憎싫은화살이 입口을통해 날아간다
근까 집착없는화살 빈화살을 쏘아라(무색시無色矢)생활인으로써 안쏠수는없다
쏘지만 걍~쏴라 빙자바라밀행
행行하지만 한바가없다
밥을먹어도 걍(=청정심)먹고 졸려 잠자도 걍자라 말해도 걍 말해라
그면 그것이 행한것인가 잔것인가 아니겟는가
도야지안목으로보면 보이고들리는것이 싸그리 도야지안목 투성일 뿐이겟다
부자富者가좋아 빈자貧者실따 그타면 무착無着=걍~행行하여라
안쏠쑤는 없으로 쏘긴쏘되 걍無色無聲~쏘라
바라밀행 도피안 부처님팔만대장경을 설하셧지만, 한마디도 설하신적이 없엇다 오리발아닌 오리발을 내미셧다오
집착이면 미혹중생迷惑衆生
무착이면 지혜부처智慧붓타
중생=부처
강남에서는 귤이라하고
강북에서는 탱자라 한다
좋은것은 좋아하는것이고
싫은것은 싫어하는것이다
물을 마셔본자만이
물의 뜨겁고 찬것을알듯이
좋고 싫은것은 맞이해본자만이 어쩐지를 알쑤가잇는뱁이다
그대 덜님
인+연=과이다
해보셧는가?
말로 생각으로말고 온몸으로 말이다
한번 해보시라요
설상가상雪上加霜 이고지고

 

지리산의천년송


코로나이후 휴우증인가
점점기억력은 아물가물 몸은 점점 힘드러가고 점점 귀찮어져만간다네
혹자惑者들은 말한다
늙다보면 다 그런것을가지고 웬 극성極性 성화盛華를 부리냐고~
허기사 이런것이 다 모양다리相에 집착해온 소위말하는 자작자수自作自受 자기가 짓고 자기가 받는 업작업수業作業受요  자승자박自繩自縛이겟다
그래 우리 보살수행자덜님은
모양다리相을 잘보고 잘듣지만말고 불조佛祖님의 말씀따라 무명습관성질머리를 자알 살펴省察 버르장머리를 알아먹어 반야지혜안목을 갗추워야않켓는가이다
힘들고 귀찮은것이야 변變하는것이요 살아가는것이어니 가는길 힘들고 귀찮은 모양다리相에 집착만하며 나두 한때는하며 이미지난일 부뜰어봣짜 번갯불에 콩볶아먹듯 잠시잠깐  망상피워봐야 업만 더 두터히 할뿐으로 한숨은 깊어만간다네
이것이 중도의 길이 아닐진데 이환치환以幻治幻으로, 신구의身口意를 가만히하여, 색色을 빼고(씻고) 성聲을(씻고)빼는 수행修行의길을 가고가다보면 중도中道의길을가는 보살수행자의길을 날마다 또날마다 걸어갈뿐~ 인가봅네다

 

 

마음청정 국토청정

요즈음  맞이허는일마다가 어수선하다
근까뭣이냐 온라인에서 구매한것이 생각햇떤것과 다를때가 잦아진다는 사실이다 수도꼭지에끼는 파이프가 그코 태양열판으로 움직이는 사소한일부터 가깝게지내던 지인이 복숭아뼈가 부러지는등등의 사껀사고가 독고노인의 마음을 어지럽히고잇다
얼마전 무거운것 들어내다 팔에서 뚜둑소리나더니  늙은어깨가 아프구잇다
일련의사껀사고가  다 살아잇으니 겪게되는(證明되는) 대소사이고보니  살아잇음에 감사하라허니 희노애락에 
경끼驚氣를 일으키지 말아야허지않켓는가이다
기뻐두 슬퍼두 부자이건 빈자이건 다 감사해야하겟다
생활이 그대를 속일지라두 슬퍼하거나 노하지마라
苦盡甘來 괴롬이 다하면 좋은날도 가만잇지않으므로 평등화 안정화의 움직임도 반드시 찾아올지니 날마다 시시때때로 늘함꼐하는지금을 사랑하잔다


여하튼간에
우리가 살아가고잇는 이곳을 예토穢土라고한다
티끌세계라는것이다
티끌세계에는 티끌이산다
본래 티끌세계가 아니라 살고잇는 우리들이 티끌이기에 티끌세계인것이라본다
우리가 청정하면 우리가살고잇는 세계도 청정세계 청정국토가된다는것이겟다
천당? 지옥?이 먼저잇는것이 아니구 우리의짓거리에따라自作 천당세계 지어지고 지옥세계 지어지는것自受이라는거다
업보業報 業因果報의 준말이 業報이다
업인과보, 권리에 따른 의무라 헐수잇다
권리가없으면 구태여 의무도없다
권리權利=의무義務이고 의무=권리라허겟다
바꿔말해 愛와 憎이라 하는것이다
알고햇던 모르고햇던
하엿으면有爲 그에따른 과보가 따른다는거다
우리가 살고잇는것은(하고잇는짓 行爲) 과보살이 이기도하고 또 업인(習慣)짓이기도하다
알던 모르던 하는짓이 잇냐 없냐 유위냐 무위냐이다
유위이면 짓짓이 모두 업인이되어 피할수없는 과보를 부른다
생자필멸生者必滅
우리의행위가 선인락과  악인고과 자작자수自作自受자기가짓고 자기가받는다
지금하는짓이(괴롭다 즐겁다) 그렇타라는것이다
말에 떨어지지말고 이거다 저거다 조타실타 말한다는것이다
이것이 잇으므로 저것이잇고
저것이 없으면 이것도없다
이것저것이라 는 그것이 그것이 아닌줄 알면서도 필요악依他的으로 사용한다는것이다
내리는 비가雨 말로하는 비가 아닌데두 단지 필요하다는 이유로써 악행惡行을 저지른다는것이다
점점 눈떵이 불어나듯 습관업떵이는 불어나는것을 업짱이 두터워진다 하는것이겟다
업장業障이란 바로보는 지혜안목의 장애물(걸림돌)이라는거다
악행의 우두머리가 마구니無明인것이다
악행을 저지르니有爲 응당 따르는것 과보이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면서
몸짓 말짓 생각짓을 하고잇는것이 바로 그것 이겟다
그러니 눈깜빡 입뻥긋 생각곰곰짓을 여윌줄모르고 저수고로운줄도 모르고
우쭐대며 제흥에겨워 제멋에 살아가고잇다 허겟다
하던짓 멈추고 止
살펴보라 觀
이것이 요새 유행하고잇는 명상冥想이라하겟다
근까 왜 명상을 해야만허는가
필요악을 필요악인줄 알아야
마구니에게 끌려가지않고
내가 가고프면가고 아니면 안가는 주인공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고자함 아니겟는가
종奴隸살이이기보다는 주도主導살이야말로 자유자재 아닌가헌다
그나 생각만앞설뿐 습성이 그러한걸 어찌한단말가
일련의 일들을 깨달아야만 업장소멸이되든가말든가이겟꼬 깨달음이라는것이 꼭이 이래야하겟다는것보다는 시시각각 맞이하는 사사껀껀의 크고작은 일들의  원인이 여차저차하여 이러케된것이라는것을 바로 알쑤잇는 지혜안목이지 꼭 어때야한다는 아니어니  함이(하고 안하고 하는것이) 자기 마음먹기  달렷다
우두머리가 움직이면 쫄다구 그림자수레는 따라오기마련이겟다
하튼간에
우리는 저지른 악행을 멈추고止(持戒 필요악행의소산을 싸그리 몽땅 해야한다 근까 일체짓을 말어야한다 오백계? 대표적인것을 고른것이다 한강사수(한강모래알수보다)보다도 많치만 말이다)
하여 계를 스승삼아라하는것이고 그리고 정定에들어 잇는그대로보고듣는 반야지혜안목을 갗추어라 이겟다
定=慧  상응관계이어 상입상조相入相照 서로비추고 비추는관계이어 定慧雙修 함꼐 동시라 하는것일껩니다
분노하라 그날의악행을~

 

윤회輪廻

인因이 움직여 도달한곳을 과果라하고 과가 움직이면 인이라한다

다람쥐가 챗바퀴를돈다
보는데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
어떤이는 다람쥐의짓을보고 어떤이는 돌고잇는 챗바퀴를 본다
다람쥐를보매 늘 한부분만을 딪고잇을뿐이요
챗바퀴를보매 다람쥐가 디딘발자국투성을 보게된다
한로축괴韓獹逐塊
사자교인獅子咬人
타성에젖다
인因+연緣=과果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인연법칙을 따른다
의식주衣食住
생활을위해 의식주를 해결키위해 사회활동을 하는
우리는 함꼐 어우러지므로해서 원활해지는것이겟다
우리생활이 타성력적他性力的이어 예토살이를하지마는
늘상하는 자성력적自性力的으로써 살아가고잇음을 직시直示할것같으면 사사껀껀에 집착하는생활에서 무착하는 생활이 늘상의안온한살이인것을 믿읍니다
번뇌의생활그대로가 보리의생활이어 각覺의光明의 상응하매 백일하白日下
에 드러나는것이리라

이유일유二由一有일역막수一亦莫守
하나 둘 셋 넷 은 하나가 잇으므로 말미암아 잇는것이니(잇으면 또는 보이거나 또는 들리거나 하면 모두가 모양다리相이어니) 처음 하나相에 집착하지마라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드러나는 모양相은 집착하므로 드러나는것이므로, 망녕된 모양다리相으로 주인공을 구求하고저 하는이는(마음공부를하는이는) 삿된길을가는것이므로 결코 여래를 보지못하느리라
근까 허망상虛妄相을 짓지마라 하시엇느니라
이말씀을 알아먹기가 힘든것은, 무명습관업이 두터워(업장이 두터워 업력의노예되어 끌려가는 수레그림자신세되어)그러한것 알기는햇찌 보지는못하기때문이라 허겟읍니다
소가 나아가지않을때에는 소牛를 때려야허겟는가 수레를 때려야허겟는가?
안다는것은知識은 이것과저것의 만남으로 드러나는 허망상이라
야반삼경에 문빗장을 만져보아라 -경봉스님-
그면 뭐가 드러나는지요

말 이어보면, 하나 둘 셋 . .
모양다리相은, 옛말에 삿邪된것은 시종始終이 잇다
처음이잇는것은 마지막이 잇끼마련이라는거다
역逆으로 보면 참된바른것眞은  무시무종無始無終=부동不動 청정淸淨 =늘常 이겟다
하튼간에 모양다리相에 집착말구 성질머리를 바로보아正見性하여 무위無爲로써 有爲(中道)를 살아가라 말씀 하시엇느니라

둘 셋. .은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므로써 근까 그시작인 하나에 집착하므로써 둘셋넷이 나타나는것이므로
그 모양다리相인 하나마저도 지키지마라 붙잡지마라 집착마라
어차피 예토살이 진애물塵埃物 하두익숙해 실체인양 허지만 夢 幻 影 꿈 환 그림자와 같드라이다
하나 둘 셋 모양다리相이 그시작이 집착하므로 하나相이어니, 집착마라
그리고 성찰惺察하라
지관수행이다
하나에집착은 둘셋되어 유위이어니, 같은 하나이지만 무착하나이어, 유착의하나가(에) 육조혜능스님이 말씀허시는 앞생각의집착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이니라 하시엇듯이
유착의하나짓이 잇으므로 반드시 사라지는 무상無常의길이오니生滅法 

마구니무명세계에서 벗어나 무량무수의 여래세계로 나아가라
늘상머리가 설사 둘셋 세계로 나아간다하여도 몽중사夢中事이어니, 알아먹고 삿된생각을 돌이켜(전미개오轉迷開悟)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 
제행무상 시생멸법諸行無常 是生滅法 생멸멸이 적멸위락
生滅滅已 寂滅爲樂

여하튼간에  견성성불見性成佛  하라
이것이 실다운 마음공부 아닌가이다

 

보시 와 자비 菩施와慈悲

보시는 내가 너에게 무엇을 주는것이요 자비도 내가너에게 주는것이지마는
慈愛는 물론 悲哀 이것도 저것도 함꼐할수잇는것은 모두 주는것이라 헐쑤잇다
보시도 자비도 행行(주지마는)하지마는 시물施物도 시자施者 수자受者도 그냥주워야지 그냥이지못하고 어떤조건條件 주된일 보시자비일뿐이지 主된일에 雜스러운 조껀없이(= 순수하게 청정하게 (萬里無雲 萬里天 사방천지에 구름이 없으니(알음一念앓이를 내지生않으면=일념불생 만법무구一念不生 萬法無咎) 한생각 내지않으면, (태양이 만물을 비추지만 비춘다는 생각없이 비추듯)냉정하게 보시한다 그래야 바른보시행 이라는것이고 그때 보고 아는것이 바른지혜라고하는것이겟고 또 하고잇는바 올씨다) 그대로가 하늘투성뿐이로다)조건없이 주어야한다는것이다
이를 삼륜청정이라한다 무량자비심인것이다
우리생활이 움직이며 줄뿐 움직일뿐~
부처님은 구래부동舊來不動 名爲佛이요 중생님은 자동거래自動去來 名衆生이라네

두두물물이 모두가 하나같이 청정하여 다르지않으니 색즉공色卽空이요 공=색이려오
마음공부라는것이 깨달아 무엇을이루고 아니고는 차치하고 이것이 무엇이던가
하는 무엇인가를(존재이유가 무엇인가)바로보는데慈悲光明 잇을 뿐이다
바로보니~
지난 모든일이 여차여차터니 이르른곳이고나 가 분명해지므로써 억울할것도 없고 기쁠것도 없는것 아닌가이다
그면 그타
또 뭐가 어떠하단 말인가?
평지풍파平地風波 안온한땅에 쌩뚱맞은 바람이 일어난다(하사서풍 동임야)
無風起浪 바람한점없는데두 물결이 일렁인다
부처님 오시지않아도 우리중생들 부처짓하며 안온하게 살아가고잇는데(부처가 중생이다 듣는터에 부처님 오시는가이다)
혹시 부처님오시지않으면 그냥 열반에드시거나 중생 구제아닌구제하시므로써 무여열반자로써의 본분을 다하려하심 아닌가이다
하여부처님 자비심을 자비낙초라고도한다
우리가 愛좋으면 좋은것에 집착하고(달라붙어) 憎싫으면 싫은것에 집착하여
멀쩡한살 면도날로 그어대며(상채기내며)통곡慟哭하누나
하면서 하지않게하려는것은 어불성설 아닌가이다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
하늘이면 걍 하늘이지純粹無雜 면도날로 긋듯이 그어대니 천상이고 천하이겟다
천평저울 걍두면 늘 그타령~ 재미없으니 흥망성쇠 희노애락 춤추며노래하며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나는좋아라
부처님 대자대비심佛行으로 중생들 윤회衆生行틋이 무풍기랑 평지풍파를 일으키시엇다네

 

방枋 과 할喝

춘하추동 희노애락 흥망성쇠 성주괴공 생노병사
가 잇다
그러나 이러한 희노애락 좋고싫은것에 집착하므로해서 愛에취하고 憎에 취하여 생활을 하고잇다
낮이잇으면 반드시 밤이잇듯이(오듯이)
애를 취하여 추구치만 동시에 증에취하여 추구하는짓이 잇끼마련 싫은것에대해서는 반사거부하게되는것이다
이것이 우리들의 생활이요 변하는것이여서 생노병사에 이르르고잇는 모양다리를 보이는것이겟다
영생을 바라고잇으면서도 맞이하는것은 죽음뿐이다
자기자신에게 속지마라

자기자신에게 속지마라
자기자신에게 속지마라

 


우리들은 무엇인가
우리의 일념하의 사건사고는 무엇인가
나도我 아닌데 나의것(사건사고인들)이야 말할것도 없는것 아니겟는가
我所도 무아소無我所 아니겟느냐
우리들의 일거수일투족이 꼭두각시 의짓 아닌가이겟다
백팔계라도 부족한 부지기수의 그계행이 몽땅 허깨비짓이어, 그계相를 다지킨다구 별뾰죽수는없다
꼭두가시짓幻行이 환행인한有爲法인 한은 하나 아니 그半이라도 잇는한은 실체주공實體主公은 알쑤도없고 없는것이라 하겟다

할과방구름을 걷어내어 모든것을 드러나게해주는 반야지혜를 갗추게하는 것이어,할 방의 진실을 알게되엇을때 불안佛眼이 열리는것이라보므로 잊지말고 꾸준하다보면 아는새 모르는새 불력을얻게되어 맹목안盲目眼이(눈뜬장님) 지혜안목智慧眼目心眼이(제3의눈) 열리는것 아닌가이어   불력佛力으로 살아가는삶이야말로 무가보無價寶라 허겟다

금오스님은 방맞을때가 그립구나 말씀하신다
죽고자하면 살것이다必卽生
하물며 自生아닌 佛祖조차도 죽여야하는것이다 佛祖喪身命
살고자하면 죽을것이다
生卽死 死卽生
다시말해 유위법이  淸淨法身이 아니라면 그환인그림자幻人影는 죽게된다는것이다
그것이 무엇일찌라도夢幻泡影 반드시 죽어야한다
근데 죽이지못하고 오히려 의타依他한는것이다依他起性
다른것에 의지하여야만 존재하는 그성질머리의 모양다리相으로써(허망상으로서는)항상함을 말할쑤잇으려오

바른안목으로써 잇는그대로를 보는것이 이름하여 지혜이다
우리들이 이것是이다 저것非이다할때瞬間, 이미 水中着月 멀쩡하던 달은 이그러진다
소위말해 생각알음으로는 잇는그대로 볼쑤가없다
생각으로써 어찌 생각을 볼쑤잇겟는가  눈眼으로서는 눈眼을 볼쑤가없는것처럼
지식알음으로서는 잇는그대로를 보지못하므로
잇는그대로를 본다는것은 눈이 눈을 보는것이 아니라 지혜의빛이 비치고 그에 나타나는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반야지혜라고하는것이며,
無邊虛空 覺所顯發 갓없는허공도 반야지혜로써 드러나는것이겟다
하튼간에, 우리의 모든짓은 의타기성의 껍데기가 움직이는것을 바로보고, 짓짓이 나타날때마다 집착하지말고 바로보아야한다(바로보지못할때마다 방망이가枋 날아오는것을 알아야하는것이므로, 이를 알때(알림이 울릴때) 아차하고 모든짓에집착하는 자신을 보게되는것이 반야지혜안목 아닌가이다
짓짓에 집착할때마다 날아오는 방망이의 아우성(악다구니), 번쩍色 딱聲 번개를 친다)
다시말해 성질머리의 껍데기인 모양다리相에 집착하여  또말해 바로보고 바로 듣지못할때 또말해서 전오식에 집착하는 제육식의짓을 할때마다 念起卽覺 날아오는 방망이가 뒷통수를 내려친다는것을 번쩍 깨달을때, 비로써 좋아도 또 싫어도 집착하지않는것이 늪에 빠지지않는 한번 더말해 좋고싫은것에 미혹하지않는것이 바른 수행이아닌가이겟다

모든 사람을 사랑하라
특히 똘스토이의 말처럼 지끔 내 앞에잇는(좋튼 싫튼) 사람을 늘상(=자꾸지금=항상)사랑하라
내앞에잇는사람
술주정뱅이 이건 꼴초이건
자비의 마음으로 대하라
좋은사람은 말않해도 잘하니 더 말할것이 없으니 싫은사람도 사랑하라
왜냐 그들은, 
스스로의 뒷통수로 날아드는 방망이를 알지못하고, 집착을 일삼는 나를위해 할 방을 하며 보여주는 깨달음의 도깨비인 역행보살逆行菩薩인지도 모른다
하튼 늘상 방망이를 잊찌마루
사랑도 좋다 또 친구도좋다
하며 좋은것을 향하여 나아가는 하여 습관업은 잔뜩두터워져, 급기야는 막껄리 따라주는 샥씨가 더좋터라~엥헤야
자꾸 소금물마시면 당장은 어쩐가 몰겟찌만 갈증 갈애는 심해져만 가는 길아닌길을 떠나야만하는 방랑삼천리
언제 멈추려는가 
살펴보라

아무리 좋은말(문설장구)일지라도 집착하지 말라(말에 떨어지지 마라) -(뒷통수에서)

 

 

유여열반有餘涅槃 무여열반無餘涅槃

이른바 큰스님 돌아가시면 열반에 드셧다 말한다
무슨일이건 우리의 한생각이 그 일(열반)을맞이할때도 청정심으로 맞이해야할 일 보시빙자 바라밀행 이어야한다이다
한마디루다가  뿐 일뿐(계합 두손모아 하나손이루듯 화합和合하듯 하나아닌하나 일뿐~)
해탈 해탈 누가 갇어노치두 안앗는데 무슨해탈이런가
마찬가지루  무슨열반 이겟느냐
우린 필요악을 씻어내는 수행자이다
하튼 열반은 죽어서만이 아니라 살아서도 무여열반에 드는것 아닌가 하는거다
우리중생세계 예토 사바세계이다
보살이 사는세계는 어찌됫든( 상황근기따라 정情의유무有無)깨달음의세계 열반의세계이라할수잇다
특히 지장보살님이 한사람의 지옥중생이 남아잇는한 성불치않겟다는 대원력도 어쩌면은 바른열반無餘涅槃의 모양다리상  모습아닌가하는 지론持論  이외다
(어떤것으로도 표현할수없는 열반처 어차피 필요악語라면 비유로서라도 피력해본다면, 유여열반은 일념의 의지함이 남아잇는것이고(의타적이고) 
무여열반은  지장보살처럼 해도 함바없는 중생구제행이 무여열반無餘涅槃(열반처가 비엇다) 아니겟는가 허는거다

열반처는 비어잇다
왤까?
우리가 마음공부를 함에 계戒를지키므로써 우리들의 행행行行마다마다가 유위법有爲法임을알아 계를지키고 또지키고 자꾸지키어 행행본처 지지발처 行行本處 至至發處 짓짓이 계행투성이 되어 (오직 계행뿐일때)무엇을해도 유위법이 유위법일쑤만은 없기에 굳이 유위법이니 무위법이니 구분지을필요가없으니 지어논 유위 또는 무위라는 이름지음이 오히려 멋쩍지 아니한가
지켜야할계持戒가 잇으면 곧 파계破戒가 된다(파계라 이름한다)
낮과 밤이라는 이름도 마찬가지이어 낮이 낮이 아닐 뿐일때  구태어 낮이라는 이름作名이 쑥스러워하는 판국에 밤은 잽싸게 자취를 감추지않을쑤없을제
유위 무위는 화합되어지는 길을 향해가는 계행수행자戒行修行者는 어디를 향하여 가야할껀가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
하나의길을 향해가는것이요 가는것 아니런가 
오직唯이되어 길위道上에 잇는 나我相는 계사戒士相인가 선사禪士相인가
보이고 들리고 것(모양다리相)에 집착하게되어 무유정법無有定法(무구청정無咎정淸淨)과는 멀어져만간다
범소유 상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모든 모양다리相껍데기를
껍데기인줄 바로 보고듣는것을 직시직관直示直觀하면(법장비구보살
은 해탈열반처에 잇지않고(비워놓고) 중생구제처에 머물러
아미타불되듯) 여래를 만나리라

 

고집相 과 아집性

아집의 껍데기 고집
고집 부리고 싶어 부리나
자업작득이로다業因果報

일을 할까 말까(=분별할까 말까}
막상 그 일은 할까 말까를 하지않는다
걍한다(=이것이 중도행 움직임 자작자수의 성질머리라할쑤잇겟다)
근까 우리의성질머리業은 습관대로(편한대로 安定化)수월하게 움직일뿐 이다
근데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 (늪에빠진)우리중생들은
그런상황에서 할까말까한다는거다
갈까 말까 날까 말까 조을까 말까
생각난다 려사미거 마사도래
어리석은 나귀는 길을 똑같이 가면서도(하면서도)긴가민가 하고중생짓 하지마는, 영리한말馬은 간다 온다 생각하는짓 行하지않고 그냥(척 휙) 간다
간다 달린다 나른다 동동動動거린다
이것이 우리의 성질을 만들때 그렇케 만들엇끼 때문이며自作 or 業因 그리고 그렇케한다自受 or 果報
근까 자기가 만들어 구르다가(눈송이가 더하고 더해지고 더해져,굴러먹다가)
사방팔방 쏘다니다가(태생胎生이 그러하여, 생겨먹기를 그케 생겨먹어) 이름짓고作名 필요악어必要惡語짓꺼리하는거겟다
꽃名이 핀다惡語 위왕겁전부터짓 여태까지 해왓으니 어이련가
근데 하두 쩔면 당사자는 그두터움을 모르므로 이거다 저거다 가 되는것은 당연지사가 되어, 아니 뭐가 집착이여 그거 다그런것아녀 하게된다 삼국시대 때도 그랫꼬 대한민국때도 그러고 잇다고 본다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면 상없는 집착소산의천당愛지옥憎 간다
왜?
우린 생겨먹기를 그케 생겨먹엇끼 때문이겟으므로, 사방천지 가는곳곳마다 다르지않타는거다
근까 왜 독화살 독사과를 먹느냐 이다
여기서 긴요하게 생각되는건은, 이사껀사고가 그 뿐이엇다는거다
독毒이다 약藥이다 이름짓어지기전에 먹엇따는것이다
그타면 아담과 이브에서 이브가 먹은 그것은 약사과인가 독사과 이엇떤가? 이다
하느님 부처님은 아시려나?
그냥 그런거 아닌가이다
하튼 야기 이어가자면 그냥 움직엿을 뿐 그것이 선물인지 뇌물인지 누가 알어
하나의 움직임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전에는 하나의 움직임 이엇다 -김춘수님 詩에서-

내가 그의이름을 불러주엇을때 내게로와서 꽃이되엇따
내꽃이다我所相
꽃이피엇다
그래?  자작자수의 모습아니던가
어쩌하든간에 하나의 움직임은 쎙하고 나타낫다는거다
독생자獨生者(物)?
이미 문깐방을 넘는다(이말 이해하고 안하고는 안목眼目에 일임一任 헌다)
또 넘는다
독생자가 잇을쑤잇따면
모랫수를 헤아린다 = 모래로 밥을짓는다 (묘용)
여기 저기 사방천지에 쑥 쑥물이 생겨난다는거다
비유차면 허공에 나고 나야(예;뼉따구)한다는거다
독생자라기 보다는 우리는 의타물依他物이고 인것이겟다
하여 지금도 홀로는 살쑤없어 서로서로 의지해서 살아가고잇는것이 이게 다 습관업짓 이라는 말 허는거겟다
내가 힘들때 하나님 부처님에게 오체투지하며 비는것 아니겟는가 (자기를 바로봅시다)
여기가도 의타행 저기가도 의타짓 의 꼬라지 바로 나 독고노인 아닌가이다 나두 내가 아니거늘 어찌 내짓이련가

 

서산대사왈

거울들여다보며, 70년 전에는  내가 너 이더니 이제는 네가 나로구나 하셧다

경전왈 하되 함바없이하라 무위로써 유위하라 집착중독자 되어 살아가지말구 무착자되어 살아가라 하시엇느니라

 욕계 색계 또 무색계중생까지도 편안케하리라 하시엇따우

나두 내가 아닌터에는 내짓 내지 내힘이 어디잇겟는가이다(불각자(앓음자)의짓은 그것이 아무리 좋은것이라도 타력이라 하겟다)

우리의 짓짓이 타력 아님이없다는것이다 하여 분별짓말고, 바른청정자력으로서 살아가고저 한다면, 우리도 부처님같이 좌석펴고 않으심을 보이고 보여야할것이라 본다네

 

보이고 들리는것에 집착하는  이집착이 그간의 찰라찰라 쉬임없이 굴러먹은 과보이지만서두 행하면서두 행하는것을 모르기에 업짱이 하두 두터운 지끔에 이르럿구랴
나는야 멍텅구리
누가 이 멍텅구리를 아시나요
잃어버린 그간세월 어이련가

 

독고인獨孤人의 단상斷想

부처님 재세시, 불법을 딲을때는 경을익히고(부처님말씀) 계를지키며 생활을 해왓다
부처님입멸후에는 상좌부 대중부로 크게 작게
조금씩 대승화 되어간다고 볼쑤잇겟다
좀더 넓게 좀더 크게 선에 이르르고 잇으매, 이러케 저러케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버리면서捨 오늘에 이르럿다
근까 새로운것이 아니고 필요악相의 의지(인연법칙에 따라) 변한것이리라본다
그다보니 잘된것도 잇고 그치않은것도 잇게된다
탁발托鉢수행의 변하는 출가수행의 근간根幹을 흔들리게 하고잇지는 않는가이다
소금 저장은 해도 되지않켓는가를 놓고도 정법이다 삿법이다  시비是非가 일엇는데, 가짜승려의 탁발빙자 물의를 빙자하여 탁발수행법이 폐지되어(필요악아닌던가) 지금에 이르고 이르며 흘러가고잇다
보고 듣는 모양다리相의 모습은 그치만, 수행정법修行正法은 무유정법無有定法
이여 유유悠悠히 흘러가고 잇더란다 이다 삿법은 요필要必 불필不必 또 愛  憎이잇지만 바른법正法에는 중도행만 잇을뿐이겟다
法性圓融 無二相
악화는 양화를 구축하여도貌樣 진리는 그와다르지않으면서性質(보이고 들리지는않치만) 
무자성 無自性의 성질머리(名)은 유유悠悠히 흐르고
흐른다 순수무잡純粹無雜한 법신法身이 흐른다 떠잇다動

우리휴게실에서 獨孤人 書적다

 

사바세계

우리가 가정생활 사회생활을 해나아간다는것은 우리의 익어진 낱낱의성질머리로써 살아간다는것이겟다
그자니 옳턴 아니던是非  是 好 不好의 나의 개개인의 생겨먹어진 모양다리가 좋으면 좋은것이고 싫으면 싫은것이 나의 마음에 달린것 이겟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지구상에는 80억의 인류가 살고잇다
그니 인연되어 만나는 부모형제 친지  친구 등등이 서로 의타하며 살아가야함에도 불구하고 생겨익어진 성질머리는 굴러먹으면서 두터워진대가리는 아애我愛 아소我所 아집我執이 마라 어떻하면 내 뱃짱에 맞을것인가를 생각하지않을쑤가 없는것일꼐다
그러니 나름의 욕심떵이의 대소大小에 따라 그길을가는것이겟다
그다보면 내가잇으면 네가잇고 그리고 우리들이잇는것 아니겟는가이다
끼리끼리類類相從 모여 생활하지만 그것이 화합을 이루기란 쉽찌가않을것은 명약관화 하다하겟다
가화만사성 和合을 이루면 사방천지 못이룰일이 없다하지만 이게 부처님재세시에는 우두머리가 끌고가니 그를 따르는 제자들은 조튼 실튼 수레처럼 끌려가야하는것이다
부처님 돌아가시자 슬퍼하는이도 잇고 잔소리안들어 좋아하는 이도 잇엇다고 경전에도 나타나잇다
이러케 끼리끼리族도 갈라지고 또 갈라진다
생겨먹기를 그케생겨먹어 사방천지 제맘이 미치지않는곳이 없다
하튼 왜화합을 못하는가
앞에서도 말한것처럼 올튼 아니든是非 익어진 성질머리가 좋아하고 싫어하는것이 기준이되는 나너그리고 우리들이기 때문이겟다
그니 이곳穢土에서 화합을이루고 살려한다면, 참야야만하는것이요 그래야만하는 감인토堪忍土 or 인고토忍苦土  근까 서로서로 의지해 살아가고저한다면 서로서로가 익어진뱃짱에 안맞아도 감내堪耐하며 그감내가력을 키워가며 살고지고하는것이라는것이겟다

쫌은 속상하고 속상으로써(속 안상하려 하지말고) 살아가라 하셧느니라


그자면 이것이  내성질머리가 어떤지를 알아야 참던말던할것 아닌가이다
아는것을 방해하는것이 업짱(업의두꼐力)이다
업인과보살이 하는 처지에 그것이 자업자득인줄을 알기란 이게 좀처럼 쉽찌가 아닌것이다
그래도 불짜님들 복이많아 흔히 듣는 말이지마는 비불자님들에게는 그건 끼리족들의 일이라 치부置簿해버린다 이또한 낱낱의 성질머리가 그렇케 존재한 과보물건이기 때문이리라
생겨먹를 그케생겨먹고  오랜세월 계속반복하며 지내왓으니  짓짓이 잡싸게 집착력잇게 마음대로 간주하게되더이다
너무빨리 간주해버리므로 그게 그면 걍 그런거지 무얼 쫀쫀하게 따질꺼리인가 이해가 안되는것 당연지사이어니, 그건 종교인의 동아리內에서라도
성질머리를 바로알아, 절제할땐 절제하고 나아갈땐 나아가는 하고行  아니고를 자기 맘대로 해야하는것이라 사료思料된다
이래도 저래도(모양다리相)오죽이면 껍데기그림자에 끌려가야만햇던가 이다 
어릴쩍, 한살이라도 더 먹은 형이 참아야지 이끌어야지(와각지쟁蝸角之爭) 애를 울려"  소리(할喝)가 들리는동시에 날아드는 방망이 할喝방枋, 귀멀구 눈머는 사껀사고를 맞아야만햇떤 그때그시절  회초리(枋) 가(유네스코 유형문화재에 이미 등재되어잇어야햇다)생각난다

와각지쟁- 한몸에서 나온 뿔같지않은뿔을가지고 쌈박질해서 동네 동생들을 울리느냐이다 한마디로 바르게 이끌어 재미잇게 놀아야하거늘 형兄되어 동생을 울게해야만햇더냐이겟다 똑똑치 못하다이다
아니 그말이 맞다면 평소 보여주어 따라하게 허실일이지, 좌뿔左角이 옳턴가 右角이 옳턴가
와 때리는건지 쯔쯧

들려온다 더 맞아야겟꾼 (전법은 포교와 다르다 하튼 입 밖에 드러나면 괘씸해진다)
깨갱

암튼 내맘먹기 달렷다
알고보니 요래 요래보다는 조래조래를 자유자재하게 이끌어 가야할껏이겟따
먼말인지는 잘은몰지만  소리쳐 불러본다
隨處作主 立處皆眞

 

업業(첨엔 눈송이 같드니만
점점 굴러먹드니(변해가드니) 세상탓만 하게됫드라
어이련가
슬프노래는 나를 울려요

무풍기랑 無風起浪 平地風波
업은 습관이라 이해된다
한번 行하고 또 움직이고動 하므로서 익숙해져간다
쉬어져간다 당연하게된다 (당연하기 전에는 어설픈거겟다)
그 행동行動이 조은거든 싫은거든 관계없이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유아唯我는 존재하게되는것이라본며, 그렇게 존재하게되는 唯我는 허공과같이 넓다넓은 우리의마음은, 늘상의 우리마음은(언제나 어디서나一切處 一切時에서던지四方天地에 두루하는 우리의마음은, 다시한번 강조의 의미로 마음의움직임行動은 지금에도 움직인다 난다 생긴다
본래本來는 허공과같은 또는 맑은거울과같은 청정심淸淨心에 對하여(한). 가운데 티끌塵埃(名)가 난다生or움직인다動 

움직이는 성질머리가 이것과 저것의 우두머리(우두머리 마두머리) 멀쩡한하늘 천상과 천하로 나누듯=움직인다는것은 두부짜르는 칼과같이 움직이는것이어 이때 칼劍(지혜의칼 반야검般若劍이라 하며 이 반야검짓 짜르는 움직임을 보앗느냐 묻기도한다)
이때 모양다리相 칼이 칼이 아니구 그냥 하늘을 그냥 하늘이라 하지못하고(문지방 하나를 넘어, 넘을쑤록 쌓여가는  恨많은 미아리고개를 넘고넘는것이다) 천상 천하라 허드라
12연기처럼 열두대문 문간방을에서 걸식하는 김삿갓 가사처럼, 12모양다리를 넘다보면 다다르는곳 생노병사(乞食) 이더라이겟따
결국  일념一念 한생각이 움직이면 하고 또하게되면, 결국 흥망성쇠 희노애락에 이르게 되드라이겟다
허는짓꺼리가 걸식동냥한다는것이 성주괴공 이더라이다
가만잇찌못하는것에 익숙당연짓 집착은 얻어지는것이 죽음(업보)짓 뿐이드라 아닌가이다

근까 움직이는 짓 허지마라  아니구나 

않헐쑤없으니까 헐때 안헐때(둘다 움직이는(하는) 유위법)를 알아, 허기두 않허기두 하여라 이겟다
손두 펼때는펴고 쥘때는 쥐어라 이겟다
펴고싶으면 펴고 쥐고싶으면 쥐어라
쥐락펴락 그대의 자유로운 맘대루 입니다
이러한 현장의사껀사고가 우리의 생각이(지식앓이) 알던 모르던 일어나고 잇지만서두 불속지부지不屬知不知 단지 지혜가없어(盲目人)이어 자유자재허지만서두 노예짓처럼 끌려가드라 이겟찌요
이 어찌 슬픈일 아니오리까
하여 우리부처님 해탈열반에 드시지아니하시고 중생덜 하두 징징거리니, 중생덜 달래주려고 누런 잎사귀 돈인양 주어 달래고 잇는것 아니겟읍네까 
평지(평탄길(스트레스 1두없는 늘푸른 청정심)에 움직이는 티끌짓 행동짓(우리들의 독뿔장군업짓을 작용作用)을하고 하느냐 넘고넘느냐 풍파를 잃으키느냐 
본래는 정정하여 바람 한점없는데不亂 파도를 일으키느냐 건립을 하느냐
일으키느냐 아닌가이다
가만좀 잇으라요
몸두 입도 생각도
업짓지 말라 아닌가 하는것 이외다
우리의 성질머리는 옳고 그르고是非 조코실코愛憎 간다온다去來 등등이 나뉜것이 아니다
뭐가?   본래심이~ 
근데 그본래심이 움직임이 다가오드라이다
우리덜 나의짓꺼리가 보인다
들린다 알아지이다
하면서 하는것을 알게되더라 이다
허면서두 허는것을 모르는 우리 중생님덜 그리고 나,
글쓰고잇으면서  글쓰는것 모르고 그저 힘들다 어쩐다 하고
읽으면서도 먼 투정 그리 심헌지
글이 어려워요? 쉬워요?
허면서 허는것에 집착하면 중생이라허구 무착하면 부처라 헌답디다
독고인 무거운것 들어내다 팔아픈것 (좋아지긴햇찌만)여태이다
아이구 내팔짜여? 

팔짜탓? 내탓?
(순간 몰록)퀴즈입네다
정답자 전원 상품으로 복 삼태기(무더기 덤태기)로 퍼 드립니다
獨孤老人 書

독고노인이 조립하려던것인데 만들지못하고 귀여운 10살 아가가 (지인의 손주)가 조립하엿음 그것 참 입네다 우리들의 성질머리두 이와같이 조립되어진것 이겟따 법성원융 무이상 청정법신의 오로지 하나뿐 성질머리는 사방천지에 두루하므로 무이상= 성과상 안과밖or 정신과육체는 다르지안타 나두 하나 너두 하나 싸그리 하나일 뿐 이를 중도라헌다는것이 독고인의 소견머리 이외다 250518

 

은 딱딱덩이의 집합체(조립품)라 할쑤잇겟다
요소요소 하나하나가 굴러먹으며 이르른 지끔에는 요소집합체 두터운성질머리인것이라본다
업을지으며 동시에 과보살이를 하는거다
업을 지으면서 곧 아닌줄알면 과보살이도 그러해지는것이다
머뭄바없이 행하라
머뭄바없다 하는것은 행하지만 행하는것이 아닌것이다
부자지만 부자가 아닌것이다
이것을 무위로써 유위를 살아가는것이다
보고듣고 알음으로써(소위말허는 지식 알음앓이(알음知앓이痛)유위有爲法을 살지마는  무위법로써 살아가라이다
본래 청정심으로써 티끌심을 살아가라 아니겟느냐이로소이다

우리들은 의타기성依他起性 근까 의지하려는(의지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고잇다
왜? 습관업이라는것이 생겨먹끼를  그러하게 생겨먹어 탄생존재 햇끼(이합집산離合集散 끼리족속)때문이겟으며 말하기를 청정에대하여 티끌塵埃이기 때문이리라
우리몸은 사대육신이라 지수화풍의 성질머리의화합물이라말한다
이또한 청정부동공淸淨不動空에대하여 유동물有動物인것이며 
없음無에 잇음有이겟다
해탈열반에 무연자비無緣慈悲=몽땅자비 유연자비=부분자비(아무런 연고가잇떤 없던 모두에대한(잇떤없떤  유연이던무연이던 몽땅 그본통은 온통(나뉘기前)일뿐이기때문이리라라 보게된다이다
한마디루 이것과저것 하늘위 하늘아래 나와너가 하나이기때문이리라
왜 근데  나 독고인은 이해가 안되는거지
그건 바로 허망하고 변하는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 중생이기 때문이리라
그러한고로 부처님꼐서는 모든상에 집착말아 허망상(보이는대상물 色이라한다 보이는색상 그리고 귀에 들리는 대상물聲相(모양다리)이라한다)등등 모든상諸相이, 허망상인줄알게되면智慧眼目이 해가 쫘악비치듯 비추면, 즉견여래 곧 바로 여래佛를 만나리라 그것을 여래라 이름헌다
여래가 되리라 하시엇따
너와 내가 함꼐 어깨동무(바른평등 무상보리)를 나란히나란히 동무同務되리라
너나 나나 하나되리라  동무야 놀자

 

우리는 설법說法을 들을때는 그래도 뭔가 쫌 알은것같찌만 설법전을 나서자마자 기다렷따는듯이 다 까먹게된다
이게 우리들의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다
익히고 익혀온 습성머리가 그러하기 때문이겟다
다시말하자면, 상相에 집착하는것이 익어 쉬우니 정신차려들어봐두 성질머리의정체(탄생연고)를 이야기하는것이므로, 익은 相에 집착되어 들으니 아무리 성질머리 성질머리 말해봣짜, 모양다리相으로써 말하는 설법자도(성질머리는 언어도단 심행처멸 표현할쑤없으므로(답답하고) 듣는 청법자두 익어 쉬운짓은 모양다리상 일뿐이어니 피차가되어니, 설법전說法殿을 나서기무섭게 까먹게되는것이라본다
하튼 말하는자도 듣는자도 동석이몽同席異夢이라 할수잇겟다
허니 자꾸듣기를 하므로써 긴가민가허면서도 알아먹던 못알아먹던간에 자꾸듣는 그습성은 힘을 길러가는것이어 성질머리가 바뀌워가니 알아먹기가 쉬워져가고 드디어는 자기 성질머리의 탄생연고를 보게되므로써 그러므로써 를 중심마루宗삼아 성질머리를 바로보게되어(정체를 알게되어)성불成佛에 이르고 이르게되니  견성성불 이라 말하는것이어니 성불하여 살아가는것이 지혜롭게 살아가는것이라 굳게 믿씁네다

 

호흡呼吸 숨을, =내쉬고 들이키는것=諸相

숨=내쉬고 들이쉬는것이다
숨名을쉰다動(=꽃은 핀다)
모든존재물은 (그 물건物件에따라(분수따라 힘따라) 움직인다
꽃은피고 새는날고 뱀은긴다
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가웁다
만물은 움직인다
이렇케 움직이던 저렇케움직이던 당연 당당하게 움직인다 
모두가 조립화합물(존재물)
이어, 자석이 당기는힘이 잇으니 자석名이지 힘떨어지면 그순간 자석이 아니구 걍 쇠 이다
자석이기전에는 무엇이엇떤고?
쇠 입니다
쇠 이전鐵以前에는 무엇이엇떤가
동물 식물 광물 에서 광물이라 불리엇읍니다
광물이전에는?
성질만이 남는다
地水火風 땅기운 물기운 불기운 바람기운 등 4요소要素(인연소치因緣所致)로 이루워져잇다
어느요소는 크게 또 어느요소는 작게 구성되어잇다 조립되어진다
하튼 많케 적게(유위) 없게(유위) 화합되어잇는것이다
뭬가? 태양이 꽃이 사람인우리들 축생 벌레에 이르기까지 부지기수不知其數 그수를 헤아릴쑤가 없을만큼 잔뜩이다
시절인연(명칭名稱이 사계四季)이 도래하면 흥망성쇠興亡盛衰를 맞이허면 화합하면 조립되면 때時가되면, 같은 이치로 고 때=(축시)닭은 울고 (인시)해는뜨며 운행運行 作動한다
우주법계宇宙法界는 나타나는것이겟다
별은 별대로 달은달대로 독뿔장군되어 허는짓짓이 걍 그러하다
마치 우리도 유일무이한 희소성을 뿜내구며 생노병사를 맞는다
근데 모양다리相은 달라져가지마는(태생이 그러허니) 그성질머리는 유위법有爲法이지마는 그성질머리는 매每하나뿐 이겟다
만법일화 萬(滿)法一華(花)
사방천지 아니계시는곳 없으시어 시시때때로  틈만나면 뻑햇따허문) 내뱉듯 당연당당허게 뿜어내는) 우리성질머리님
내쉬면서두 들이쉬면서도 그걸모른다 하면서도 집착하느랴 하두 바빠서 하는줄作動을 모른다
우리는 이미벌써부터 진즉부터, 부처짓(=언행일치 지행합일 言行一致  知行合一)을 하면서두 그 하는짓을 모른다
(=불불불상견 佛佛不相見부처와 부처는 서로보지못한다)
단지불회 시즉견성 但知不會  是卽見性
오로지 모를줄을 아는것 견성이라는 말씀

이是모양다리相다 하면 이是것에 코박지말구 또 아니여非相이면(말하면) 말說하면(말을들으면) 말相에 떨어지지말고(유위법有爲法에 떨어지지말구 사방천지가 들석거려도 動허지말라)
어둠夜이 진정 아니라면, 틀리없이  밝음晝 이렷다
네 죄罪는 네가 알렷다


사방천지 없으신곳 없어 
우리성질머리님
내쉬면서두 들이쉬면서도
(내쉬면顯敎 들이키면密敎)
그걸모른다
左手 右手모아 합장 조립모아 머리와다리 한곳에두고向 기도祈禱 하옵네다
백처간두 진일보
백척간두에서 진일보進一步 어데로 가려하는가向
더이상 갈곳 없는곳일진대
지꾸만 가려허는가(성질머리를 부리려허는가)
안횡비직眼橫鼻直(온통 온몸) 사방천지가 은산銀山으로 막혓거늘 (더 어찌헐쑤없을터이건마는)
오호라 어이련가
본분사가 그러허거늘(진공묘유)~
사방천지 없으신곳 없으신 
우리성질머리님
자애롭고 자애로우신 우리성질머리님
독야청정獨也靑淨
하시옵시기를 우리휴게실에서 獨孤老人 빌고 비옵나이다

 

 

멍때리기 

 

독고인은 우리휴게실에서 말(글)을 하고(쓰고)잇다
그면 님들은 보고(들으며) 행동하고(움직이고) 잇다
나도 움직이고 너도 움직이고잇다
이꽃이 피고 저꽃이 피는것처럼~
우리들은 다같이 한바탕 움직이다가(놀다가) 돌아가는것이겟다
돌아가면서도, 또 집에가서도 또 보고듣고 짓을 또 한다
시시때때로 몸짓(춤추듯)말짓(노래하듯)  하는것이다
하면서도  하는것을 모른다
근까, 우리가名 하면서作  행行하고(움직이고動)잇는것有爲法이다
줄여보면 우리가名 움직이고行動 잇는것이다
꽃은피고 새는날고 그리고또 뱀은 기는것이다
만물이 몽땅 그러한 유일무이한 오로지 성질머리唯我獨存가 잇을 뿐이다
우리들의 성질머리의 탄생연고를 알게하여 편안케하리라하고 우리부처님 대원大願을세운것이다
대원이라는것이 이것 저것 모두相이기보다는 하나의 성질머리이어, 일즉다 다즉일 一卽多  多卽一 우리의성질머리가 80억 내지 부지기수의 물건들마다 잇는 성질머리, 몽땅 싸그리이어 그수가 많지만 보이고들리는 相   성질머리는 하나 아닌 하나 오로지唯 뿐인것이다

독존獨存 홀로 존재물
독존물(性+相) 하나(온전물 좌우상하  안횡비직 사방천지
=일원상一圓相
하튼간에 요새 멍때리기대회가 잇을정도로 명사미 한창이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글쓰고(말하고)  보고듣고 하면서  부면하면 열심히 움직이면서(몸짓 말짓 생각짓) 움직일뿐인것이건만, 큰나뭇가지에서 또 작은 나뭇가지 나듯 짜잔한 나무가지 투성이된다
하고 안하고가없이無間쉴틈없이(이러한짓 익어져 무간지옥 이잇는거다)끊고 맺음이없이 어떤짓 해야하고 어떤짓 말아야할지를 모른다(어찌해야되는지를 모른다이다)
하여 우리들이 이러한짓을 하면서 보이면서두(하두 익어져 당연화되엇다 업짱이 두터워져간다) 그걸모른다이다
하여 늘쌍그러하고잇는 당연화짓을 하는것 멈추고 관하면서 수행을 하는것이다
멍때리기는 중요한것이 업짓을 안하는것이다
특히 생각을 안하는것이다
아무생각을 하지않는것이다
오래 멍허니 잇으면 우승하는것이다
생각이 일어나면 멍때리기는 오래못한다(아는게 병폐이다 알음자는 아는것이 장애가될뿐이다 도=글을알고(지식이 넘쳐나두 참보살수행자에겐 도움이될래야 될쑤가없다) 모르고에 속하지않는다 道 不屬 知不知)
하튼 멍때리기는 아무짓 않하는것이다
소위 꼼짝마라 꼼짝안하기대회이겟다
멍때리기를 통해서 우리가 특히 생각이 나는것을 알아챌수잇게되어.평소 일상생활에서 대화할때 업짓하고 안하고를 조절조심절제 하게된다는것이다

칭찬하면서 비난하면서, 하는 나를 봐야하지만  업습기가 하두 두터워, 상대방만을(내 말 듣나 안듣는가)본다 불교공부는 내 맘짓을 볼 뿐(=마음공부)인거다

 

앞에 친구가 간다  여보시게 친구 하고 불럿다

충분히 들엇을터인데 멈출듯하더니 더 빠르게 가버린다 여기서 잠깐* 우린 이런일 생기면, 여보시게 친구하고 불러대는 자기는 바로보려않고, 가버리는 친구짓만을 보고, or 에 빠져  좋아하거나(양변을 말허자니 그타, 다(쌍차雙遮 )보고 다(쌍조 雙照 )안다 보인다)   시쿤둥하는 세계의 길을간다 길로 들어선다  자업 지득( 피할수없는 과보)(어데가노 가지마라 안카나)

강조의의미루다 늙은이 없는힘 짜내어 또 적는다  여보시게 친구 하고부르는 자기의 꼬라지(부르지 않앗드라면(무풍無風) 애증(기랑起浪) 이라는 물결파도는 일렁이지 않앗을것을 (여기서 따지지마라 보시틋이 친구빙자 불럿다  내 말을 주엇다 줫으면 토달지말고止(멈추고 보라),  ㄱ ㅑ ㅇ(=청정) 주라    행하는것을보라(도피안 배타구 말타구 건너를가는 거겟따) 안심평탄하건만 바람불고 흔들어 대는가平地風 (네 죄를 네가 알렷스렷다) 하사 서천 동임야 먼 일로 바람불어와 깽판치느냐

하튼, 네탓 아닌 내탓 수행, 꽤나 만만치(업 두꼐만치)않타
하면서 하는줄을 알으므로써
내탓임을 알게되는것이라 본다
내가 그러햇으니 그러한것이므로(내짓을 따지지말구 분별짓말구 집착상 티내지말구)하는것을 바로보고 바로알음으로 인하여)
내게 불이익이(빈자貧者 병자病者 치자癡者) 돌아와도果報 덜 억울하게 살아가므로(더 억울햇을것인데), 이 어찌 복된 생활아니겟는가이다
간략하지만 줄인다

 

 

백척간두 진일보 百尺竿頭進一步

장대꼭대기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라
또 말해보면 살불살조殺佛殺祖이다
더 말해보면 염도염궁 무념처念到染窮 無念處
근까 생각하고 또 생각해 더이상 생각이 다한곳에 이르르는 지경처
이른바 청정념淸淨念이랄까 
하튼 공空이요 무無이구 또 부동不動이겟다
부연하면 어떤것도 없는것이요  없는것조차도 없는것으로 쪼끔의 움직임도 용납치않는다 이름名조차두 or 움직임이라는 표현표시두 붙찌를 못한다
하여 말하기를 언어도단 심행처멸이다
우리가 보이구들리는것相에 집착하는것에 찌들은관계로다 당연시하고 당연시하는것을 몰라그치, 표현표시하면서두 고걸 사방팔방  사방천지에(자유롭게) 뿌려대면서도 모른다
허면서도 허는짓꺼리를 모른다이겟따

보이고 들리는것에 집착하므로 이름하여 우리들은 중생이요
보고들려도 미혹하지않으면(속지않으면) 부처라 이름헐 뿐이지
부처중생이 따로잇는것이 아니어니 같은이치로서 천당지옥두 없는것이어니,육도윤회도 깨닫구보면 없는것이요, (청정의상응하여잇는 것일뿐인것을 가지고(보엿따허문 집착하여 보이고들리는) 이것은 뭐란 말이요 하게된다
마치 양무제가 달마스님에게 내앞에잇는 그대는 누구시요  묻는것처럼 말이다
굳이 따져보면 청정의 티끌이다
근데 거울과 티끌(대상물)의 관계가 서로 상입상조이어 거울없으면 티끌도 없고 티끌없으면 거울도 없게된다
부연허면 삼법인에서,열반적정 = 일체개고라 보는 안목이된다
서산대사 청허당 휴정스님
거울 들여다보며, 70년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70년지난 지금에는 내가 너로구나 하엿다
부연차면  산=산 물=물 이로다
또 말허지만, 독고노인의 소견머리가 그타이다 이어니 공부허는데 참고허길 바랄 뿐이외다

하튼간에 일념불생 만법무구一念不生  萬法無咎이다
지금 일어난 제6식앓이(지식)가 나지않으면 법법法法에 코딲지만큼의 하자흠 허물두 없다)
쬐끔이라도 하자가 잇따면 굴러먹을때마다 점점 멀어져 두터워져간다 뭐가? 무명 습관업성질머리가~ 
호리유차 천지현격 이 된다
예들면 육도윤회가 잇을쑤없는데 두터워진 업짱력에 끌려 강제로 포승줄에 묶인 노예종되어  업인과보의육도윤회의 길을간다이것이 말로허자니 간단히 말헐수잇어 간단하게 알아먹는 사건사고가 빈번허지만,그러케 간단한것이아니다 왜냐면 우리중생은 보이고들리는 모양다리상에 집착하는데 너무 농익엇끼 땜이라본다

여하튼간에, 
생자필멸이다
산다 죽는다=모두 생각일념속의 사껀사고이다
어쩔쑤없이 해야만하는(당연지사가 되어버린) 생각모양다리相에 
집착을 묻히듯  묻혀져간다
근까 서두에  말한 백척간두 무념처 또뭐냐 살불살조는
생각이 빚어내는 사사껀껀들의 王(중생의 마음의 심왕心王)우리의 생각이 나자마자生  참보살수행자는 직관직시력의안목을 갗추고저할진대, 삭둑 그 싹을 잘라내야한다는것이
일념불생  살불살조 백척간두 염도염궁 아니겟는가이다

끽소리말고 눈감고 귀닫고 입닥치구 고된 이승살이 견디어내야하는忍苦土살이(과보살이) 잘살아보잔다이다

三業=몸짓 말짓 생각짓
하지말구(수행修行  씻어내는짓 덜어내는짓 내려놓는짓) 노예짓하든가 말든가 그대님 맘 이로소이다

살다가 죽기싫커덜랑(인생무상을 깊이 알아먹엇다면)
자리펴고 앉으라 하는것 아니냐이겟다
일념이 나生起는것 알아야 따르던가 말던가하므로
일딴 앉아 뭐야 뭐야 허며 뭔일인지 알아보는것 당연지사 이외다

살고저하면 죽을것이요
죽자사자 기를쓰면 영생헐것이라요

올드무비Old movie  순간에서 영원으로The War Lover
순간살이타가 영원을 살아간다

大 마하 무량 = 중도 크게보면 지금 이 뿐이겟다
생긴대로 살아가라 = 중도행이다
몰라두 알아두, 모르는가 아는가의差異일 뿐 중도의길을간다


윤회가 잇나? 없나?
잘 덜 논다

윤회가 잇읍니까 없읍니까?
부처님꼐서는 침묵하시엇다
(왜냐하면, 잇다거나 없다거나 말씀하시게되면(말로 표현헐수없는 무자성의 몸부림을 말헐수는 없엇을것이라본다 정 어쩔수없으신다면 필요악경에서는 하시리라본다)
보이는것이기에 비유가아니고 실제를 보이는것이기에  이타저타 할쑤가없엇끼 때문이리라 또 왜냐허문 잇다거나 없다라 말하게된다면(입 뻥끗하자마자 어긋나므로) 이둘有無다 는 움직이는動이, 그자체가 곧 윤회가 아니기때문이기 때문 아니겟는가이다 비유경에서는 말씀하시기도 한다 또왜? 어차피 실상이 아닌 비유설 이기 때문이므로(실상판이 아니판국이어니 이미 잡다헌데 끼리끼리세계족속인이기에) 사료된다) 더 설명해야허는가  잘읽어보면 알쑤잇다 생각되므로 그냥 넘어간다
하튼 그러함에도 불구하고잇다 없다 사이를 그네타듯 놀고잇는것과 비슷하므로 놀고잇다 말허게된다
또 말하기를 놀지마는 풍악없는곳에서 풍악을 허듯이 놀이가 없는곳에서 놀고잇다 맹이야 공이야 맹꽁타령
또 하지만 한 바없다
왓다리 갓다리허지만 함바없는 움직임 이라고 말허게되는것이겟따
우리들이 지끔 살아가고잇는 이것이 과보살이 이라 본다
동시에 업인짓을 하고하며  살아간다 말하는거다
과보살이 허면서 똑같은 짓을 하지마는, 청정허게 하느냐(그냥)하는가
아니면 이제까지 해오듯이(조껀부 보시)보시하겟는가 공덕이 얼마나 될까요? 코딲지만큼두없다 꿈두 야무지다
청정보시는 과보짓을 업장소멸짓-짓을해도  무관계 줘도 받아도 관계치않는다
허공에 바람지나듯 움직임일뿐이다
잡다한짓 名을 짓게는가 말겟는가(인위적이다)
움직임을 움직임이라한다면 그것 은 움직이는것이  아니다
꽃이 스스로 꽃이라허지않는다
필요자가 우물판다
내가 필요허니 내가 장고치고 춤추는것이라 말헐쑤잇겟다
너와나 우리가 꽃이다 움직인다 꽃은 핀다허구 차는 움직인다 하고 필요하자니 사용허는것이(곧 그게 그것이 아니지만)필요악이라 허는것이다

동動 움직인다
꽃은피고 물은 마시고 밥은 먹는다
좋은것은 좋아허는것이고 실은것은 싫어하는것이다
물은 차가웁고 밤은 고요허다
눈은 보고  귀는 듣는거다
개구리는 뛰고 뱀은긴다
보고 듣고허는 모양다리相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성질머리움직임은 (보이지않고 알쑤없찌만)여여如如하다
간다해도 온다해도 여래여거 이케하고 이케할 뿐이로다
입 뻥끗만해두  눈썹꿈뜰만해두 
몸짓 말짓 생각짓 다정하여도
어긋나더라이다

긴가 민가 분별이지만
안목자는 분별? 할까 말까일뿐
모양다리相은 같찌만분별아닌 분별을 할 뿐이겟다
잘 나갈때를 조심허라
사업도 운전도 그타 그리고 수행도 그타
늘 사방천지에 그러하여 깨달음도 그타
북극성을 등지고 북두칠성을 바라본다
간산회두看山回頭 머리돌려 산을 보라

 

정법正法 바른

삿된법邪法을 공부하지말고
바른법正法을 공부해야한다
말은 많이 들엇찌만
어느것이 정법이고 어느것이 삿된법인가
경전의말씀이 부처님의말씀이니 정법임에 틀림은 없겟으나
경전에 부처님 뭐라 말씀하셧던가
나의말은 강을건너는 뗏목과같다 말씀하시엇다
그런데두 경전의말씀이라고 고지곧대로 믿고 경전의말에  떨어져 말씀을 앵무새처럼  외우는것으로 정법수행자라한다면 문제가잇겟다
달을가리키는 손가락(방편 비유)일뿐 손가락이 달은 아니듯이 한자로된 경전풀이에만 골똘하는것도 수중착월水中捉月 물속의달을 잡으려는것과 무엇이 다르리오

물론 외워서 어느곳 어느때라도 말씀 곱씹어보기도하다보면 어느순간 아 이래서 부처님이 그리말씀하시엇구나하고
안목이 바르게 잡혀져갈쑤가 잇으므로 특히 사구게를 외워 네비게이션으로 이정표로 바른불교 정법을 공부해 나아가는것이라 생각들고 생각한다
우리는 어느것을 하나 하더라도 확신하여 하는것보다 불확실하여 긴가민가 하는 불확실성을 헤치고 살아가는경우가 허다하다
하튼 그타구 안할쑤도없고 하자니 찝집하구 그렇게 하루하루 夢中事로써 살아가니, 이게 매일계속타보니 산다는것이 무의미하기 짝이없드란말이다
그다보면 돈많아두 명예잔뜩이어두 권력쨩쨩해두 흥망성쇠  춘하추동 이게 열심히 산다고 살아온것이 공허하고 이대루 괜찮은건가
돌출구를찾는다는것이 동아리에 가입하고 산으로 경기장으로 노세 노세 젊어노세 인생뭐 별것 이더냐
하며 자고나면 밖으로만 나가려든다
이것 하다 저것하다 왓따리 갓따리해보지만 그때 잠시잠깐뿐 허탈감속에 맞이하는건 생노병사 여기 아프고 저기쑤신다
어이련가
그래도 전생에 무슨복지어 부처님 정법공부 만낫떤가
인생난득이요 불법난봉 人生難得 佛法難逢
사람으로 나기어렵고 불법만나기는 더 어렵다는데
불자님들(사대부중) 용케 사람이되어  불법공부를 하고잇으니 비록 중생수기 득이익 마음크기만큼 받는 불법 마음공부하게되엇으니(왓따리 갓따리 않해도되는 정착지 定着地 Settlement) 이 아니 복되다 하지않을손가
종교 이종교 저종교 많이 잇찌만, 더나아가 더크게 보더라도 종교 비종교 관계를 넘어서도 우뚝서잇는 불교 마음공부는 전세계인 누구에게도잇는 마음(공부)
불교를 외면한다는것은 자기자신의 외면이어니 좋으나 싫으나 알던몰던 늘상 함꼐하는것이 아니던가
바르게알고 바르게 살아가자
이게 불교다
여기서 바르게는 비단 착하게살자 또 훌륭하게살자등등 만을 말하는것이라기보다는
내가 우리가 살아가는데
정확하게 뭐가  그리고 살아간다는게 도대체 뮌가 이겟다
하여 말하게되기를
자기를 바로 알기나하고 꼼지락거려보자라 말할쑤도 잇겟다
뭐가 뭔지
알고나 나서, 하던가(쫓거나) 말던가(쫓기거나) 하잔다
이짓 저짓 할꺼 다 하면서 하는것을 모른다?
선당善堂좋은곳? 악당惡堂나쁜곳?
설사 간다한들 알어?
사랑하면 사랑에 빠지고 좋으면 좋은것에 빠지고
젊으면 젊은늪에 빠지고
늙으면 늙은늪에 빠지고

새로우면 새로운것에, 글구또 편리하면두 역시나가된다
퐁당퐁당 돌을 던지자
뭔노래드라

그저 끌려만가는 果報살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를 넘어넘어간다
올드민요 들어나보자
어화너👉 어화너


살고잇으면서 살고잇는것을 모른다?
나는야 멍텅구리

 

일체 모든 존재물은 인연소치이다
인+연=결과물이라는 말이다
정신적으로나 물리적으로나 보이거나 안보이거나 알거나 모르거나 믿거나 안믿거나 하는 이자체가 모두 모양다리相으로써 존재한다
태양도 지구도  흰구름 맑은바람도 한길도않되는 마음도 어쩌꺼나 존재물은 인+연이 만들어낸다
과거도 현재도 또 미래라는것도 인연소치因緣所致 인연소산因緣所産 인연법이 제작창작한다는것이겟다
존재물이다하면 어떻케 존재하던간에 인연소산이지 결코 홀로 독생하는것은 어떤것도 없다
원인없는 결과는 없다
천둥번개두 존재허는지 꽤됫을꺼다
것뚜 인연소치이다
독고노인두 인연소산물로서 변해지고 변해지면서 이자리에 이르르고잇다
춘하추동 하면서 흥망성쇠하면서 생노병사 하면서 움직이고잇다
흐노애락 우비고뇌 허면서 되면서 변질되어가고잇다
이게 다 인연소산이다
인연이면 이뤄지고 인연 아니니 성사가 안된다는것겟다
여 하튼간에 인연법칙을 자발 타발적이던 본의건 아니건 졸졸 따른다

외계인? 내가因 어떤것緣을 보거나 듣거나 하여  만들어지건一念  환상이요 알음이라는것이다
나나 너나 그어어떤것도 모양다리相으로는 마음 부처 중생 각기 이름만다를뿐~
내가 (봣던 못봣떤 알던 모르던)미확인물체라는 이름으로 모양다리相으로 나타나는 결과물들이라는것이요 인연소산이라는거다
수천  수만년전에 잇엇떤 그 어떠한것도 인연화합물이라는것으로 본다이다
한종교들이 저마다의 종교를 부르짖고잇찌마는 아직 모르거나 모른척해서그치(이조차도 모르기도허다)
결국은 흥망성쇠의 길을 가는것이다
왜그냐허문
각각의 종교들이 잇음의 종교이기 때문이라 본다
종주가잇고 그를 따르는 종도가 잇음 이겟다
그럼 불교도 마찬가지 아닌가 허겟찌만
불교는 가르침의 종교가 아니다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러 다니는것傳敎이 아니고  굳이 말한다면
그움직임을 보이고 보이며 전법傳法을 하고자함 이라 말해본다
불교는 이름하여 청정(무 공 부동)의 종교이기 땜에 변할래야 변할쑤가없는 것이어 교敎가 잇는것이 아닌것을 말하고잇는것으로 禪法을 주창하고 잇는것이다
그리하여 그법의실체를 알고저하는것이겟다
존재물의 성질머리
산에는 높이가없고 물에는 깊이가없다 (=바른평등正等)
소위所謂 청정淸淨이라 이름名헐뿐이라우
이 청정조차두 홀로 우뚝한 존재물이 아니어
상응관계로서 존재할뿐이니
그것이 티끌없으면 청정이 설쑤없고 또 청정이 없으면 티끌도 기립되지않으므로 청정 티끌 존재相이 상응관계相應關係일뿐이라 는 독고노인의 소견머리 올씨다
심불급중생 시삼무차별
마음 부처 중생은 성질머리의모양다리相은 차별이없다

이것도 저것도 인연소치
천상 지옥 마찬가지 명당 흉당 그게그것 이어니
속이지도말고 속지도말자  (어리석지 말자  깨닫구 보여주자 이름하여 전법이라헌다 전교가 아니다) 불교는말씀을 들어 익히느니 (듣지못하는 귀먹일지언정 직관자 되리라)=마음공부이다 
누굴 원망시비헐것도없다
자업罪 자득罰

자작(원하면 업인)자수(반드시 이루워진다 과보 응답허신다 우리들은 그러케 소원하여 필히(반드시) 이루워진 결과물(과보물 어이 헐까나) 이라본다 )

자승자박
아이구야 내팔짜의 모양다리로구나

 

장장10여시간 쫄쫄이 굶구 병원가 피뽑앗다(코로나때쯔음 피뽑구 4년쯤만)

빵 과자를 주식삼아 살아온지금 응근 쫄앗더란다 
공복혈당수치 90 기분튿어저 떡보별명 되살려 시루떡 먹으며  독고인 글쓰다

 

 

 

 

 

 

 

' URI休憩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성안목 견상안목  (2) 2025.07.07
성질머리와 모양다리  (1) 2025.01.02
표리부동表裏不同  (1) 2024.10.11
체상용  (4) 2024.04.07
부처님되신날  (1) 2024.01.17
Posted by 獨孤老人
,

 

성질머리 와 모양模樣다리(견성과 견상)


성질은 습관이 반복되는 과정의 짓거리動라 할쑤잇다
지렁이 기듯이~
左로 右로 ~ 
기든, 좌로 혹은 우로가든~
존재相의 머리와 포대라 할쑤잇겟다
개구리는 뛰고 뱀은 긴다
개구리는相 뛴다用
개구리의 성질머리이다
성질머리는 볼쑤가없찌만 뛰는 모습相은 볼쑤가잇다
하튼 모든 존재물은一切有爲法은 실체가아니다 옥의티요 쇠의녹이요 청정의티끌이다
(이말조차도 유위법이어니 이말조차 청정의티끌이겟다)
인+연=과
因도 緣도 그리고 이둘의 所産인 果도 잇다하면 유위법이요 잇어도 自性이 없으므로(性을 말하고잇네) 앙꼬없는 찐빵이요 붕어없는 붕어빵과같다
근까 속裏性을 알아야지 겉表相만 봐가지고는 속은 속대로 겉은 겉대로 따로 놀게된다이어 결국 표리부동케된다
言行一致 知行合一  우리가 지향하는바요 또 지향케 해야하는것이 傳法行爲이겟다
나는것生은 반드시 항상치못하고(가만잇찌못하고)반드시 滅한다
그대님 항상을 지내고저하시는가
무상을 지내고저 하시는가?
골라 골라 맘에 드는것 골라
일체는 맘먹끼 달렷으니까
세운(常? 無常=變?) 원력대로(분수따라 힘따라) 이루워지이다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相本主義 性本主義 변하는것을 기준삼아진다 변하지않는것을 기준삼는다

발전이라는것이 편리하지만 이것이 결과적으로는 악한으로 돌아온다
그면 또 미봉책으로 해결하며 자연을 해치고 천재지변을 부르며 다사다난의 무성을맞는다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기고만장해가지고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 가라 하셨느리라
근심과 곤란함으로써 살아가라

 

곤란하지않으려하니까 사사껀껀이가 스트가되어니, 곤란을 당연하게(=인연소치)알구 또알아 맞이한다면 뭔탈잇겟스리오

이것이 모든일들이 生겨나는것이 다 그나름의사정이 잇겟거니하고 탈이 나지않는길을간다
성질머리=중도 모양다리=중용 불가원 불가근 일찌도 몰겟다

섭섭은 잠깐이라고, 눈앞의 근심과 곤란 집착말고 참고견디면(꼼짝말고不動淸淨 그냥그대로 살아가면) 머지않아 기쁨의날이 오거니~   求苦求難  苦盡甘來
 
보왕삼매론의 말씀인즉슨, 근심과곤란(싫은거다) 이걸피해 이보다는 쪼끔이라도 나은(좋은거다)상황맞이코저 하지말고  그꼬라지 그대로 살아가라

조튼실튼 집착의늪에 빠지는것이오니, 애이던 증이던간에 처한 그자리에서(모양다리에 끄달리지말구)살아가라 이어니,(이겻도 (끄달리고 아니고도) 행위인고로, T내지말구(=청정케하여)행위하라

그러기위해서는 힘이잇어야하므로 걍 살아가라(힘든다 아주 그나 계속하여

(힘쎄지면 천하무적되어) 행도 불행도 한낱 헛깨비장난에 지나지않을것이라 믿씁니다)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세상살이에 자유로워 날마다가 안녕하리라 믿씁네다
하튼 우리들은 어떤것에 익숙해져가는가 옳은소리헌답시구,
물질문명에 물드는집착이야말로 악마아닌가 하니, 그럼 자네는 불편하게 살아가게 이말을 수행인도 이해를 못하고 이상하게 보드라이다 오고가는 말 재밋끼두허다
모든 존재물에는 저마다의 존재이유가잇다

이게 물질문명은 풍요를 누리지만서도 정신문화는 피폐해져간다  발전은 필요악인지두 모르겟다

그이유라는것이 저마다의 성질머리이어니 唯一無二이요 
독뿔장군님이 行次하시는 까닭이라보는터, 성질머리는 하나지만 그림자는 千江有水 天江月이요 水中着月이라
달그림자는 일파재동 만파수 의타기성으로서 사방팔방에 두루한다허겟다
하나의성질머리이지만  성질머리는 알쑤가없어, 눈에  보이고들리는것에作用 집착타보니 
성질머리가 모양다리相인양되더니만, 나무는 하나지만 가지가하나나고 또나고 그가지에 좀덜굵은 나무가지나고, 이케자꾸하다보니 가지많은나무 바람잘날없드라이다
하튼 모양다리相에 집착력은 움적거릴때마다 의심할겨룰도없이 실체와 그림자는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방랑의길을 떠나야만하는것이 우리가 지금 이렇케 해야만하는 존재이유가 되버린것 아닌가이다
모든존재물에는 저마다의 성질머리가잇다
눈은보고 귀는 듣듯이 또 이현령 비현령 이듯이~
모양다리相은 다르지만 그성질머리의 행차일 뿐이겟다
성질머리는 본래청정이건만 지끔의 우리덜 성질머리(相에 집착하는 하많은세월 익혀온 무명業)는 물들어 지난세월 보내고送舊 또 새로운세월 맞는것이迎新, 무명업짓고 과보받고(한번만 적는다)를 하는것(이고지고)이리라

더러운물에 빠지고果報, 또움직여야만하는우리덜 어찌할것인가?새로맞이할 세월의길 또 盲目眼되어 내딛을것인가 이다
이제는 맹목안(육안)으로 보던것에서 천안 혜안으로 봐야할것아닌가가 수행자요 향상인이라보는 이상황이 바른 발전지향적아닌가 허구잇다우
근심과 곤란함으로써 살아가라                                                                                                               
곤란하지 않으려하니까 사사껀껀에 교만하거나 스트가되어니, 곤란을 당연하게(=인연소치)알구 또알아 맞이한다면 뭔 탈잇겟는가이겟따

이것이 오든일들이 生겨나는것이 다 그나름의사정이 잇겟거니(인연소치)하고 탈을 없게하는곳 으로가노라


하튼 한많은세상, 닦으며 덜며 무거운 업보덩이 쫌이라도 가벼히하며 살아가야않겟나이다 이고,진(머리에 이고잇는데 등에 지기도허니 설상가상) 저늙은이 짐벗어 나를주오 

늙끼도(무상한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고로  모르는것두=바로 보지 못허는것두)서러운디 짐조차 무겁게 지고 한많은세월에 어찌 한恨없이 지나질까) 살아갈꺼나

 

이제 몇일잇으면 부처님되신날成道節이다 (근까 우리들 생일인기라 생일이면 모하노 찾아먹지도 못허는 생일 어이련가)

또 하얀밤을 언제까지 새야허는가 밤패며 놀음만해봣찌 참선은 낯설기만하다 보시할때 악착같이 T내며 보시는 해봣찌만, 

그냥(청정심으로)해보긴 거~참 여태 서먹허네

그냥 노세 노세 젊어노세 하두 모양다리相에 집착타보니 이미 놀고잇는 자기짓꺼리를 모르고 뭘 또놀아 

업친데겹치니 이고지고 설상가상이로세
靑山流水 산은푸르고 물은흐른다

道 不屬 知不知
가는길은 알건 몰건 그냥 가는거다 살아간다
안다고 가고行 모른다고 못가는것이 아니언만, 相에 집착하고잇는것은 아랑곳않고 아는것에 취해 깨어날쭐을 모른다

 

趙州石橋
이 돌다리는 누가 지납니까?
나귀도 지나가고 말도 지나가지
우리들은 알던 몰던 길을지난다 살아간다 불속 지 부지 이기 때문이리라


마음공부는 빠를쑤록좋다 늦을쑤록 집착만더하니(늦깍기) 업짱만이 두터워지니 어이련가

요즘엔 몰겟는데, 얼마전까지만해두, 사찰에서는 동진출가 좋아하고 늦깍끼는 죄짓고 절에들어온양 괄쎄많이허는것 보며, 당시 왜글까, 아는것도많고 경험두많은데하고 의아해 햇엇는데 요즘들어 확연해 지더이다
수행자가 집착을 덜어내지못하니 지혜는 요원해지는것도 몰르면서도 그래도 길을 떠나야만 하는것이다
알고 가는가 몰고 가는가이다


驢事未去  馬事到來
어리석은 나귀는 길을가면서도 긴가민가 하지만 영리한말은 이미 도착한것을 아는것(이미 하고잇는것을 바로 아는것 일 뿐이라  아는양(체) 맗해버리겟다
그니 何事十年 枉費力
뭣땀시 십년동안 애를 썻던가
覺者나 不覺者나 똑같다
성질머리의 본성은無自性  똑같다

모양새는 꽃은 피고 버들은 푸르다
눈은 보고 귀는 듣듯이~

 

법신法身=자성신自性身

불이낫다가 꺼진다 生이고 滅한다(열반에 든다)
그나 불이 꺼졋으면滅햇으면 終了인데 그자리에는 연기가 난다生
덜꺼졋나 아무리꺼졋어도, 그자리에서는 어김없이 연기가 탄생한다
어쩌면 우리들은 생멸허지만서두(열반에 들엇으면서두) 연기相에  집착성執着性(力)으로 말미암아 저승의세계에 나는것은 아닐까 사료케된다
사후세계라는것이 습성의모양새 아닌가이다
또 윤회라는것도 그연기煙氣마저도 구품으로(연기煙氣의처한사정에따라)태어나고 멸하고를 반복타가 결국에는 그연기조차도反復時效消滅제행무상타가 조차두(유위법이어)열반에드는것 아닌가 몰겟다
기둥나무에서 가지나무가 또 그가지에서 또 그보단 덜굵은가지가 난다 무성해지는 모양새相 무성해진 나무를 떠올리게된다(삼천대천세계)
나무한그루 남으로인해 무성한 잎새마저도 반드시 낙엽되어 생주이멸 生主離滅 성주괴공成住壞空의길을 가야허나부다

나만 아니면되는가
소아병적小兒病的인 사고라(단순얄팍하구 극단성向) 아니헐쑤없어진다
인+연=과 는 생성의법칙이라고도 헐쑤잇겟다   

성도절 이브1207 딱한번 번개치소리  들으며 독고노인 쓰다

 

청정심=지극히 고요함이랄까 지극히 고요한것이 어떤상태일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어둠에 묻혀버려 알수없어라

고요하고 없어짐이  둘이 아니로다
헤아려 알려하면 오히려 까꾸루 멀어져간다 지악수선=삿된것(무명업 알음)은 그치고, 이어 덜어내서同時(그침과 딱음이 하나되어) 바르게하라 (근까 알음앓이로서는 허물이 따르기마련이라는 田剛禪師의말씀이 새록새록허다 언어도단이요 심행처멸이다 모든것이 끊어졋다 모양도그릴쑤도없고 만질쑤도없네 이름도 붙찌못한다

개구즉착 필요악이며 쇠의녹이요 以幻治幻으로 소위 비유로써 말허자면 不動이고 三昧요 에또 체상용헐때 體요 空이요 無요 내가좋아하는 淸淨이요 寂寂이요 
더말하자면 꽃이 핀다(이건 체상용헐때 相이요 用이겟다

하튼 無名無相  絶一切 이것이 어떤것이길래  이렇케 비유 표현햇따하면 펄펄끓는물에 닿듯 헐까 마치 용광로에 닿기라도 한듯 가까이허기엔 너무 먼 당신과 같네
그니 알음으로써는 어찌해볼도리가 없다하는것이겟다
하물며 경전을 읽어? 또 써?
이것이 불교를 害하는 말이여?
어쩌면 최상승근기적인 말인지는 모르고 참선하는이들 근까 성질머리를 보려는이들만의 이야기가 됰찌는 몰겟다요

꼴초는 꼴초끼리
고주망태는 고주망태끼리
도박꾼은 도박꾼끼리 뭉쳐살게되다가 또 춘하추동 바뀌듯 轉輪하는것 아닌가이다

바로 가리키는불조의 말씀을 모르겟으면, 믿음을갖고 알고저하려한다면야, 뭰 근기가 따로잇겟냐마는 모르는곳에서 저아는곳으로 가 웃고 울고 알고허니, 없떤 근기가 生하는것이라 독고노인 견해見解를짓고잇다
견해를 짓는다 이게 독고노인의 業이요 力으로써 자작자수이어니 습관에 길들여진業은 내가만든 제작자이어니 고치는것도 나외는 고칠쑤가 없는것이어니
그저 우리는 수행을 해야만하는것이겟다
하튼 내일은 부처님되신날이다
부처님되어(覺者가되어야 만)생일이지 본래 覺者임을 모르면 부처가 生하는것이 아니어니, 그림속의 생일 되는것이겟다
내 생일 돌려 도~

 

금강경에 이르시기를
지아설법 여벌유자知我設法 如筏喩者
여래가 설한법이  차안에서 피안으로 건너는 뗏목의 비유한것을 알아라
비유라는것 개구즉착 입열면 바루 어긋나지만(어떠한 표현방법으로도 할쑤없는것이 마하심(그대로 드넓은허공과같아.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세상一切唯心造과같은 마음)이어,  한길도안되는 마음은 알길없다 하듯이, 사정히 딱해져서  필요악으로 비유를 하는건데, 고새 그걸듣고는 익숙한솜씨로 집착하므로서(너무 익어 사실인양되니 자기가 스스로 속고잇다는거다 (내가 취하니 모두가 취해 보인다 먼일 생겻다면, 곧짱 자기로 돌아와 성질머리를 살피라) 
하튼 중독되는줄모르고 부처님경에잇따고 학교수업하듯이 가르치니, 그치않아도 속고잇는데 경전에 부처님말씀(방편설)이라는 이유하나로 또 속이려 드는가이다
하여, 覺者가 아니면(취햇으면서)
천담만설이 귀신씨나락 까먹는소리 아닌가가 되어지기하외이다
허니 조심에 조심 해야한다 말하는것 이리라
그물을벗어난 금물고기는 어찌해야합니까
밤길은 아무리 조심해도 위험하니 밝은날 다시오라(더욱정진하라) 하시엇느니라 

三昧
취중진담 이라는말이 잇다
술에 쩔어 뭐가뭔지 모르고 횡설수설하는 말중에 眞談이잇다
言中有骨  말속에 뼈들어잇다
이런 말들이 다 분명한것이  점점 희미해져 가는 상태에서 내는 무슨말인지도 모르며 내뿜는소리  
(말 이전에는 소리엿느니라)가 오히려 진담이라  무의식상태에서의 해롱몽롱대는소리가 진실적일쑤도 잇다는 말 이겟다

섭섭은 잠깐이라고 눈앞의 근심과 곤란 참고견디면 꼼짝말고不動淸淨그냥 살아가면(내구력 기르면) 머지않아 기쁨의날이 오거니~求苦求難  苦盡甘來
모양相에 집착하는 습관업으로, 설사 사주풀이에서 아무리좋아도 반세력의 칩입을받아 곤란맞이된다면 역경살이 감당키 어이련가
하튼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 앵글안목으로는 조아봣짜 잠시잠깐이요, 굳이 좋은것이라면 안목이 혜안목이되는 성질머리를 바로보는 공부인이 되기를 바라는 기도인이라면 정신머리가 조오타 하겟으며 善財童子로 나기를 바라는게 참으로 좋은일 아니겟는가이다

섭섭은 잠깐이라고, 눈앞의 근심과 곤란 참고견디면(쉬운말로허자니 개긴다 이지 인욕빙자 수행이겟다)
 꼼짝말고不動淸淨 살아가면 머지않아 기쁨의날이 오거니~求苦求難 苦盡甘來

 

   우리휴게실 :: 부처님되신날

 

자성력
우리는 자성력보다는 타성에 집착하므로써 타성력에 익숙하여 눈잎에잇는것을 보고들을때 直示視하는것이 아니라 曲視하는 집착성으로보게되니 (曲不藏直굽은것은 곧은것을 감추지않앗다)알음앓이로써 살아간다하겟다
알음력이 강하면 知識으로써 살아가는것 이겟고 직시하므로써(냉철하므로써)무착하는짓은 모른채 살아가고잇다고 본다 
우린 너무 지식으로 살아왓다
하여 부처님 말씀도 알앗다 해봣짜 자기 지식일뿐  아닌가이다

의타성=지식 자성력=지혜를 낳는다

수중착월
지식으로 알려허면 곧 어그러진다물속달이 진짜달인줄알고 집착하면 어그러진다
어그러지지않는 달(자체) 을 보는안목을 갖어라
直指人心  見性 (이룰)성佛

보고듣는 일일이 지혜안목으로써 보고들으며 살아간다면 이런들 저런들 어이하리오
집착識으로 볼것인가  무착識으로 볼것인가
주장자 들어보이며 이것이 무엇인가?
필요악으로 두터워진 주장자
벗겨내고 본다면 말해보라
지혜로 볼것인가 지식알음으로 볼것인가의 문제 이겟다
비相가 내린다用
꽃相이 핀다用
나相는 안다用
相과 用의 존재物相의 움직임이다
내리는비 피는꽃 아는나
이도리가 옛과 지금을 지난다

저비가 저꽃이 저나가
내가 그의이름을 불러주기전에는
하나의 움직임에 지나지않앗다
꽃은 이름이다  꽃 이전엔 뭐엇드냐 이다

움직임動 行 하는것 아는것
물은차고 불은 뜨겁고 흙은검고 바람은분다
불지않는바람

섭섭은相 잠깐用
섭섭은 길지도 짧지도 멀지도 가깝지도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늘지도 줄지도않는다無 空  不動
에또~ 淸淨허다
언설도 문자도 相이요 티끌이요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般若心經

표현할쑤없는것을  표현하는것도動 흠 이요 허물이요 T 業力이라 보는것이 지혜안목 아닌가이겟다
보살이 相(我 人 衆生 壽者)에 집착하면 보살이 아니리라

청정에 등돌리는 背信行이랄쑤도잇겟다

이게 뭡니까요?

眞空=妙有 묘유=진공
부처=중생 중생=부처

칠불통게 七佛通偈


곡불장직曲不藏直

曲不藏直 굽은것은 곧은것을 감추지않는다
마음이 삐딱하면, 모든게 삐딱허게 보인다
삐딱한마음만 내려놓으면 또 벗어나면(뱀이 허물벗듯 벗어버리면), 삐딱曲 아니면 곧 바른것直이어니(어둠이 아니면 곧 밝음이듯이) 굽어야만하는 결정된법은 없기에 유동적이어니 習觀머리性 바로하면 그대로 광활한 자유요 해탈이요 청정이어니 하는짓짓마다를 그냥하는것이라보는것이외다
그타이므로 眼目을 높여야하고 안목이 높으면 뵈는것것들이 살아가는데(지나는길道에)가시덤불苦難을 만나더라도 가시밟으며가고(즐기듯이 구름에 달가듯이) 또 꽃길을 밟으면서도 (덤덤히 나의길을 무탈이랄껏도없는 길을 그냥 걍 걸어가노라 근데 어찌 그리되는가 그건 특정인이나 그럴쑤잇는 일이겟찌요

아니라오 아니라오 그게 아니라오

우리가 단지 몰러그치 이미 그러고 잇고 앞으로도 그럴껏 이라오 

문제는 이미  행하면서 요눔의 행함을 불각 알지못할 뿐 이외다
부처님 팔만대장경설 뿜어내셧찌만서도 단 한마디도 하신적이 없엇노라(없는짓 조차도 없는(生滅滅已) 해도動(有爲法) 행한바없는 하여 참수행자에게만은, 소위 필요악(방편)으로 應無所住 而生起心 머믐바없는 마음으로 길을 가시엇노라

 

한가지소원은 반듯이 이루워진다

절망에 빠졋을때(한계에달햇을때   한번더 생각해보지도않고 A하고 뛰어내리게된다 한번 아니라 두번세번 생각해도 그간의 습관업은 뛰어내려야만 햇떤것이다 한번더 자문自問도해보지만 역시나) 極에 달햇을 그때 한강다리 난간을 잡앗을그때, 기도하라
나를 구원하소서
기도는 누가 나를 구해주는것이 아니라 自作自受라고 죽으려는自作자도 나我이고 기도하는자도 나이다
근까 나를 구원하는자도 나이어야 한다는거다
나는 창조자自作者이고 수급자自受者이어 나=覺者 아니고는(자력 아니고는) 그 어떤것도 나의 生死문제를 보호해주지않는다
나를 구원하여 주소서
간절한 기도를할때 직지인심 그마음을 바로 보아야한다(죽으려는마음)
지금 나는 죽으려한다는것을 바로 보게되고 봐야하는 지혜가(잇는 대로 걍 보는것 근까 죽음빙자 바라밀이라할까)나게되어 죽음에서 기도하므로써  두손모아 싹싹빌고빌어, 죽지않고 걍 살면 그게 救願 救援(=죽음에서 건져내어 살게  해달라는것) 아니겟는가이겟꼬(이 상황에서 살아도 또 죽어도 실체에 그림자가 살고 죽는 것이어 잠시 잠깐이겟다)또 뭐냐 환으로써 환을 치료허는 이환치환 아니리오

죽기전에 한번더 생각해봐야 습관업性이 六識알음짓 한번 더 해봣짜 妄想을 피울뿐이어 지금상황을 맞이하고 잇으면서도 바로보지못하고 이럴까 저럴까 하는 業童子의 짓을벗어나지못하고(이래도 저래도(긴가민가) 같은 執着유위法이어 마치 늪수렁에 빠져 허푸허푸짓 이므로) 질질끌려가는 사형수처럼 상황에 끌려가야만 하는것이다
죽음의 벼랑끝에서서  걍(=殺佛殺祖정신으로)한걸음 더 내딛어라(천마가 날아오르듯이 방편선에서 반야선에 속히 오르사) 백척간두 진일보百尺竿頭進一步

죽으려는자가 무얼 바라고 기도 허는가 (어떤것이 진일보인가)
가정걱정 사회걱정 나라걱정
왜? 나를위하여
나의가정을 위하고 내나라를 위해서이겟다 我  我所 나와 나의것을 위함으로 기도하는것 아닌가
죽음빙자 바라밀행을 해야만하므로 평소 조껀없는 행위를 행위짓을 익혀야만하는 연고 되겟다

빙자바라밀
보시빙자 보시행위를 하되  생색내지않는그냥 자연스럽게 청정에 흠집(상채기 기쓰)내지말고 옥에티없는 삼륜청정행 보시를 함에, 주는이가 누군지 몰라야하고 그물건이 뭔지도모르고 받는이도 모르게 그야말로 귀신도 모르게 행하는 짓이 참된보시 바라밀행 이라 말하고 잇는거외다
내가 죽으려는것을 바로 直觀하므로써 기도를 하므로 기도를통해 살아나는것이라 본다
죽으려 하는자가 살려하면 얼마안가 죽을것이요(모양다리 형상에 집착성중독자의짓인 알음짓)
죽자하면 영생 恒常늘~ 살아갈것이다(성질머리(우두 마두모양새, 소갈머리)가 자성없는 티끌상이므로 다시말혀서 티끌이 티끌이 아니어(이름만잇고 실제는없는 소위 유명무실) 우리들 살이살이가 살이살이가 아니라오 아니라오 그게 아니랑께 죙일 먹어두 먹어두 밥알하나 먹은바 없소이다 죽어두 죽어두 늘상님되어 지끔두 여기에 살고잇음이어서 智慧짓 지혜로써 살아가라 하시엇느니라
죽으려하고잇는지끔을 直示하고
祈禱(=청정짓으로써 살려하고 살아가는것)하므로써 한가지 궁극의 소원은 반드시 이루워지리라
두가지(=모양다리相 生 또는 死)도 아니고 한가지 (=습관성질머리)는 반드시 중도뿐으로써 이루워지니라
법성원융 무이상 제법부동 본래적

 

☞배경음악​​ 이라희 Pledging My Love 사랑의원력

사상 四 相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말한다

오랜전통의 바라문교에서 아상(아트만사상)을 주장하는 가운데 불교는 신흥종교로서 그아트만사상에 대하여 아트만이란 없다하시는 무아無我 를 주창하시엇다

근까 기존의 아트만사상이 바른것이 아니다하는 무아사상을 내세우는것이라본다
일체가 空하다는것이어 무위법을 말씀하시므로써 無我는 물론 無我所 나는 물론 나의것도 없다이다(나가 없는데 나의것이 잇을수잇겟는가)
나의것들, 나가 호랑이도 곰도  나무도  돌맹이도 아니다이다
근데 사람이다 하는것도 인상人相이지못한다 有爲法이다
衆生相도 아닌데도 유위법으로써 무위법이 아니다
근데두 어리석은 소견머리로서 유리한것은 내짓이요 자식이 잘난것도 날 닮아그타 내로남불 내짓은 로맨스 네짓은 불륜 또 뭐없나  내가 하는말은 부처님말씀이고(경전에잇는말씀)
네가 하는말은 네생각일뿐이다

또 강자에겐 약하게굴고 약자에겐 강한것 이또한 그치衆生相 아니한가
이게 다 유위법이요 개구즉착開口卽錯(입열면 곧 어긋나버린다 물속에 달잡으면 어긋나듯이~)이라 허는것이겟다
無我는 無爲法을 말하는것으로써, 소위 淸淨空 으로  절대적 상대적공이 아니요 유무가 아니고 부동 動  둘다 아니어 말씀하시되 잇으면(잇다로 말하자면) 둘 다잇고 없으면(없다로 말하자면)둘 다없다
하여 쌍차雙遮 잇다 없다 둘을 가리키는 것으로 둘이없다면 雙照 둘이잇게된다 비쳐진다  遮照同時 없는것과 비쳐지는것이 함꼐이다 하여  예들어 말하는것으로 어둠이 사라지면 곧 밝음이다 라고 하는것이겟다
壽者相도 나의것의 하나로서 거 뭐냐 내가(담배살려고) 내일 줄꼐 만원만 빌려주라)
내일 줘? 절대로 내일까지 산다는 보장없을텐데(자고나면 발딱 일어나지않고 개기다가 마지못해 일어난다)

모든것이 불투명거리는판인데 개그작거린다, 당장 지끔이자리에서 발딱이 아니라면 아닌줄이나 알것인즉, 불확실투성뿐인 지금 이자리에서 내일주께? 엉덩 무거운소리 허덜말구 지끔 오천원 뿐이니 이거받구 갚든 안갚든 허시게  바라밀행

하여 돈거래헐때 빌려주지도 받찌도말고 거래프면, 강 주는것은(받는것은) 어떠하신지요

지금을 사는 우리휴게실

언제 밥한번 먹자?

지금도 잡을쑤없거늘(장담키 어렵커늘)  언제? 어느세월에 ~     과거심 현재심 미래심=불가득
이 말속에는 그때까는 않죽는다 더나아가 백년도 못살면서 천년을 살껏처럼(이렇케  하는것이 壽者相 이라본다)
어쩢꺼나 모양다리相으로서는(우리들은 ) 언어도단이요 심행처멸이어 어떠한것으로도 妙有라 일컬어지는 우리들의 본습관업은 표현할쑤잇는것이 아니다(각자승질머리는 독뿔장군이어 또 청정의DNA? 티끌이어 생겨먹끼를 표현할쑤없게끔 생겨먹어, 표현하려는것은, 펄펄끓는 솥에 물 마시려고 입을 들이대는것과 같드란다

오죽허면 일체지자이신 부처님꼐서두 걍 튀려햇으나 범천에걸려 방편설을 설하시고는 한말씀도 하지않앗따(오리발 내미셧겟는가) 응무소주 이생   심이, 칠불통게에서의 자정 라 보는것이어

그마음 =그뜻이라보며 청정공 이라본다 공재상공문 바른수행자는 늘상 마음을 공문에 둬야한다 -전강선사-

하여 공문에서 움직이는 일념일어나는것을 보라  백척간두에서 진일보처소  살불살조처소 청정공처소 =공문 아닐까 허는것이요 살아두 죽어두 독고 노인(업독짓는 늙은이) 이외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일체 모든相은 허망상塵相이어 變해가므로 머물러도 잠깐이요 길어도 그잠깐의 순간의 쬐끔상속일 뿐이라보는다
우리들이 앞생각에 집착하는것처럼 단위가 쫌 달라그러치 그게그것이어 일중일체 다중일 이겟다(일보 일 뿐이다)
하튼  모든 모양다리相이 相이 아닌줄로보는 바른안목으로본다면 곧 여래를 보리라 (.....)

바른보살수행자는 사상이잇으면 보살이 아니다 사상이잇으면(그러한 생각相이 잇으면=有爲法) 바른 수행자가 아니다(자격미달?) 하는것이다
근데 이것이 사상이없으면 깨달음을 얻는다는 말로住해버리는 오류를 범하게 되는것으로 생각알음앓이로서 참선자의 소치는 아닌것이며 알음相에 의지하면 그런것이랄쑤잇는것이다
안목이 흐린것이랄쑤잇겟다
하튼 참선수행 보살은 사상이 잇으면 더말하자면 그것은 이거다 저거다옳다 그르다 시비를 지금 나처럼 허게되는 바로이것이 유위법이요 결정된법無有定法결정법은없다하는것에 반하는것을 보는안목이 흐린것이라 보게되는것뿐 이겟다
여기서 하고싶은말은 안목이 나서生 住하다가 離(어 아니네하고 멀어져가다) 결국에는 滅하게된다 무상한 모양다리에 집착하는 늘상을 보지못한다 깨달음을 얻지못한다라고 말하게되는 말을 할뿐이외다
하여 읽고 쓰고 하는 행위에 익숙해지는 성질을 스스로짓고잇으면서도自作 그걸 모르는 작은 착오를 일으키면서 그착오를 의지하여 움직이는 果報行 의타기성질머리로써 안타까운 길을 가는것 아닌가이다 호리유차 천지현격
쬐끔착오가 자라나면(굴러먹으면) 하늘만큼 땅만큼의 착오가된다
향곡스님과 그법제자이신 진제스님과의 대화가 생각난다

(전 략)

서로 喝을하고는 소승의허물이 큽니다
노승의 허물이 크다 하시엇다
여하튼간에 독고노인은 이에 어떠하시렵니까 쿼바디스

산이라면 넘어가고(주고)

물이라면 건너가노라(주노라)

졸리면 자고 고프면 먹는다
누군 아닌가요?
인+연=과 이다
우리들의 하는몸짓 말짓 생각짓은 果이다

업짓이 계속 상속을 한다
이말은 인과 인과 또말해 果의 연속連續 상속相續이겟다
또말해 결과의 계속繼續이 가는動 길道이다
일즉일체 다즉일 이라고 하나가 모두이고 모두가 하나이다
일보가 백보이고 백보가 일보라는것으로 하나性質머리가 動動거리면 모양다리相도 動動거린다
성질머리를 바로볼때 하나의성질머리가 백보 천보만보를 걷는다해도(움직인다해도)하나의 움직일뿐이요 연속일뿐이다
그나 모양다리相에 집착하여 보게될때 그하나는 결정된 기계적 숫자상 개념상 하나이므로 하나가  또하나가 되어 둘 셋 넷 열보 백보가 되는것이다
이유일유 일역막수
결정된하나가 잇으므로一有 둘이 잇게되는것이므로 그싹수를 없애야 둘 셋이 나지生않는고로 하나마저 지키려하지마라(모양다리相에 집착인 연고로)
그나 성질머리는  하나라 말하지말 그건 필요악語이므로 청정한 하나인거다
성질머리 하나는 하나도 아닌 무 청정 이지마는 그래도 헛깨비이지만 잇으니까(틀린 모습이지만 맞다 틀리다 하고 모양다리相이 허깨비처럼잇으니까 궁여지책으로써 헐쑤없이 하나라 말하지만 하나相이 아니라 방편상 하나 허깨비하나 이겟다
하튼간에 깨닫고저하는 보살수행자는 相을 보지말구 習性質을 보아 眞空妙有를 바로보아見性 부처를 이룬다 성취한다 見性成佛
우리는 보이는 모양다리相에만 집착하여 보고 또 집착하여 듣는 나쁜邪삿된짓으로써(잇는그대로 직시하는것의 장막 장애 근까뭐냐 색안경目으로써 보는것에 익숙하여 보되 본것이 아닌줄 모르다 그면그타 삿되게보고 삿되게 듣는통에 보고 들어봣짜 배워많이 아는것인양 깨달음에 이른것같찌만 어림도 없드란다
에휴~ 그저 늙으면 죽어야해
죽어야지 죽어야지 하면서도 여태껏 말로만 까발리고잇으니,  거짓말이 아닌데두(말짓상 생각짓상에 집착인줄 모를뿐이라우=언행불일치 지행불일치) 노인들의 거짓말로 자리잡아가고 잇드란다

모양다리相에 집착한다는것은 하는짓짓마다가 모두 참 같찌만 다 뻥이어 속고 또 속이는것이 되뻐린다
석가족도 우월족이라는 相에 집착타가 멸망이라는 과보의길을 가야만햇떤것 아닌가이다
것뚜 부처님이 보고 아는마당처에서~
확철대오가 아니면 자망망타 나도그코 남도 그케 만드노니, 우리들이 그리고 내가 보고듣고 알아, 이쿵 저쿵 하는 수렁늪에 빠져 허부적거리고잇는 꼬라지임을 알든몰든의 길을 가야만 헌다네 

보시라요

누가 독고노인의 이 짓꺼리를 멈추게 할껏인가

WHOLL STOP THE RAIN WHOLL STOP THE RAIN​  결자해지
보이는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한 어떤경우에도 거짓말이 생겨生나게 되는것이다 

성질머리에서보면 그어떤 모양다리도(유위법=묘유)이겟찌만(=열반적정), 모양다리에 집착이면 같은행위일찌라도 습관무명업덩어리의짓이된다(=일체개고) 좌우지간 확철대오자 아니면 삼계에서 개고생이어니, 죽으면서도 맘공부하면서가야만 허는것이라 보는것이외다
나는것은 반드시 사라진다 생즉멸
변하는것에 익숙한해진 성질머리는 죽어가야만 햇떤것이다
봣다는것도 들엇따는것도 햇다는것도 또 깨달앗따는것도 그건 거짓말 쌔빨간 거짓말이엇떤것이엇뜨란다
마치 공굴리며 좋아하고 아슬아슬 줄을타는 빨간코 삐에로 처럼~
나무 관세음보살

 

CCTV
언제인가 cctv를 구입하여 설치를 햇엇다
구입동기가 뭐 도둑잡으려기보다는 판매하니까 단순호기심으로 구입해설치하니 내가 자고 일어나는것을 보니 내모습 내짓짓을  낯설어하며 드려다보고잇엇다
화면속의 나를보면서  보고잇는 나를 생각하니 묘한기분이 든다
저화면속의나는 내가 보고잇는줄도 모르고 움직이고잇엇다
저가 나고 이도 나이건만 움직이고 생각하는것이 동시건만 한사람이 아니드란말이다
너와내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고 말한다
생활하면서 저와 내가 둘이요  화면속의 나조차도 둘인데  어떻게 하나가될까?
속성은因 緣에따라 모양다리相을 나타낸다果
생활하는 나이던 화면속 나이던  다  보고 듣는것에 집착하므로(根+境=識) 중생이요
6근이 보고 들리는것에 집착하므로緣 우리의 알음식이(육식六識이)난다生 드러난다顯
果物=나我다
이 과물이 일어나고 세수하고 行住坐臥 움직이는것이다
일어나면 나아닌 다른것을(책상 티비 등)보고 또 듣는다
그리고 앎(識 生覺)이 나타나는것이 바로 내가 좋아하고 혹은 싫어하는 두두물물을 만난다
좋아하는 담배 싫어하는 술을 보매  일으나는 생각(이게 육조스님이 말씀하시는 앞 생각이다
말씀하시기를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이니라
내가 좋아하는 담배를 보고 좋아한다 좋아한다고(집착중이다) 이 애착愛着이(이 증착이) 부처.중생의 갈림길 나뉘어 지려는 순간맞이 이겟다
애착하는순간 중생이요
애착하는순간이구나 하고 알아채면覺(두번째생각 근까 뒷생각이라본다) 부처라는 말로 알아먹고 먹으며 춘하추동을 맞는다
정리하면 우리들살이에서 일어나야지 세수해야지 낮晝이네 밤夜이네 등등이 앞생각투성만으로 생활하고 잇다는거겟다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이라 이름하고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라 이름하는것이다
6祖 慧能 단경에서 말씀하시다
CCTV를 드려다보면서 前 ㆍ後 생각짓을 살펴본적의  이야기가 서로 만난이야기를 하는것이외다

 

설 맞이 인사

오늘이 음력 1월1일 설날이다
새해맞이 첫날
옛부터, 시작되는 처음을 귀하게 여기어 오고잇다
어릴쩍 구정때면 아버지꼐서는 목욕탕을 데리고 가시고는 내등을 밀어주시던 아버지꼐서 언젠가부터는 아버지등을 밀어보란다 
그뒤로 목욕탕을 가면 아버지 등을 밀어드리던 생각이난다
하튼 첫뻔의시작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므로써 의미가잇다
초발심시 변정각
처음 마음이 일어나는것이 두루두루 바른깨달음이라는거다
왜냐허문 백보 천보가 一步의 연속 계속이기 때문이라 보기 때문이겟다
일보가 일보의 성질머리를 보는가 
일보의 모양다리를 보는가의 차이일뿐이어
성질머리=일 일 일 =일보일뿐이다
모양다리=일, 이보 삼보=우리의 중심되는 알음 이다
하튼 모든 존재물은 어찌보는가에 따라 하나(속에)가 모두이고 모두가 하나라는거다
어찌보는 안목으로 살아가시는가
시야가  쫍으면 부분적으로는 잘보이겟찌만 변하는것이 잘보이지않는다
그나 넓으면 부분적으로는 잘보이지않켓찌만 전제적으로는 잘보인다
모든 사사껀껀이 시야가쫍아 좀작게맞이할 사껀도 일일이가 뻥뻥 대형사고 맞이 아닌가이다
운전이 그타
초보땐 멀리보지못하고 가까이만 보기에 바쁘기만 바쁘지 사고는 위험천만이된다
우리들은 각자각자 개인주의가 편해 대가족제에서 소가족제로 그리고는 독거제에 이르르고잇다
어느제이건 사는건 마찬가지이지만  모양다리 가족제이어 성질머리(하나제도? 화합제도?)는 멀어져간다
하튼 오늘 한해가 시작되는 하나날이다
성질머리로 볼때
365일이(날마다가) 오늘 하나날의 연속이라는것을 안다면 오늘짓짓을 어이련가

걍 짓으로 하던지
걍짓=不思善  不思惡 善도 생각치않고 惡도 생각하지않는것으로서
행하면서도 행하지않는(=보시빙자바라밀=주는 것이施物이 돈이거나 친절봉사이거나 웃거나 혹은 울쌍이거나(칭찬하거나 욕설을하거나)혹은 길갈쳐주거나  짐을들어주거나 모두皆, 시물施物이라하는데  이익을주거나 손해를 준다해도 걍(청정)~ 행위行爲를 하는것 이행위하면서 쪼끔이라도 조건이 붙는다거나 또는 주엇따는 쬐끔의 생각조차도 없어야한다
더말하자면 주고받는 행위에서의 해탈(벗어나는것)이랄쑤잇겟다
맨날 무엇을하면 이름名과 더불어 색色칠하듯 알음을 낸다면, 참된 보시바라밀이 아니겟거니와 오히려 선업 또는 악업을 더 두터히함으로써 지혜는 멀어져간다
처음할때는 힘만들고 해봣짜 재미는 없지만,또하고  또하다보면 힘은 덜들지만 재미는 더없다(이것이 찰된 修行(씻어내는짓=집착하는것이 잔뜩이다가 덜어져가는데 그것이 재미라면 수행할쑤록 덜재미가되는것이겟꼬 부자라면 껍데기 부자(모양다리부자 김빠진부자)는 저나름짓 이던가 말던가, 속알머리性은  무착화無着化 되어간다는것이다
근까 부자에 무게가 빠져  화실히 없어졋다하면, 모양다리相인 부자는 앙꼬없는 찐빵 이더라이다
쌀알로  밥지으면 밥맛이난다
근데 한 이년지난 밥알로 밥을지으면 아무맛도 안나는것과 같다  예를 잘 드는것인지는 몰겟으나 하튼 그타
김빠진 맥주 콜라 사이다 같찌 않을까이다
부자이지만相 관계치않고 그냥 살아간다
무심하게 살아간다
돈을 써도 벌어도 걍 할뿐이다
왜혀?
무얼햇단 말인가?
돈벌려 허잖어
글~ 쎄 다
양무제가 내앞에잇는 그대는 누구요 햇을때 달마는 말한다 不識 난도 몰겟소 하듯이~
돈을 벌어도利益愛  損害憎이여도 關係치 않는다(청정목)
불사선  불사악(=淸淨)을 삐질땀 흘리며 말하고 잇는것이외다
여하튼간에 좋은것 싫은것 천당 지옥도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 者의 이야기이지 참된 수행보살자는 굳이 관여할 바는 아니라본다
피도 눈물도 인정도없는길  中道의 길이드라
그눔의 깨달음이 무엇이간디
나를 이토록 괴롭힌단 말인가
헤이구
수없는 짓꺼리 하면서두 바로보지못하는盲目者 눈뜨게허려는 고육지책苦肉之策아닌가 할 뿐이라우
아이구 팔 다리 허리야

모든것은 자기가하고 자기가 받는다(자업자득)
자기가 호랑그려놓고 지가 놀란다
귀신그려놓고  지가 놀라난리굿이다(자작자수)

하튼, 지혜자는 끝까지 내 탓 이로구먼 일  뿐 이어라   왜? 지혜자 이니까(너이건 나이건, 움직여 탓구경맞이가 없엇따면, 무슨탓이 잇겟냐마는,쏘기만햇찌 맞은자는 하나두없네 일체중생을 제도햇껀만 한중생도 제도된자는 한사람두 없다 하엿듯이~)
하여,,  하튼 천지개벽이 벌떡 일어난다(생겨난다)해도, 나에게서 탐진치(삼독심)가 일어나지(생겨나지)않케 해야만 하므로 씻고 또 씻어야 하는갑다
어제 게으른 이유를 무시하고는 목욕을 하고,, 하며, 이공덕으로 부처님의 가피가 잇끼를 빌어보련다
오늘 설맞아 잘 보내시기를 독고노인  진심 눌러담아 보냅니다
해피 뉴이어r~
20250129

 

이 뭣꼬  是 心摩

과果=인因+연緣
모든 존재물은 인+연에 依한다
나도 너도  주위에잇는 책상 장농 컴 커피 등등이 모두 因緣和合物 아닌것이 없겟다
보이고 들리는 것것이 모두 인연화합물이요 行住坐臥 語默動淨 또 春夏秋冬 興亡盛衰 喜怒愛樂이 모두 인연화합물이겟다

부처님 피골상접이면서도 고행하시엇듯이, 정신머리 죽은듯 지금을 잇는 그대로 알아보아 우리살이가 화화초초 두두물물이
하나성품임이 분명하여야 한다
맞이하는(보고듣는)상황에 대하여 초연超然하는 힘을 길러야되는(淸淨心力)안목을(慧眼目) 갖어야하겟다

見道 修道  證道
우리살이를 행하면서 行하는것을 보는것이어니(業力), 다시말해 보고듣는것이 다 업력에 의함인것을 보고듣고하며 알아먹어야허는것임에도 알아먹지못하고 보고들으며 흘린다는것이다
자기의 순수무잡한 性品을 바로보지못하고 한번相에
집착하여 행위를하는(하게될行爲) 또말해 이미 집착한 한번相인데 이에 또 행위를 하는 雪上加霜 내린雪에 서리가霜 더하는것처럼 이미 업력에 끌려가는데 또 끌려가므로  習慣業力은 더욱强해지는것을 業藏만두터히한다 업만 퍼짓는다 표현하는것인바 반면에 이벌어지는 사껀을 바로보지못하여 지혜智慧는 멀어져간다
업짱이 두터워지는만큼 지옥고는 두터워져가고 알음앓이는 앓이 앓이거리는것이라(아리랑거린다) 나는 본다이다

보고듣는것果에 집착하면헐쑤록 볼쑤록 들을쑤록 알아질쑤록 보람찬늪살이는 공허할 뿐이라 허겟꼬 허부적거림은 苦難의 몸짓인 한편 救願의 몸짓이라 본다
一切는 有心造
모든것은  마음이 만들어낸다
우리가 인과법칙으로 이미 만들어진果物로서 어떤 허부적거리는 늪살이를 할것인가
어이할것인가 일 뿐이겟다

이대로 좋아요?
또는 구원해주세요?
하튼 우리부처님꼐서는 우리들이 늪살이를 하므로써(대자대비심) 우리들세상에 출현하시는것이다
우리들이 늪살이 중생이 하나도없을때까지 성불치않켓다는 지장보살님의 대원행은(여기서 잠깐 쉬어가는 이야기로  이때 지장보살님은 고통스러우실까 아닐까이어다) 우리들의 희망이 아닐쑤없다
  
우리들의 습관성질머리가 움직이는대로 그림자가 실체를 따르듯이 모양다리相은 따른다
늪살이相 보이고 들리는 모양다리相은 천평저울처럼 좋으면上 반드시 한쪽은 싫은것下가 잇끼 마련이다
이러틋 모양다리상은 좌우가 좋고싫은것이 함꼐한다 
보이고들리는 모양다리相에 집착하여 좋은것에 집착타보니 싫은것은 탐탁치않는다 어제도 오늘도 습관업력을 두터히한다
사랑도좋고 친구도좋치만 우리의힘찬 욕심은 그좋은것도 잠시잠깐, 두리번거리며 그 무엇을 갈구하게된다이다
사랑 good 친구 good 두리번 두리번 갈구허다가 막걸리따라주는 색씨가 더좋트라 엥에야 엥에야~
우리는 모양다리相를 보이며 행하면서 그 행하는것을 잇는 그대로 보듣찌못하는 알음을 두터히하며 살아간다 흘러간다
드러내는것이라 허겟다 無明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면(이것과 저것 한계지으며獄家 살고)양극단에 치우쳐 살아가고(죽기아니면 살기로 길을가고)가면서, 극단에 걸리지않는 중도의 길을 가려는것이겟다
뒤돌아 보는것이다

우리는 우리가我 하면서도 하는것을 모른다
설사 백번양보해서 성불치는 못한다 하더라도
우리짓짓을 알아보기만한다해도
지끔보다는 덜~(덜 이라하지만 체감도는 무척이다) 고난의세월을 살아갈것이라독고노인 강력하게 주장하는바 입네다
아이쿠 턱주가리야
이 뭣꼬  是心摩
과果=인因+연緣
 

해서 버리는 말 이지만 쫌 곱게하라
모양다리相에 집착하는 자끼리 하는말이고 당연지사이겟다
허나 참된수행자는 성질머리를 관觀하므로 그런相에 관계치않으므로 개의치않는다
별 차이가 큰차되므로 참된수행자는 자기와의 싸움을 하는것이요 시시때때로 힘을 얻어가는 색을 보면서 색에 물들지않는 청정심을 길러가는 보이고 들리는  色相에 물들지않는 색상色相빙자 바라밀行을 하는것이다 가면갈쑤록 길없는길中道을 가는것이다 허겟다
아픈만큼 성숙해지듯이~
또 고난을 당연시 하므로써 고난없는 고난의 중도의길
以幻治幻의삶을 살아가는것이라 본다
배가고프면 먹고 보고프면 만난다
이게 다 (고프다 먹는다 만나고싶다) 움직임이라하겟다
그면그타 이겟다
하여 산이라면 넘어야하고 강이라면 건너를 가는것이 온누리가 움직이는것 투성이겟다

하나의움직임
성질머리로볼때는 이짓이건 저짓이건 하나짓이건만 모양다리相으로볼땐 똑같은짓이건만 부모가 자식을 자식을 부모가 버리기도하는 천평저울의 기울기는 움직이는것 드러나는것이다
하여 내가 움직이지않으면 모든것은 움직이지않는다
내가 움직이니까咎 
만물이 生기는것 아닌가이다
果=因+緣 
이게 먼 일 이래?
다 너 탓咎 이니라
우주가 언제 생겻찌?
네  탓이 날때(낫따) 이겟찌
참선은 卽 수행이다  출가가 수행이듯이~
우리는 길을 가는 주인공이겟다
해야지가  가야지가 아니라
이미 하고 가고잇는것이라 말하는것이겟다
하면서 이미 하고잇는줄을 모른다
왜?
우리들은 이미 몸짓 말짓 생각짓을 하면서도 하고잇는줄을 모른다知行合一
보시 해야지 말을 햇을때
보시해야지 말을 하고 잇다는거지
그것이 보시를 햇껀 않햇껀과는 다른 사껀이라 하겟다
하튼 우리들은 業報衆生果物이라 이름名한다
꽃이 꽃이라 인위적으로 이름하듯이 그리고 꽃은 피듯이
우리도 일체유심조 이겟다
모양다리相은 허망하다
약이 색견아 이음성구아(다 하나의 움직임으로 물든것 이므로)
시인 행사도 삿된것이므로(보이고 들리는것에 집착하는짓을 하는것이므로 사실과 다르므로卽邪 바르지않는 짓을 하는것이므로)불능견여래 (청정한 자기를 만나지 못한다)
잇다하니 동서남북 이지 없다하면 無方 하리라
이제는 알음을 깨야할때인것이 필수가 되어야하는것  아니겟는가
南無 阿彌他佛

작년 아니 재작년 근까 8세 남아가 오며가며 할배할매품에 앵기며 볼에 쪽쪽대다가 어느새 색종이로접은 鶴을 보이니 어느할배매 이뻐환장치 않으리오.어생일각이 학삼성이다하는 말이 떠오르고 에또~ 기간송정 학두홍 몇이나 학의머리가 붉은것을 보앗을까 하는말이 떠오른다 백학머리가 물들엇다는구랴 아랏샤*

三學(戒 定 慧)


불교공부는 마음공부이다
중생심이 부처심으로 돌리는것이라할수잇겟다
우리가 그냥 이대로 살아가면 보고들을때마다 잽싸게 물들므로써(집착하므로써) 번뇌망상으로 살아가니까
이러한 삶을 바꾸워轉迷開悟 고난苦難의삶을 無難하게(平安)살아가기위해서는 콩깍지가씌워진것을(안개구름에 가려진것을) 떼어내어修行 살아가자는것이라보는것이다

근까 삼학은 중생이 부처되는 실천강목이라 할쑤잇겟다
혹자는 이미 부처인데 수행은 필요없다말하기도허는데 그건 나면서부터 안목이 출중하거나 아니라면 앓음중독자임을 의심허지않을쑤없다
모든 존재물은 인연가화합체이다
한마디로 조작물果이라는거겟다
조작물이 조작짓을 하는것일뿐 이어니 그러는구나 할뿐 이로세

여하튼간에 우리들은 업덩어리業童者이므로 짓짓이 분수따라 힘따라가된다
그러므로 우리의 업짓중에서 (생활허면서 흔히 저지르는짓 기본적으로 5가지戒가 殺 盜 淫 妄 酒(기호품으로 바른정신이 흐려지므로)를 하지말라는것이겟다
어찌 하는 짓꺼리가 5개 250개 또는 500개 뿐 이겟냐마는 일단의 공부시작은 이렇케 해 나가는것 이라본다
첨부터 꼼짝마라 한다면(일일이 하지마라 한다면) 다 튕겨지므로 근기따라 계 아닌가이다

하튼간에 계(=有爲法) 수행을함으로써(果가 되버린 業力짓을 씻어내어 덜업짓이 되어져 다시말혀 짓짓의허물하자가 적어져(업짓이 가벼워져)티끌이 적어져,(=청정해져 간다)
그러므로 戒行은  사행사과四行四果 
행하고 마치고 를 습관들여가는것이라고도 할쑤잇찌않을까이겟꼬 선정에 들기전의 준비운동이라고도 허겟다
戒 定  慧
이것은 법신 보신 화신이 하나 인것처럼 삼학, 계 정 혜는 동시적이요 하나라 보게된다
계를 잘지키면 선정에 잘들수가잇겟꼬 그면 자연스럽게 잇는그대로 바로보는 지혜안목이(모양다리 상에 집착에서 승질머리 성(습관성)을 직시케하여  지끔의 우리의 짓꺼리가 명명백백 해지리라 믿씁니다

천척사륜 직하수 일파재동 만파수 

千尺絲綸 直下水 一波纔動 萬波水 
야정수한 어불식 만선공재 월명귀
夜靜水寒 魚不食 滿船空載 月明歸

 

쌔까맣케 모르는(한길도 안되는마음相속 직시허니, 하나相이 연상속하며 萬相투성 이어봣짜(인양 보이지만) 直指人心
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겁기만하야 물고기조차 먹찌를 않으니 見性成佛

어이련가
佛祖조차 身命을 잃은터에, 빈배에 달빛만 잔뜩실고 오는구려

분수따라 힘따라 소견머리가 이 뿐이어니  넘 나무라지 마시라요(늘그니 삐질지두 모른다우)
열심히 수행공부參禪하오리다

 

간화선看話禪 과 묵조선默照禪


간화선=말話의 우두머리頭를 간看하는것이요
묵조선은 그냥 묵묵히 몸 말 뜻生覺을 움직이지않고 말로하자면 묵묵默默히 고요히 앉아잇는것이다
개인적으로 볼때
원천적으로는 우리들이 늘 말하는 이미부처요 부처짓을 한다 말할때, 그이미 벌써 진묵겁전에塵墨劫前  성불을이루다早成佛을 향하려는 묵조선이 더 바른 수행법일찌도 모른다
그나, 간화선은 우리들이 말짓을 여러개를(익숙한 상용어를) 하나로모아=和合하여, 그 핵인 대갈머리하나로써 이 뭣꼬?하고 간하는것이어니 이는 지금의 우리들의 익숙한상용어를 간하는것으로, 초보자로서는 맹탕 앉아잇는것보다는 그래도 

만법귀일 일귀하처
만법이 하나로돌아가는것이어니 =화합,(화두話頭) 그하나 화두는 어디로 돌아가느뇨?
이게 간화선 아닌가허는 독고인의 소견머리올씨다
불교가 중국에 처음 전해지고보니 도교가 흥성할때라 도교를 품듯.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는 토속신앙인 삼성각三聖閣은 산신, 칠성, 독성각을 모신까닭도
일체법이 개시불법이기 때문이리라= 모든 존재하고 잇는것은 모두가 불법(유일무이한 自性,法性)의 모습이다

큰산은 작은티끌도 마다하지않는다

묵조선보다는 간화선이 우리 중생살이에 익숙해진 성질머리의 근기에 맞게, 그냥 묵묵보다는 근기에맞는 話(말씀화짜)을 하나로모아頭 간看하는것이(대자대비) 간화선이겟거니와 또 말허면 지금 간화선두 몰라 쩔쩔하고잇는데 하물며 그냥 쬐끔의 친숙함도없는(끼리족속에) 묵조선이라니 더욱 어쩔쩔 하리라
간화선인 습관업을 간하는데도 도고마성 道高魔盛도가 높을쑤록 마구니相이 미끼를 투척하니 (하두 업짱이 두터워) 자기도 모른새 모양다리相에 떨어져, 어둠의 주거둥지를 틀고 자기만의(독뿔장군되어)세계로 나아가는것이라 보게된다 惑 業 苦
업짱이 하두 두터워 때가되면 수행력이의 호리유차뜸새로 스며들어 끝없는 길을 가야만 하는것이다=輪回의길
어이련가

 

' URI休憩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성안목 견상안목  (2) 2025.07.07
사방천지  (1) 2025.04.08
표리부동表裏不同  (1) 2024.10.11
체상용  (4) 2024.04.07
부처님되신날  (1) 2024.01.17
Posted by 獨孤老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