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잔고목摧殘枯木 

  썩고 부러지고 이지러진 마른나무 막대기가 최잔고목이다

이렇듯 쓸데없는 나무막대기는 나무꾼도 돌아보지 않는다

땔나무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불 땔 물건도 못 되는 나무 막대기는 천지간에 어디 한 곳

쓸 곳이 없는 아주 못 쓰는 물건이니 이러한 물건이 되지않으면

공부인工夫人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잘난 싸움마당에서 춤추는 미친 사람이 되고말아서

공부 길은 영영 멀어지고 마는 것이다.

공부인은 세상에서 아무 쓸곳이없는 대낙오자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오직 영원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 희생해서 버리고

세상을 아주 등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누구에게나 버림받는사람,어느 곳에서나 멸시당하는 사람 살아나가는길은 오직 공부길밖에 없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세상에서 뿐만 아니라 불법佛法 가운데서도 버림받은 사람

쓸데없는 사람이 되지않고는 ‘영원한 자유’를 성취할수

없는 것이다

천태 지자대사 같은 천고의 고승도 죽을 때 탄 식하였다.

  “내가 만일 대중을 거느리지 않았던들 육근청정 의

   성위聖位에 들었을것이다 그러나 대중의 어른노릇

   하느라 고 오품범위五品凡位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지자대사 같은 분도 이렇게 말씀하였거늘 하물며 그 외

사람들이 랴. 

 

수도팔修道八戒중에서

 

이곳 다담빵에 처음 올린글이다 퍼온 글이지만 최잔고목이라는 용어에 눈이간다

눈만 깜북이지말고 입만 뻥끗말고 인연소치 생각인 분별사량짓 말고 

신 구 의 를 몽땅 버릴양으로 공부하라

백척간두 에서 진일보 하라

이것이 잇으므로 저것잇고 저것사라지면 이것도없다
이집착 잇으면 저집착잇고 저집착없으면 이집착도없다

우리의 마음을 동전의 양면에(분별성) 비유 하기도한다
앞면잇으면(잇으면=집착성意識性=수연성)뒷면도 잇고 뒷면이 없으면 앞면도 없는것이겟다不變性
낮*밤 잇찌마는 밤없는 낮, 낮없는 밤없다
잇다면 다晝夜 잇고=妙有 없다면 다終日 없다無空
근까 이를 所謂 진공묘유라한다
다시말하면
진공묘유가 무엇인가?
모든 존재물의 양태樣態 모습이다

나와너 우리의 모습이다=진공묘유=공갈빵이體相用중相, 허풍선을 불구잇다用=목인木人이(相) 노래부른다用=맹구파별盲龜跛鱉=눈먼거북이와 절룸자라는 무진장 친하다體+用

밑없는 철선을타고相 구멍없는 무공저를 분다用=윤수현의相 이쁜 목울림통소리用 꽃길 조치요
우리는 이러케 좋아하며 싫어하며 살아가는것이다
허구헌날이 싸그리 좋은날이다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이구 뒷생각에 알아채면 부처覺者다 
(6근`6경`이 부딛치는곳처處=자리(번개치는자리)=6근 12처 18계를 말할떼 처處 근까 6식제외(분별알음의 원판? 각처식=또근까 제6식은 모두식이랄수잇꾸 알아채는것= 샤띠?=하튼 감각5근(전오식)의 각낱낱의 각처이고 6식분별식아니구 굳이 말한다면 낱낱각識=각처覺處
보면 색과 부딪치는순간처 , 들으면 듣는 그자리 
인+연=과 요, 근+연=식 이고 원효스님 말씀하시는 불연지(개각처個覺識=순수식)에서 6,7식(분별집착식), 대연이요 대연지(개각식皆覺識)가 불연 이겟따

하튼 개인적으로는 개각처個覺處라 명찰 달련다
우리님들 먼소리하는줄 아시겟어요?
말허는 저두 땀삐질허는데 
하튼 앞생각 조심하셔요
앞생각애 걸려 넘어지면 무릎깨져 피납니다
=조고각하照顧脚下=다리밑을 살펴보라= 과=인+연, = 과 이전以前엔 뭐엿드냐 이다=話頭를 看한다=간화선

제주 흑도야지에게 주사를 놓앗더니 (려사미거驢事未去-나귀는 아직 가지않앗는데)
말馬이 병病을 낳앗다(마사도래馬事到來- 말은 이미 도착햇다)

소가 사료를 먹엇는데
돼지배가 부르다
또또
남산운기시 북산임하우 南山雲起時 北山臨下雨
남산에는 구름이 끼엇는데, 북산에는 비가 내린다

베휴가 황벽스님 법문모음집을 만들어 황벽스님에게 가 스님 모음집 제목을 지어주십시요 하엿다
이에 황벽스님은 배휴를 불럿다
배휴`
넵`
내가 그대와 함꼐 제목을 지엇느니라
인+연=과 이것이 당당하고 당연한 인연법칙 이겟다

아는(안목) 만큼 보인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衆生이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覺者이다

이제 이글맞아 알앗다면(=앞생각)

알음(=분별식)빙자 바라밀행(=청정행)을 행하는것이

실다운 수행 이겟다

알음빙자바라밀행=응무소주 이생기심의 모습이다

응무소주=주住하지않는=無住=보고 들으매,근가부다=산호가지마다 달빛이 주렁주렁 달렷다

앞생각생각마다微塵 청정지혜=무량광무량수=갓없는 지혜광명이 두루하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엇을보거나 또는 들엇을때, 우리는 나지않으면 잔뜩한 만법에 허물하자가 없다는데두 일념이 생겨진다(=이것이 앞생각이겟다)
예들면 윤수현의 꽃길을 들을때 일념상이 태어난다生動

어떤것이 일념상인가? 답해보소
이러케 태어난 일념상一念相=노래 책상 제석천 물질적 정신적 물건이 상相이겟다

눈眼은 눈을 보지못한다 눈의 작용을통해서 비로소 눈잇음을 아는것이다

또 물어볼까요? 어떤것이 일념 인가요? 답해보소

성철스님 백일법문에서 말씀하셧다

법문듣고 참선하고 또 법문듣고 참선하고 이것이 참수행의 모습이다


노래相 좋은데?用
상이 움직이는것이다
우리의 일념짓이 우리의 말짓이 우리의 제스쳐가몸짓이겟다=업의짓이다=신ㆍ구 의=삼업
우리의 업종자(착각相)이 연을만나(노래만나)=노래상이 좋다 싫다(애 증)하고 움직이고 잇는거다=用
듣고도 일념불생이면 =일념상이 움직이지않으면 =좋다라든가 싫다라고하지않는다면= 고장난 일념상?=하튼 망가졋건 안망가졋껀(=당생생불생)=인연화합에의한 반연물이요 모든존재물 이라는거다

실개천이고 중량천이고간에 이미생겻따면 당연지사이어니 놀라서 삼독(탐진치)뿜어대지말고 조고각하(회광반조) 해야한다 그들은(실개천 중량천) 나를 좋게두愛 또 나쁘게두憎 할줄모른다 일체유심조 이다=자작자수요 자승자박이구 자업자득 =내 탓이다

가만히 살펴보면 당연허구 당당한 존재물이겟따

송명경숙조松鳴驚宿鳥 운산로청산雲散露靑山

솔바람소리에 자던새 깜짝 놀라니 구름 흩어지고 청산이 드러나도다

진眞이 망妄이구 망이 진이다

왜냐하면 여기서는

우리의 참성품은 참성품을 볼수없다 =佛佛이 不相見 그타면 뵈는건=광명은 망塵을비출뿐이다

더이상 비추워야할 것이 없다=걍塵은 진공묘유=중도中道 이어서, 참성품이 곧 진塵이어 부처가 중생이구 중생이 부처인것이 법성이 원융하여 다른것이 아니어니 곧즉(=자력自力)이라 공부인은 쪼끔이라도 곧卽이 아니고 언설장구라두=필요악 이어두 행하면(움직이면) 의존하는것이므로他力이된다

진리眞理는 곧즉이지自力 쪼끔만 빗겨져두(지끔 여기자리處가 아니고는 의존依存이구 잔뜩 빗겨진것과 다름없어(타력) 진리가 아니다본다

호리유차 천지현격 이다 - 터럭만큼의 차이도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난다

무착앞에 문수 보살이 나타나자말자 무착은 밥주걱 쳐들면서 문수면 저문수이지 나랑 먼관계이냐며 때리려하자 대지혜문수보살두 맞아 죽을까봐 걸음아 나살려라 도망간다 (무착의 자력선언)

아가가 움직인다 =아가가 엄마한테 가는것도 그전에 아가가 움직이고 잇는거다  

쫌만 자라보라지  자기스스로 움직여 간것을 더 잘안다欲心.  엄마 이전에 자기가 맘대로 움직임 (업습끼業力)에 따르는것 이겟따

씨알머리種子, 수다파는 말헌다  터고난천성業性은 못고쳐

불교, 부처님가르침은 소위 진리의 말씀이라한다

해서 스승없이 깨닫는것이 어불성설이라는 말이 나오고 인가라는것이 메우 중요타 본다


우리불교가 타력두잇고 자력두잇찌마는 결국 타력이라도 궁극에는 자력행 일쑤밖에없는것이다
근까 자력행을 향한 타력행 되겟다
보화비진 요망연 법신청정 광무변
보신화신은 인연소치이지만 (타력이지만)결국 법을몸으로삼는 청정심만이 우리의 본래마음인 까닭이다
앞생각(이것저것)빙자바라밀을보고들으매 앞생각에 꼬꾸라질수밖에없는 중독자신세 그나 청정짓 자꾸자꾸 하다보면 엎어지던 자빠지전 앞생각에 걸려넘어지지않는것이다

행하는것 이것이 잘수행이고 그대로 부처이다=부처님마음(청정심)이다


소인배는 이기는것을좋아허구 
어리석은자는 옳은것에 집착을허구 
지혜인은 인연법을본다

인연에 의해 어떠한일도 생성된다
인연에 의해 어떠한일도 사라진다
그러하면 그러타(의타기성依他起性)
이것이 인연법이다

머리로 헤아리는 연습으로는 업짱만 더 할뿐이다
해서 선불교를 최상승법이라하는거겟다
곧즉이다


품안의자식
어릴때야 엄마품아니면 욕구해소가 어렵다
허니 엄마가 눈에 안보이면 놀라 자지러진다
그나 자립하게되면 나름 제업장따라 천방지축되는다
잠을자도 자기맘대로잔다
밥도 자기 맘이구 자는것두 지맘이니
하는짓도 말하는것도 생각하는것도 자기맘대로 해야만하는 중독자
무엇을보앗느냐 내아들아 무엇을들엇느냐 내 딸들아
그래서 어찌하여질까!
앞생각에 그만 고꾸라지니 나름 진실세계 살아간다
산이높으면 바다는깊다
앞생각에 걸리면 좋은것은 자꾸좋아지고
나쁜것은 자꾸  나빠지는것이다
삼막삼보리 정등각이다
바른평등
건강(富 愛) 구하려한다면 반드시 허약(貧 憎) 거부한다
불평등은 더해만간다


산궁수진 의무로 유록화홍 우일촌
산에높이가없고 물에는 깊이가없다  이것이 정등각 이라 본다

 

 

산이물이 높지않고 깊지를않다?
알아먹지도 못하는소리라 치부해보지만
푸른버들은 더욱푸르고 붉은꽃은 더욱 붉은 그러한 세계 잇더라

개구즉착? 입열면 이미 틀렷느니라
입 안열구 어떻게 혀?
불변성에 수연성이요 마치 동전의 양면성 이랄수도 잇다

올드창가에 ♬♪~성불사의 종소리 들리어 온다♬♪ 잇다 뗑~

언하대오 하라이다

하튼 상相
무릇 상=갖가지 상=물질적정신적相은 다 허망상 이요 이때 허망= 꿈과같다의 뜻되겟다 
동정일여 몽중일여 오매일여 (지나는길에 적어논다)
잇는그대로볼수잇는 안목잇어 모든존재물相이 상아닌 조작상 가짜상=가짜모습(그림자影=비상非相)이라면 그안목자는 여래를 보리라=법의승질머리가 그러하며 이와다르지않음이니 똑같은 성질의 안목자이고 여래이겟다


노래좋다?
업짓하여도 함바없이 하는것이어 중생이나 부처나 그승질은 다르지않다 이다
허망상을 허망하게보아 결코 다시는미망에 빠지지않는다
비단길 좋은거고 나쁜것은 나쁘다= 부 좋고 빈 나쁘다
참다운길은 애증의길(앞생각을하는것)을 가지않을것이다
허나 우리는 애 다 증이다 하며 살아가고잇으니
앞생각 연습이 한창이다허겟따


부당이 당연되는것에 힘이 생기어 마음공부 아무리 열심해도 일념의늪에 빠져든다
부당이 훌륭한 당연되어 (=마구니) 죽으면 날탕인데되어 파순딸의 유혹의 손을잡는다
고타마싯타르타가 12월7일 마구니와 쌈질하고잇을때 날이밝아오는 깜깜밤 별똥별 떨어지니 졸탁동시 이런가 고타마는 부처가 되엇다
되돌아가서 
우리는 업장애만 일파일파 업나무 싹이나고 잎이나듯이 인과인과 하면서 살아가고 잇는것이겟다
부당不當이 當然되어 우린 그도 모른채 행복을 찾는것이라 할수잇다

나는 암껏두 모른다 그나 너희들은 그조차도 모른다 -sso k-
우리는 끝까지=生滅滅已 무유정법(청정심)일쑤 잇다

정등각
삼막삼보리
평등각 =좋은것잇으면 싫은것 반드시 잇다=
산이높으면 물은깊은법이다=
부가 좋을수록 빈은 싫은것이다

부富도 막고遮 빈貧도막고 쌍雙으루 막으면(부도 빈도 똑같이 부아니구 빈도 아닐때=정등각=수정주) 쌍으루富貧 (조부祖父, 지知or 부지不知) 비친다=쌍차쌍조 조용동시 이다=도 불속 지 부지
여기서 중요한 한가지
조타싫다 = 똑같이 부빈까지도 없어야한다(잇다면 곧 사상(아 인 중생 수자)가 잇는것이므로 곧 업식동자이다 =여기서 열심공부인 언행일치 지행합일 망가져 자망망타 이룬다=근까 생멸멸이(끝짱난 아쌀한마무리)=아공 법공 구공에서 구공俱空(함꼐 청정) 이라본다
염도염궁무념처ㅡ생각을끝짱내는것=하두 끝장내서 더이상 날것도없는곳處에 이른다=청정심  되겟다=이것을 삼막삼보리 정등각이라는것이라 보는것이다
산이 높낮이가없고 물이 깊고 얕음이없다=이거 청정=평등이다
=해서 이청정을  우리들은 본성품 이라는거다 =고향심 불별심 수정주가 하두깨끗해서 타향심=인과심 수연심 =분별심=이것저것심 근까 수정구슬이깨끗 청정하다는것은 곧 정정심에 분별심이잘보인다는말이다
분별심이 잘 비추인다
근까
조부님 알어?
알아 또는 몰러= 이두개를 다 비추어서 자연스럽게 저절로 보인다 하는거다
그냥 보인다구요
어둡지 안타
따로이 잘보기위해 작은 반딧불조차(=의존성=타력)을 필요로하지않는다
무명이걷치니 저절로보인다
해서 본성품을봐라=견성하라 이다
견성할려면 단지(오로지 죽으나사나) 모를줄아는것 이것이견성이다
단지불회=但知不會ㅡ보조국사 지눌言
볼래야볼수없고 안볼래야 안볼수없는 청정심을봐라=보려하면 눈멀구 들으려하면귀먹는 청정심을보는것이 견성 이라는거다

견성성불 하소서

거참 날씨무척덥네 
눈앞에 법 잇다

날마다 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YOUTUBE.COM
 
한국 불교사에 길이 남을 고승들의 구도행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나봅니다.
 

 

Posted by 獨孤老人
,

이것이 잇으므로 저것잇고 저것사라지면 이것도없다
이집착 잇으면 저집착잇고 저집착없으면 이집착도없다


우리의 마음을 동전의 양면에(분별성) 비유 하기도한다
앞면잇으면(잇으면=집착성意識性=수연성)뒷면도 잇고 뒷면이 없으면 앞면도 없는것이겟다不變性
낮*밤 잇찌마는 밤없는 낮, 낮없는 밤없다
잇다면 다晝夜 잇고=妙有 없다면 다終日 없다無空
근까 이를 所謂 진공묘유라한다
다시말하면
진공묘유가 무엇인가?
모든 존재물의 양태樣態 모습이다

나와너 우리의 모습이다=진공묘유=공갈빵이體相用중相, 허풍선을 불구잇다用=목인木人이(相) 노래부른다用

=맹구파별盲龜跛鱉=눈먼거북이와절룸자라는 무진장 친하다體+用

밑없는 철선을타고相 구멍없는 무공저를 분다用=윤수현의相 목울림통소리用 꽃길 조치요
우리는 이러케 좋아하며 싫어하며 살아가는것이다
허구헌날이 싸그리 좋은날이다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이구 뒷생각에 알아채면 부처覺者다 
(6근`6경`이 부딛치는곳처處=자리(번개치는자리)=6근 12처 18계를 말할떼 처處 근까 6식제외(분별알음의 원판?

 각처식=또근까 제6식은 모두식이랄수잇꾸 알아채는것= 샤띠?=하튼 감각5근(전오식)의 각낱낱의 각처이고 

6식분별식아니구 굳이 말한다면 낱낱각識=각처覺處
보면, 색과 부디치는순간처 , 들으면, 듣는 그자리 
인+연=과 요, 근+연=식 이고 

원효스님 말씀하시는 불연지(개각처個覺識=순수식)에서 6,7식(분별집착식), 대연이요 

대연지(개각식皆覺識)가 불연 이겟따

하튼 개인적으로는 개각처個覺處라 명찰 달련다
우리님들 먼소리하는줄 아시겟어요?
말허는 저두 땀삐질허는데 
하튼 앞생각 조심하셔요
앞생각애 걸려 넘어지면 무릎깨져 피납니다
=조고각하照顧脚下=다리밑을 살펴보라= 과=인+연, = 과 이전以前엔 뭐엿드냐 이다=話頭를 看한다=간화선

DREAM IS 이미 꿈 이다 已夢


인+연=과이다


몽중사夢中事


일일이 발생하는 사사껀껀은


장난으로하는 목검木劍승부가아니라


夢人에게는

 
진실로 한번 빗맞으면 피를보고 


목숨을 건드리는 진검眞劍승부 입니다


인+연=과이다

어떤 결과물도, 이미생겻다면(결정된법 혹은 소견내지 깨달음)인+연에의한 당연한것이다
인연법이당연법인 연고이다
나우의조부님을 알거나 모르거나 다 인연에의한 알음 혹은 모름이(결정법) 생성되고  이존재물에 

집착하면 중생이고 집착하지않으면(집착인줄아는것) 부처이어 이부처가또는 중생이움직이면

(작용하면) 활동하며 나르의세계를 살아가는것이다
잘못살아가느냐  잘못 알고 살아가느냐 의 문제라본다
숲속의 구성요소물 들들이  여러가지 나름의 양태가 곧은것도잇고 굽은것도잇고 붉은것도잇고

푸른것도잇고 또 살모사도잇고 황소개구리도잇고 붉은개미도잇고 개구리도잇고 

개구리먹는뱀도잇어 약유캉식 희노애락 이런 당연한것들이 어우러진숲세계를이루워

살아가는것이겟다
나는나대로 너는너대로 어우러져 살아간다
꼭이 이것이다하는법은없다 꿍짝이맞는 당연한것들이 어우러진 숲세계를 

이루워 살아가는것이겟다 
유유상종 ㅡ나무는 나무끼리 짐승은짐승끼리 그렇게 살아가는것이다
모든 존재하는것은 인+연에 의해 존재하는것이다
생겨낫는데 잘못(부당)생겨난것은없다
모두 이쿵저쿵 인연되어 당당하게 당연히 존재하는것이다
모든것은 연에의해 존재하고 연에의해 소멸된다
부처님꼐서는 전법을 선언하신다
떠나라 둘이 붙어다니지말고 혼자서가라
불법이 이것이다
금강경에서 자주보이는것중 하나가
하이고 수보리야 또 소이자하 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그러니까 수보리야 이다
우리공부인들이 범하는것이 경책이나 말씀을보고  이렇다 말한다
왜냐하면? 그러니까 이런거다하고 말하지않고 이다 만 말하고 왜냐하면?하고 설명을 못한다
판사짓만허지 변호사는 못한다이다
남의 살림갖고 흉내짓인 이렇다만 한다
그게 먼 방편법문인가
이러타 말할때는(果) 왜냐하면 하고 인+연을 살펴야하는것이다
불생불멸이어서 생함두 멸함두 아니다
이거 앵무새짓이나 녹음기짓과 뭐다른가
자기공부하고 자기깨달앗으면 그만이지 깨달은 자랑허는가?
불병조병을조심하라시던 성철스님 생각난다
생각만 아니지허구잇찌 짓꺼리는 병든것이라 
왜냐하면.?
설명못하면 불여함구 과잔춘이라ㅡ하던짓이나계속하라
포교는 왜냐하면 이쿵저쿵이니 근까 이러타
이것이 불교를 공부하는데 순서인 신해행증 이어 믿고 이해하는데도움주어 자리이타自利利他보살행

으로 이어지는것이지 이러타저러타만 앵무새처럼되뇌이기만해서 쓰겟느냐이거다
차라리 탁탁 탁자나 치면서,경책보세요 하는게 훨~낫다

마음공부는 자신도 모르는 머리굴려하는것 아니라본다
왜냐하면?
아시겟는가?
그러니까 이러케 말하는것이겟다
하이고 수보리야
왜냐하면 수보리야 주절주절~
이것이 초전법륜이고 지금도이고 인+연=과 이것이 인연법이다


반야바라밀(지혜광명)은
반야바라밀이 아니다 이름붙이기를  반야바라밀이라는것 뿐이다
반야바라밀하고 말이나 문자로는 반야바라밀을 바르게 지칭할수없다
언어도단 심행처멸이다
필요악이어 어쩔수없이 반야바라밀이라고 소리하는것이다
명찰떨어진 반야바라밀은 뻔쩍 꽝 이다
번쩍상色이고 꽝聲일뿐이다
번개와같고 꿈과같고 꼭두같고 물거품같고 그림자와같다
뭐가?
일체법이 그타이다
더운날 땀삐질삐질 나는것 
땀삐질삐질 나는것이라 말을표현 도구삼아 땀삐질이라 부를뿐이다
니들이 게맛을알어?(신구씨버젼)
나는 아무것도모른다
그나 너희들은 그조차두 모른다
나우의조부님을 아시는가
알면 아는것이요 모르면 모르는것이다
아는것도비추고 모르는것도비춘다=智慧光明깨달음이라 명찰단다
빈부 강허强虛 증애 등은 망妄=비非이어 참眞=청정의작용=지혜광명은 (늘=무량수)

쌍으로 비춘다

쌍차쌍조 차조동시遮照同時이다=아는것두 모르는것두=몽환을 지끔두 비추고잇다
청정심의 지혜광명 끊임없는(갓없는 마하반야)무량광은 항상(=무량수) 

아는것 모르는것을 지끔도 비추고잇는것 이겟다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이아니고 이름이 반야바라밀이니라
는것이다

화두=공안=간화선
화두를든다?
화두를세운다 (건립)
직지인심 견성성불
마음을 직접 가리켜서 성품을보아 부처를이루게한다
직지인심
누구나가 기지고잇는마음 볼수도 만질수도없는 한깊이도없는 마음을 

곧바로 가리킨다이다
곧바로 가리킨다?
천척사륜 직하수 가떠오른다
어떻게  곧바루 가리킨단말인가
말루다 이쿵저쿵 해야되는것아닌가=교敎
직접 가리킨다=선禪
해서 자리에앉아 화두를잡는다
천칠백공안이 잇다하는데 그중제일 직접 마음을 잘가리킨것이 조주 무짜화두라한다
(종문중제일宗門中第一)
개에게도 불성이잇읍니까?
무無 없다
모든 존재물에는 불성이 잇다햇는데 조주선사는 어째 없다 말하시는가?
없다 하는말에 수긍되면 그만이다
근데 잇다허면 수긍하시렵니까?

중생계의 성질을 자성이라하고 =우주법계의 성질을 법성이라한다
자성이든 법성이든 청정성(명찰)을 말한는것이겟다
마음이 청정하다는거다
마음은공하다 마은은 무 다
이는 실체가잇는가를 물으면 공하다하는거고 잇는가하니 없다라고 할수밖에 없는것이다
개인적으로 마음은청정하다를 사용한다
암튼 하두 청정淸淨하여 어떤것도 용납치않는다
개두 불성이잇읍니까?
없다 無
이때 무는상대적 유에 무를 나타내는것이아니라 유무를 떠난 절대무를말하는것으로 전에 전강스님이 선지식을 찾아가 무자의지의 반만 일러주십시요 햇다
무 라고한 그뜻의 반만 일러달라이다
잇다 없다할때의 없다를 말하는것아 니고 이상대적인 유무를 벗어난 절대무의 반半만 일러주십사 하는것이다
절대무의 반?
잠깐만 딴소리한다
저기 나우의할아버지성함을 아시나요?
안다 또는 모른다 할것이다
안다면그러타치고 모른다한다면 모르는것은 어찌 아는고?
모른다하는것조차 안다이다
정리하면 아는것도 알고 모르는것도 아는것이다

보고알고 들어보구알고 냄새맡아보구알구 맛보구알구 부딛혀보구알구

제6식을 만나기전에는 보고 들어보구 향맡아보구 등 보기만한다 이다


암튼 개에게도 불성이 잇읍니까?

이때 무=공=자성내지 법성이고=청정이라 이름하는것이겟다
청정하니까 상대적인 명明과 암暗, 안다 모른다가 비추는것이다 

맑디맑은 수정주에 이거저거 다잘비춘다는 것과같다
절대무의 반은 얼만큼 일까나
이것은 각자 혜량해보세요
양나라 무제가 달마스님에게 물엇다
불사를 많이하엿는데 제공덕이 얼마나될까요?
달마는 당당하게 말햇따 공덕이 없읍니다
이때의 무하는 의지는 어데잇는가 하는것이 종문의제일이라는 무짜화두이다
마음을 그래도 직접잘가리키고 잇다는 것이다
글케두 잘가리키는 무짜화두를 전강스님두 청담스님두 이무짜화두잡고 우리의염원인 깨달음 얻으셧다

무= 공=청정 이라 이름한다
아주쬐끄마한 티끌조차두 아니지 이름조차 붙여지는것 허락지않는 우리의자성=우리9류중생의 본래마음이라 하는것이다

보화비진 요망연 報化非眞 了妄緣
법신청정 광무변 法身淸淨 廣無邊
천강유수 천강월 千江有水 千江月
만리무운 만리천 萬里無雲 萬里天


보신 화신은 진眞이아니고 연에의한(의타성依他性) 망이요
법신만이  청정하여 갓없는넓은 허공과같다
천강이 잇으므로 천개의달이 잇음이요
만리에 구름이없으니  그대로 만리하늘이로다
3신=법신 보신 화신
보신과 화신은 인연에 의한 존재이므로(수연성=무상이어 변한다) 

망妄(꿈 )이요
법신=청정은 불변성이어 무량광(=무량수)
=부처님마음은 무량한광명이므로 지끔도 비추고잇음 =생노병사 희노애락을 비추고잇다(마하반야=끝없는 지혜광명
지혜안목으로 생노병사 희노애락=수연성(의존성)이고 무상성無常性(변화성)을 비추우니(지혜의빛) 천개의강이잇으니 달도 천개인것이다=계합성
산호가지 마다마다에 달빛이 주렁주렁 달렷다=맹구파별盲龜跛鱉
우리가 신구의로서 업행을함으로써 (습기로굳어진배추씨를 참眞이라 착각하여)
무명중생되엇찌마는 빙자청정행(삼륜청정행)을 수행함으로써 시자수자시물에 집착함이없으면 그대로 청천 청천 淸天이로다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일체 괴로움과 어려움은 절로 사라졋느니라.

깊은 반야바라밀? 오온?

깊은 반야바라밀=물든마음으로 일거수일투족을(생활몸짓) 하엿던 

(중생짓=업짓=몽중사)을 잘비쳐지는(삼륜청정행을 자꾸하여 익어진=잘딱여진 거울은 그대로 잘 비추듯)=지혜광명으로 보니 오온=색+수상행식도 인과인과=일파일파되어진(인과 인과 하는) 존재물 같은 공갈빵幻빵 이어(수연성=의타성=몽(환幻)중사中事가 분명함이니 고난액은 사라진다(염기즉각 각지즉무)

업의짓=신구의가 하는짓=몸짓 말짓 생각짓이 개뿔짓이라는 것이겟다=배추씨가 싹나고 잎나고 배추되는(인과법칙)것

이와같이 혼자서는 존재할수없는 특질성(수연성 무상성)에 집착하므로써 움직임은(생노병사)흘러가는것이리라= 청산유수=산은 푸르고 물은 흐른다

어둠을 밝허주는 지혜광명=청정의 짓(작용) 이라보는것이다

청정= 무無 공空


Posted by 獨孤老人
,


여하시 조사서래의?
어떤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뜻입니까?

인+연祖師動을 묻는거다=본래면목의짓=어디서부터 잘못됫나?=잘못이

 진정 잘못인가?=참다운이치眞理는뭔가=청정심과 달라 =불변성인것이

 범법인가?의 공부인의 과제이라 하겟다


       

         외식제연外息諸緣 내심무천內心無喘

앞생각에 집착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이다 _6조혜능_
앞생각?
우리가 무엇을보거나 듣거나 생각이 일어난다
예들면 하는일이 힘들거나(안힘들거나) 상황이않좋거나(좋거나)

부자이건 빈자이건 강건자이거나 병약자이거나 또 좋거나 싫거나 어쩌거나

상황도래하면 생각이난댜
앞생각이댜
부富이면 부에 집착하고 빈貧이면 빈에집착한다
부유한것은 좋아하는것이 집착하는것이고 가난을 싫어하는것도 집착하는것이겟다
부라는것이 움직이면(작용하면)= 좋아하는것이고, 또 빈이라는것이 움직이면

=싫어하는것이다 부자이면 부자이고 빈자이면 빈자 이다

=알면 아는것이고 모르면 모르는 것이다
지남철의N극이 S극을 맞아서는 당기고 N극을 만나면 거부한다
하튼 맞이하는것이나 거부하는것이나 그사껀사고의 작욤이라는거다
누굴 만나 사랑하고 또 누굴만나 헤어지는것도 모두 작용動하는거다(애별리고 원증회고

 =다 괴로운 일이라지만 깨기만하면 개뿔된다=개뿔 발견시 신고요망)
애착愛着 또 증착憎着이라 하는거다
근데 일이힘들다 가난싫다? 
이거를 앞생각에 집착하는것이라하고 중생의 업짓이고

꿈꾸는것같고 환幻과같다 라 말하는거겟다
이와같은 앞생각 근까 좋다또는싫다 생각들어도 꿈속의 일이라 알아야한다는거겟다
아니면, 기뻐하거나 슬퍼하게된다 이것이뒷생각되겟다
해서 맨날 마음이 조용할겨룰이없는것이되니 중생살이는 피곤하다
근까 앞생각이 나를속일지라도슬퍼하거나 노하지마라

괴로운苦가 다하면 기쁨의날樂이온다
앞생각에 집착한다는것이 업業의 노예짓인것이다
주인이지못하고 객客신세이다
근까 꿈속의 일로알고 뒷생각을 편히하라는것이다
안목자는 꿈을 꿈으로알아 결코 미혹에 빠지지않는다
이게 깨달음 이고 지혜인(정안목正眼目) 부처요 부처님마음가짐이겟다 불심佛心
꿈이라면 꿈깨고 환이라면 환상에서벗어나라 이겟다
꿈에서 깨기만하면, 부빈자 강약자 또 심지어 죽엇던자도 발딱 일어난다
애에도 증에도 집착말자
갑자기생각안나네...
가~잇짠아요?
처염상정處染常淨 더러운곳에 잇지만서도 늘 깨끗다
꿈속의 일이그러햇듯이 깨어나는일은 더욱 유쾌 상쾌 통쾌 하는다

유록화홍柳綠花紅 푸른버들은 더욱 푸르고 붉은꽃은 더욱 붉다
밖에서 날아오는 화살은 어지간하면 막을수잇으나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안에서 

날아오는 화살은 막을도리가없다(= 깨달으면 막을수있다

=세상에 쉬운게 깨닫는 일이겟다=환을 환으로 알기만하면되니까요

=근까 앉은자리에서 수미산을 엎어버린다 =것두 힘에 붙인다면 걍~살아가면된다

=딱딱한 골프공 =그속은 공하다=색은 곧 공(청정)하구 공은 곧색이다  근까 

이미 우리는 부처이다-상불경보살 왈 돌팔매 맞으면서두 

당신은 부처님 입니다 마치 그래도 지구는돈다  쪼끄만 소리로 하듯이~ 

걍살아라 하는대두 힘들어요? 검 마음대로 하셔요 =뛰어밧짜 이고 이겟다 .

아휴~ 세상사 증말 힘들다요)

좋은것이든 싫은것이든 좋아하지말고愛, 憎
근데 좋아하게되고 싫어하면서 살아가고잇는것이다
이거 그간 망상짓에 익어진탓이다(몸짓 말짓 생각짓을통하여)=업짱業障碍 때문이다

해서 집착안하려해도 낯설어 편한대로 해버리기가 되는것이다
집착 이것을 없애면 쉽게 정견을(지혜안목)을 갖출수잇다
해서 교회당이나 사찰을 가면 십일조를 또는 보시를 빙자하여 바라밀행(도피안짓=

청정짓)을 하는것이다
또 봉사짓을빙자하여 청정짓을 하는것 다
청정짓이 익어지면곧 정비례로 집착을 않할수잇끼때문이겟다
봉사짓 또 보시짓은 인지상정(동병상련)봉사 이고 보시여서 복福짓는것은되겟지만 

마음청정짓은(부처마음=청정심) 아니다
봉사짓이나 보시짓이나 다 업짓이라하겟다
업짓으로는 좋은복 받겟지만 우리의본심인 청정심으로 되돌아갈수는없다
금강경에 삼천대천세계만한 그릇에  갖은 금은보화로써 잔뜩
채워 보시하여도 

금강경 4구게를 수지독송하여(잘공부해서) 타인을 위해 설하는것이 

더 공덕이 더크다하엿다

왜냐하면
금은의보시는 유한적有限的(유위법)을 보시하는것이지만 금강경귀절은 무한적無限的

(무위법)으로 법보시를 (청정을보시)하는것으로 비교할바가 못된다 하는것이다

배부른 도야지가되어 살아가느니 차라리 배고픈 철학자되어 살아가련다 -소크-


보시나 봉사등등을 행할때에는 보시나 봉사(시물施物)도 중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주는자(시자施者) 또 받는자(受者)가 청정심(순수무잡)이되어 

=삼륜청정을 행하는것이다 주고 받는자가 누군지 몰라야하고 또 그물건이 

지 몰라야한다

오른손짓꺼리 왼손두 모르듯이~~
시물 시자 수자를 알면 (집찹) 부처님(깨달은자)의마음

=청정심이 망가지는것이다=중생심
근까 얼마만큼의 보시금이라기보다는(금액의크기)중요한것은 얼마만큼청정행

=바라밀행이엇느냐가 무진장 무척 중요한것이다
사찰에가면스님들 성의껏하세요하고 말하지 소득의 몇%를내야한다 

라는말은 하지않는다
근데 그말이 더무서운건 두터운업짱 때문일께다

외식제연外息諸緣 내심무천內心無喘
밖으로는 모든 연에 물드는 마음을쉬고
안으로는 헐떡이는 마음을 쉬게하라
하튼 바라밀행 익어숙성되면(=힘생긴다) 유한이 무한되는 삶 살아간다=꿈깨는것이다
근까 이말, 말뜻落處 알앗으면, 이 알은것에(앞생각이니) 집착말고

 = 곧바로 청법聽法빙자바라밀을 행하시어(자꾸 반복 근까 행주좌와 일거수 

일투족의 움직임을 빙자하여 청정행을 하다보면 자반타반自意半他意半 

그유명한 깨달음 얻게된다

(목적달성=각覺자가되어 살아간다 =성뷸成佛=부처(=승질머리가 청정이고

=무량광 무량수이다를 이룬다 라는말)

 집착執着돌이에서 적성동자寂惺되셧으면 바랍니다.(바라밀행=청정짓

=부처님마음의짓 =무풍기랑無風起浪=바람도 없는데 물결이 일렁거린다

=무연자비無緣慈悲 재밋찌요? 이것이 마음공부의모습 이겟읍니다=수행)


인연이 맞으면 결과가 생긴다(꿍짝이 맞으면) 또는 인연이 안맞으면 결과가 

안생기기기도 한다 = 대연여성합 당생생 불생 
- 4조 도신스님 -
시절인연이 도래하지 않으면 어떤 정해진법은(정신적 물질적) 없다無有定法
백운청풍 자거래 =흰구름 맑은바람 스스로 오고간다 =정해진법이 없으니 강아지 

꼬꼬댁 냥이 지맘대로 움직인다
다만 꿍짝만 맞으면 나름법 정해 스스로 작용하는것이겟다
근까 애와 증 좋은것 싫은것, 본래없지마는 꿍짝맞아 좋기도 또 싫기도 하는것이어

 비유키를 흰구름 맑은바람 스스로 오간다
닭은 추우면 나무위에 올라가고(해서 닭짱 안에는 궁합맞는 나무를 만들어 놓으면

 그위에 잘 올라가잇는거 본다)오리는 물에 들어간다
이런법이고 이것이 인연법의 모습이겟다
이것이 닭의 오리의 성질이어 이것을 닭의 성질 오리성질 이라하고 법계로 보면

 법성이라 한다
우리의 성품도 낱낱의 성품으로보면 개성 인성 자성이라하고 넓히면 법계의 성품이라

 법성이라 한다
자성=법성= 나우의 승질머리 이겟다
해서 스스로의 짓을 하는거다

하사달마 월서천
계명축시 인일출
뭣땀시 달마는 서천을 건넛는가?
그 이치도리는 축시丑時되면 닭은 꼬꼬댁하구(오디오=듣는다鳴 =귀의작용) 

인시寅時되면 고집불통되어 해는 떠오른다(비디오=눈의작용)

보고듣는 이것밖에 진리가 따로없으니 보이는것은 관음이요 들리는 소리마다

 묘한 이치로다(꿍짝=묘음)
아시겟는가
산시산 물시물 이로다

비틀즈노래
이미 생긴겻은 당연한 지승질이니 그냥 내비두란다
설사 내맘에 들더라도 또는 않들지라도 모든것이 인연법의 모습 일테니까요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



이 무엇인가? (= 이 뭣꼬)


인+연=과 이다
모든것은 인+연에의해 이루워진다
나도 너도 꽃도 감자도 책상도 인+연에 의해 만들어진다 

모든과(=일체법=정신적 물질적)

 온갖것들이 인연법에의해 만들어진다
일체법이 개시불법이다
그타면 내가 지금 이글을 쓰는것은 무엇인가?
인+연=과 =인연법칙 을 행하고잇음이어
모든것들들이그러하듯이 한낱 글을 씀 이겟다
그리고 이글을 읽고잇는 우리님들도 마찬가지로 인연법칙을 행하는것

이다 하는것이다
글쓰고 글읽는 이과果의짓이
다른 과의짓=꽃은피고잇고 강아지는 멍멍대고 하는것이 이치상으로 

다른것이 아닌것이다
이일이건 저일이건 모두 자기의 일을하고잇는것이다
물어보나 대답을 하나 똑같은 움직임이다
비유하면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가는것이
푸른짓하는산 흐르는짓하는물(靑山流水)  이것이랑 내가글쓰고

 우리님들 글읽는이것이  같은이치 아니겟느냐(= 참다운 이치 眞理)

를 말하고 잇는것이다 

금목거리 금팔찌 하고 다른것이지마는 다 금으로 만들여졋듯이 우리의

 짓짓이=우리(모두것)의움직이겟다(작용)
하튼 우리가 무엇을보고 듣고 는 안다(생각)
이것이 인+연을 행하는것이다
만남 이만남
이만남이  무엇인가?
이만낫을뿐인 이 일이 우리의 의식(7식+8식)으로 아는데(과) 만낫을뿐

인것을 만낫을뿐인것으로 (=잇는그대로 보지못하고=업장애로 말미암아

 우리생활에 편리코저 만낫을뿐인 움직임(작용을)만남이라 알고는

(의식의 움직임) 입도움직여 만남이라 효험없는 말로서의 만남이라 

말하게되는것이겟다
이것이 인+연=과 이다
이것이 무엇인가? 화두이다
말하고 읽고 하는 이것 꽃이피고 강아지 멍멍거리는 이것, 

근까 우리생활의 낱낱일들 이것을 =낱낱의개체들을 통털어

 이것 하는것이다
이것이 무엇인가? 화두이다
근까 이것의 탄생연고를 알면 삼라만상의 모든것의 탄생연고를 

알게되는것 이리라
우리가 희노애락 우비고뇌 하는것도 왜 인가 를 알게되는것이겟다
초등때 소풍을 창경원(당시이름)으로갓다
사람들이 많아서 뻑하면 아이들을 잃어버린다
길을잃엇으면 찾아헤메지말고 잃어버린 그자리에 그냥잇거라

하고선생님은 말씀하신다
당시에도 아동보호소라해서 길잃은아동들 모아두는장소가 잇엇다
희노애락 을 하는 우리의사바세계 이 희노애락의 탄생연고를 알고 

희노애락하자 이다 이것을 지혜의작용(사용)이라하는것이다
인+연=과이다
이 과를 알기위해서는 인+연을 알아야한다
과=인+연 이니까
근까 이것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갖고 참구하는것이다
의문없는 화두잽이는 말짱 도루묵이다
혹惑자는 이뭣꼬화두하면 안목이 열리는가? 불신하면서두 어록강의

하는것밧다
웃낀다 하겟다
목적의식에 떨어지면 안된다?
아니 마음공부인이 목적의식에 떨어지지않고  

어찌공부를 할수잇단말인가?
깨닽기위해 공부하는거다
우리가 완전한 깨달음을 얻기전에는 어떤말도 의식의노예임을 

벗어날수없는것이다
근데 목적의식을 가지마라?
이케말하는것이 업짓인줄도 모르면서 뭔 아는소리 한다는건지 

나는 도저히 모르겟다(정신만 사납다)
개구즉착 이다
입 벌리면 다 그르친다
근데 열심히 당당한척 그르치고잇는줄은 모르고잇다
언자부지요 지자불언이다
말하는자 모르는것이요 아는자는 말이없는것이다

나 말하고잇나? 그면 난 모르는거다

난 암껏두 모른다 그나 너희들은 그조차두 모르고잇다 -소크-
눈썹하나 깜빡이는것도 가나다라중 가 하나라도 생각이 쪼끔이라도 

움직이는것도 업의 노예인것인데 것도모르면서 업짱만두터히한다
성철스님은 백일법문에서 말씀하신다
법문듣고 참선하고 법문듣고참선하고 이렇게 공부지어 나가는것이다
간화선은 최상승 공부법이다
참선하면서 화두없이 참선하면 일체법의 탄생연고를 알고저하는

의지가없이 날탕참선하는것이겟다
이것이 무엇인가?
우주삼라만상 이것 낱낱들이 무엇인가 

의문을갖는것이다(대신심 대의심 대분심)
마음공부를 머리굴려서하면 진리공부에서는
멀어져간다
업만 더할뿐이다
 참선않고 머리로 공부한다?
그면 그타 =맞다
어디엔들 독초가잇으랴
모든것은 당연하게 나타나는(약초)것이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불법佛법=일체법이 개시불법 一切法이 皆是佛法 이다
모든법=인드라망(무진연쇄체)=모든존재상이 그대로 순수무잡한 청정심

=선禪=부처님마음 교는 부처님말씀 (선시불심 교시불어)
부처님마음을 아는것=불심佛心을아는것=불심을 안다=예들어 눈眼은 

보이지않틋 불심=부처님마음도 보고저하면 눈멀고 듣고저하면 귀먼다 하두청정해서 

어떤 과(=티끌)=(인과)도용납치않는다
다만 묵묵히비출뿐이라할수잇다=무량광 무량수이다=빛光이라면 

그빛은 수명이 무량하다는말이다=일념즉시 무량광이자 동시에 무량수 이다
중생심이 일어나면(작용하면 탄생하면) 변하는데 불심은 일어나도 무량광이고 무량수이다

(건립해도그것이 늘건립(승질이 불변성이어 항상)한다=무량광 무량수이다
존재물에는 여러기지가지잇다
나도잇고 멍멍이도 책상 컴퓨터 해 달 별등 무수히많다
이들이 낱낱의 움직임이 낱낱이다
눈은 볼수없지만 그작용을통해 눈의상相을안다
보이는곳마다 눈眼투성이다
불심도 그작용인 비추임(움직임)을통해 아는것이다

=비추는곳마다마다 불심아닌곳이없다
빛은 온누리를 항상비춘다 근까 아니계신곳없으시는 부처님 마음이겟다
낱낱의수가 존재하는것을 우리는 알수잇다
1도 2도 3도 자꾸도그비추이을통해 1이구2이구3이겟다
무수한 숫자의존재상 어느것도 비추임의가피로 존재하는거다 깜까이면 

지렁이 멍멍이가 꿈틀될줄만알앗지 왜꿈들하는지는모른다
꿈틀대면서 꿈틀대는것을 모른다이다
생부지래처 사부지거처
하튼불심의작용이 광영光明이다=이른바 지혜광명 이다

=비유하면(말이나생각인 도구사용)심봉사 눈 번쩍뜨는것이겟다
모든것은 시공처(시간공간)=인+연=과이다
=꿈같고 환같은거다이다=인연법=꿈이랄수잇고 환이라비유하는거겟다
불심=빛이다
빛에의해 눈뜨듯보인다
뭐가보이는가?
티끌이보인다
중생심이보인다 모든 상相이보인다= 망妄이보인다
빛으로 빛은볼수없다
빛이볼수잇는것은 티끌=망 밖에없다
티끌외엔 또다른티끌 =비상非相은 따로이 또없다이다
진은 비춘다 비추이는것은 티끌穢 외는 없는 유일물이겟다
진=망 이다
이걸말만들어보면
진眞= 망妄을비추고 망없으면 진도 헐일없다 
지옥이 텅빌때까지 나는성불하지않겟다 하고대원大願을 세우신 지장보살님 
그나 제도된 중생도 없겟읍니다
근까 부처님두 실업자되기전에 중생들잇을때 잘해야한다
끝까지중생심이요
끝까지 청정심(불변성)이어 법계는 항상 하다 말하는것이겟다
법성원융 무이상 제법부동 본래적
법계의 승질머리는 (물물物物이 원융하여 서로 다르지않아 모든법법이 

적적寂寂하고 성성惺惺하고 성성적적하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조고각하照顧脚下
발 밑을 돌이켜 살펴보라

마음공부인은 (禪學者) 보이고들려오는
말.소리 (말-言 소리-相) 를
헤아려 좋아하고 싫어하려(업습기業習氣)말고

보고듣고 어찌 하는가를生 살펴라(앞생각, 집착허나 안허나)
마음밖에서 찾지말라
어찌하는가?
설사 나를 해한다 하여도 물들지마라(=夢中事)
환幻을 환으로알면 지혜인이니라

앞생각에 미혹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부처이니라 -육조혜능-


여여如如= 여시여시如是如是=이와같고 이와같다=인+연=과이고 인+연=과이다
=남쪽에서 온 노인은 불법을 설할줄을 모르고, 남쪽에서 온노인은 불법을 설한다
靑山流水청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산은 푸르르고 물은 흘러간다
우리는 언제가되어야 알까가 아니고(알 필요조차도없다)
언제가 되어야 흐를것인가
깨달음= 어둠을 밝음으로 바꾸려는것이 아니라, 어둠이밝음이고 밝음이 

어둠인것을 알아보는것이다
언행일치 지행합일=말하면서 행하고 행하면서 말한다 아는것과 행하는것이 

동시이다=부처님 행行 이다 佛行
불교공부는 
세수하다 코만지는것보다도쉽다=수다학파



불시일번한철골
한철골 
뼛꼴이시리다
벼랑끝에서 등밀려 떨어지는동안 의 맛을 본자?
다시맗해보자면 진리에 흠내본자?
뼛꼴이시려도 아주무척 시려본자
한라산 젊은이들의 배고픔의 두려움 공포를 맞이하엿을때의 

간절함은 맛본자만이 그 맛을 알수잇을 것이다 어떤말 어떤글이 이얼까?
지극정성? 공부하면 얻지못할 지혜 없다 이겟다
궁좌실제 중도상 
백록담에서의 젊은이들의 빨딱 하산길에 뭐가잇엇을까
내려가야 산다?
일념즉시 무량겁 ㅡ한생각 일으킬 그런 한가할 여가가잇엇을까
첨 첨한두번은 어리석은얼라이니(業童子) 해보기도 되겟찌만 망상짓 알고

 재고의가치도없는 망상짓 계속햇을까나 - 모를때야 그러기도 이겟찌만 

알고는 도저히못간다오 꽃길? 비단길? 꽃길은 무슨꽃길
생멸멸이 ㅡ내려가지만 내려간다는 생각마저도 용납치않는 

적멸처 아니겟는가이다
생부지래처 사부지거처 ㅡ살아잇으면서 온것(어떻게 탄생生하기에 

이르른건가)모르고 죽을꺼 무서워 하면서 가는곳 모른다
운변탈도 구름벗어난토끼 향하지 어데로갓는가 낙일기응 저문날 

배고픈매한마리 공자명 헛울음만 우는구나 



회향스님과 마조스님 문답

마조가 좌선을하는모습을보고 
회향스님의 무엇을하고잇는가 물음에 
마조는답햇다 부처가되려합니다
그러자 회향스님은 기와를가져와 갈고잇엇다
멀 하십니까 거울만들려한다
기와를 다듬는다고 거울이 되겟읍니까
좌선(앉아잇는다고)한다고 부처가되겟는가
수레가 안갈때 소를때려야하나 마차를 때려야 하겟는가
좌선한다고 부처가되겟는가?
그럼 행주좌와 어묵동정한다고 부처가되는가요?


잇는그대로 볼수잇는 안목이없으면,
앉아잇다고 부처가 되는가하는 말에떨어져
좌선한다고 부처않된다 하는식의 논리를 펴게되는 

생각을해 (알음알이)망상속을 헤메는것이라본다
선방에서 열심히 참선수행하는자를 마치 폄하하는듯한 표현으로 

자망망타自妄妄他(나도 망쪼들고 남도 망쪼들게한다) 하는것을 보게된다

앉아잇는것, 기와를 갈고잇는것 
몸짓을 또 말짓 또 생각짓하는것은 모두 업짓이다
근까 업짓하며 뭔부처가 되겟는가 하는 것이라본다
앉아잇는다고 부처가되겟는가
그럼 서잇으면 부처가 되겟읍니까

기와를갈고잇는 몸짓이나 앉아잇는 몸짓이나 모두 업의짓이다
이업짓이 그대로 부처짓임을 일아야한다

중생이부처이고 부처가 중생이다(원융사상)
법성원융 무이상 제법부동 본래적
불연지 대연이요 대연지 불연이다

똑같은 사껀사고를 놓고 
그대님은 어찌 보시려는가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상재도공문常在道空門 
마음공부하는 이는 항상 마음을 공문에 두어야한다
마음공부를 많이하엿거나 쪼끔하엿거나 마음을 공문에 두워야한다
공문?
마음을비워야한다
쉽게 말해서 나름 마음을 가라앉히는것이다
방하착放下着 마음을 내려놓는다
안정된마음? 어쩌꺼나 법문을듣거나 경전을보거나 행주좌와 어묵동정

 어느때이건 마음을 안정해야한다 이다
심지어는 잡담을 할때라도 마음을 가라앉히려는 자세를 

취해야한다이다
이것이 습관화 시켜라 이겟다
그리고 방하착 공문 무심을 그리고 청정심에 이르르는것이다
분명한것은 나름 마음을 가라앉히는것의 습관 길들이기이다
자신이 말을할때도 자신이 무엇을 할때라도 잘하든 아니든 나름의 

마음을 가라앉히는습관들이기이다
봉사를할때에도 봉사를 할때에도 절댜 마음이 들떠서는 안된다
마음의 안정화이다
이것이  처음엔 잘안되기도 하겟찌만  신경써서라도 안정화가 

익어져야하겟다
이것이 익어지면 애안써도 잘된다
고새 힘이 생긴거다
마음의안정화 수행이다
그리고나서 보시이고 봉사이어야하겟다
보시 봉사를 빙자하여 마음을 동하지않는힘(바라밀다=차안에서 

피안에 이르는힘)을기르는것 이겟다
바꿔말하면 보시도 봉사도 또 생활의 일거수 일투족을 안정화된 마음으로 

행하는것이다
이러한 생활자세로써 법문도듣고 참선도 하는것이다
상재도공문 마음공부자는 항상 마음을공문에 두어야한다
볼때나 들을때나 항상 안정된마음의 힘(習氣)으로 살아가는것이다
우리는 업業=습관덩어리=업종자 이고 업종자의작용이  우리스스로의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몸으로 입으로 생각으로 나타난다
몸짓 말짓 생각짓 이것을 3가지업  삼업이라한다
근까 눈깜빡이는것도 몸짓이고 신업身業이다
말짓口業 생각짓意業 이어 우리의 어떤짓거리도 다 업짓이겟다
잘한짓이거나 못한짓이거나 다 업의직용 업의움직임 이러케 일거수 

일투족이 다 업짓이다
업의 움직거림 =업의작용=업짓 이다
업(습관덩어리)은 마치 눈雪가루와같아 홍로점설紅爐點雪=시뻘건 

화롯불위의 눈한점 신세이기도하다
업종자가 인이되어 + 사람부모를 연으로하여= 사람탈쓴 업동자가 

탄생하는거다
인=과이고 과=인이다
고로 과물 업동자=업종자라 보는것이 내견해이다
연으로 사람부모 만나 업동자業童子이지
멍멍이나 닭을 부모로 만낫더라면 강아지나 병아리중생 될뻔한껀지도

 모를일이겟따(나우견)

업인과보 이겟다=업뽀 

자업자득=스스로 업을지고 스스로 그업을 받는다 업작업수요 

자승繩자박縛=스스로 줄 만들고 스스로 만든줄로 자기를 묶는다 

이겟다 =누에고치 움짖임을 멈추지않는한 벽은 두터워만간다(업짱業障)
업동이의 탄생 = 홍로점설 =순수무잡의공  순수무잡의 무이다 

=그속성의속은 텅 비엇다=청정심=무량빛 무량수=명찰붙이면 

아미타 보신이요 명찰 떨어진것을 法身=법을 몸을삼는 청정법신이라 

이름하는것이요  불변성이다= 홍로점설 업종자의 속성은 

본래는 청정이엇다가 펑하고 나타나는것이겟다
청정심의 작용인 근까 잇으면 잇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비추운다

=청정심의작용
이비춤물이 만약 커피라면, 이런 벌써 명찰달렷네 하튼 잇는그대로본 

비춤물(명찰떨어진 커피) 우리의필요악 명찰커피와 는 분명 다르다
인+연=과 이다
인+연  이는 말하자면 물이 설탕 이나 커피를 만낫을뿐이지 

(아직,  과이긴 하지만 명찰붙기전의 만남=개화천지미분전

開花天地 未分前=천지가 구분되기전에 핀꽃=명찰  달기전 커피) 

이것은 생각인 과이전의 사껀사고이다=일념 미생전=일념불생 

만법무구=념념념(낱낱염念이) 즉시 몽땅 허물 흠 하자(비상非相)이다
  명찰달기전 커피 와 명찰붙은 커피
그대님들 명찰달기전 커피맛을 아느냐 입니다
단것도 아니요 쓴것도 아니요 어떤것도아니다 요것이 중도라봅니다
궁좌실제 중도상ㅡ법성게에나옴)
나모라 다나다라 어랍수 요것만 생각나네
흐흠 하튼 신묘장구 대다라니 이다
이것을 뜻퓰이하면 곧 진언이 망언되는 연고 이겟따
인+연=과 이다 인+연 이 과를 이루는데  우리는 잇는 그대로를 

필요악없이는 불편생활되므로 쫌 편하자고 명찰달은것이겟따 

그다가 오래익으니 명찰의 노예습끼 노릇에 이르른것이겟따=부당이 

뻔뻔스럽게 당연짓 하고잇는것이다
언어도단 심행처멸 말도 맘성으로도 표현할수없다=물맛은 먹어본자만이 

그맛을 잘알수잇는것이다
인+연=과이다
과果가 어떤 과인가
그것이 생각이라면 
야반삼경에 문빗짱을 만졋을때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망상妄想=

꿈夢중中事가 되는것 아니겟는가 이다

마음공부인이 옳은말에 (그른말에)집착하면 어리석은것이요 

지햬인은 인연법을 본다의 연고(緣故)이겟다

글 만들자니 정신 사나워 이만줄입니다

아구` 어깨 팔 다리 허리 야 ( 먼 소리 여? =이 뭐꼬?)

아파 본자만이 그 아픈맛을 안다 (언어도단 심행처멸)

불시일번 환철골 쟁득매화 박비향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로봉검객 수정검 불시시인 불헌시

路逢劍客 須呈劍 不是詩人 不獻詩
도상道上에서 검객을 만나면 검을받치고
시인이 아니면 시를 받치지않는다
직역하면 대충 이러한뜻이다

건 그러코 
이게 뭔소리냐 이거다
선(마음)공부하는 이는 한번쯤은 접해밧을 귀절이다
마음공부를 한답시고 딴에는 열심히 해보는데 이게 예삿일이 아니다
예삿일이 아닌것이 다 업보때문이겟다
내탓 아니고 업보탓?
업보가뭐여 바로 나我가 업보 당사자인데 업보탓으로 한다하드래도 

업동자業童子 (인)요 업동자의 작용이겟다
업인과보業因果報=줄여서 업보라한다
뭐드라?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마음은 화가가 모든 존재물을 그린다

 와같으다=만든다作家=일체 유심조
업동자가 경계상(연)을 보고 혹은 듣고 또는 알고 한다 

보고=듣고=알고=억동자의움직임(작용)이겟다 
이것을 청정심의 작용=청정심(수정주)의비추임=지혜의작용)으로써 비추워본다 이다 
소위 견문각지見聞覺知 이다
하튼
로정검객수정검 불시시인 불헌시
이게 먼 소리냐?
공부허는데 자기소견을 세우고 나는 나대로 소견을 세우고 

백인백색의소견이 백색(소견들)을견주어 보고 안목을 높이는것을 

탁마라 하겟는데 하여 자난척하고 내소견을 밝힐것이아니라 

우리님들은 어떤소견일까
글고 내소견이 나름당당할진대 설사 안목넓은 소견을 보고 배울수잇다면

 이보다 더좋은 공부는 없겟다 본다
나름 소견이잇어야 다른이 소견이 어떤가가 나오지 내소견도없이

 그냥 다른공부인의소견만을 접한다면 

옳으니 그르니 하는 업짓만 더할뿐이라 생각한다
근까로봉검객 수정검 불시시인 불헌시

路逢劍客 須呈劍 不是詩人 不獻詩
도상道上에서 검객을 만나면 검을받치고
시인이 아니면 시를 받치지않는다
직역하면 대충 이러한뜻이다

건 그러코 
이게 뭔소리냐 이거다
선(마음)공부하는 이는 한번쯤은 접해밧을 귀절이다
마음공부를 한답시고 딴에는 열심히 해보는데 이게 예삿일이 아니다
예삿일이 아닌것이 다 업보때문이겟다
내탓 아니고 업보탓?
업보가뭐여 바로 나我가 업보 당사자인데 업보탓으로 한다하드래도 

업동자業童子 (인)요 업동자의 작용이겟다
업인과보業因果報=줄여서 업보라한다
뭐드라?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마음은 화가가 모든 존재물을 그린다 

와같으다=만든다作家=일체 유심조
업동자가 경계상(연)을 보고 혹은 듣고 또는 알고 한다 

보고=듣고=알고=억동자의움직임(작용)이겟다 
이것을 청정심의 작용=청정심(수정주)의비추임=지혜의작용)으로써 비추워본다 이다 
소위 견문각지見聞覺知 이다
하튼
로정검객수정검 불시시인 불헌시
이게 먼 소리냐?
공부허는데 자기소견을 세우고 나는 나대로 소견을 세우고 

백인백색의소견이 백색(소견들)을견주어 보고 안목을 높이는것을 

탁마라 하겟는데 하여 자난척하고 내소견을 밝힐것이아니라 

우리님들은 어떤소견일까
글고 내소견이 나름당당할진대 설사 안목넓은 소견을 보고 배울수잇다면

 이보다 더좋은 공부는 없겟다 본다
나름 소견이잇어야 다른이 소견이 어떤가가 나오지 내소견도없이

 그냥 다른공부인의소견만을 접한다면 옳으니 그르니 하는 

업짓만 더할뿐이라 생각한다
근까
나두 말않고 가만잇다가 우리님들 각각낱낱이가 분명한 소견자되어
제하찮은 소견을보면 공부하는데 서로 호상간 도움되지않겟나 생각하는바입니다 
( 매부조코 누이조코 )😄😄😄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업동자因가 하는짓마다= 업동자果 이다 이말인즉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처럼 

세간의 모든것을 그려낸다는뜻이겟다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 이다



보왕삼매론
마음공부는 쉬운가어려운가
자견자기自見自己
자기를 자기가 보니까쉽다 말한다
우리욕심의 작용은 구하려만 든다
불교공부를해도 많이하려하고 많이알려한다
근데두 아직두 모르니 어렵다되는것 당연지사이다
유구개고 무구개락 有求皆苦 無求皆樂
구하려하면 괴로움의시작이요 구하려않는다면 본전치기이니 

즐거움이지는 아닐지언정 괴로움은 아니겟다
불교공부를 신경않쓰고 반신반의半信半疑 하면서 적장히공부하면서 

지내다가 꾀를내어 공부한답시구 생각해내기를 +가아니면 ㅡ를하라 

아군이아니면 차라리 적군이어라
단단히 맘먹고 다시 문귀를본다
유구개고 무구개락
우리는 열심히하지만 구하는짓이고 덜렁덜렁 하지만 오히려 힘들지않아 

공부꾸준해도 그케 어렵다하지는않는다
오히려 구하는욕심이덜작용하니 전자보다는 후자가 소극적이어그치 

더 줄겁게 불교공부 하게되는것은이닐까 (깨닫지는 못햇찌만)
더나아가 (적극적) 구하기보다는 손해보는짓을 목표로 한다면 어떨까이다
마음공부가여의치않으니 별생각 다 드네 해보지만 꼭이 그치만도않은것이

 특히 보왕삼매론이다
생각나는것이
몸에 병멊기를 바라지마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없기틀 바라지마라
억울함을 당하여 밝히려고하지마라 이다 (공부인의자세=어려운것=당연이다)
근까 소극적에서 적극적으로 더하기가 아니면 빼기를 하라 이겟다
나를 위하기 보다는 남을위하여 살아가라
또말하면
내 아픔을 감수강당하며 살다보면 그대님에게는 좋은일아니겟는가
대표적인게 봉사 이겟다
봉사가 적극적 이어야지 소극적으로 예들면 내생각기준으로 하면 

온전봉사가 못되므로  지심귀명례至心歸命禮 지극한 마음으로 하심하며

(청정심으로 돌아가게 또는 되게) 봉사하겟읍니다
근까
내생각의 잣대로 봉사하는것이아니라 불보살님의뜻에 맡기고 봉사하겟읍니다이다
내생각의 잣대는 불보살님꼐 받치고 저는 봉사만 하겟읍니다
결론적으로 
세상을 청정심으로살아가겟읍니다
부언하면 더러운마음 인사면 깨끗하게고쳐가며 점점 청정해가는 

마음으로 살겟읍니다이다
이러니까 또 저러니까 봉사한다가 아니라
그냥(청정심으로) 봉사한다 이겟다

사문이란 생활에기본이되는 의 ㆍ식ㆍ 주 의 결핍을 견디어내는 자를 말한다

정성껏이란 혹 내뜻대로한것아닌가 를 돌이켜보고(=반조反照) 

내뜻(내뜻인것두 모르행한것은 무명이고 본의아닌 인위적抱含초보자라 그타, 

익어숙성이 수행이겟다 )일경우는 참회하고 (내탓을 네탓으로 간주하고 

너를위해 기도하는것, 웃끼는행이다=너나없이 흔히보는일이겟다)

내일은 그뜻도 불보살님꼐 받치며(맡기며=至心)살아가려는자
우린 이를 보살(보살菩薩)이라부른다

기도를해도 잘이루워지지 않는것은 불보살님에대한믿음이 적어서가 아니라

 자기성찰이 부족해서라 생각한다
기도가 성취될때는 자기 스스로 알수잇게된다
실예로서 나는한라산 배록담에서의 젊은이를 떠올린다
끼니를 굶고 백록담에오른혈기왕성한이들 몹씨 허기가지자(허기를 만나면) 

첨엔 이사람 저사람에게로 다가가 구걸해보지만소용없다 털퍼덕 주저앉아잇엇다
이때의상황 아시는분들은 충분히 알수잇다
이때의 배고품이 단순배고픔이 아니다
공포두려움 이다 
이때 기도한다고 이루워질까나
절망감에 늘어져가던 젊은이들은 갑짜기 발딱일어서자마자 하산을시작햇다
기도할힘조차도 없떤 그들이 문득 일어난것이다
그리고는 그야말로 쏜살같이 내려가는것이다
불보살님의 가피로 없던힘 생기고 그렇게 빨리 하산하는가요
그순간만큼은 깨달앗끼때문 이라고 말하겟읍니다(간절=지극정성

=정신일도 하사불성=백척간두 진일보= 한생 안태어난셈 치고 공부하라= 바보가되어라)
깨달음=지혜의작용=이럴까 또는 저럴까(생각이요? 

누구죽일려고 생각을합니까=일념=즉시 무량겁 이라 생각할 여가없어요 

걍 빨딱입니다=무심행)
이도 저도(=망상妄想,꿈夢과같아) 아닙니다
그럼 뭐냐?
쏜살같이 내려간다=중도행이라 이름합니다
물은 먹어본자만이 압니다
중도를 한라산에서본 그젊은이들에게 물어보면 뭐라 답할까요?
이러타 말할까요 저러타 말 할까요
개구즉착 開口卽錯ㅡ입 벙끗만해도 그르치느니라
어리석은자는 옳은것에 (그른것에)집착을한다
생각난다 
언어도단 심행처멸

맹목적으로는 (자기욕구심)으로는 성취되기 어렵다
유구개고 무구개고
구함이 잇으면 다 괴로움이고 구함이없으면 다 줄거움 이다
어떻게 욕구심이 잇고 없고를 알수잇는가

승질내면(독을 뿜으면) 욕심물(업동자)이겟다
삼독심=탐 ㆍ 진 ㆍ 치 
내 뜻에 맞게하려는 어리석은짓이 탐貪이요
내뜻에 맞지않을때 승질나는것이 진嗔이요
인연법을 모르는것이 癡이다
모든것=인+연 = 인연법칙이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삼법인三法印

오만원권이 천원권이 잇다
부자도잇고 빈자도잇는 이 사바세계
복된자도잇고 지지리도 복없는자도잇다
건강자도잇고 허약자도잇다
어느곳에 두가지가 다 잇는 곳이 잇단말인가
천국이라는곳두 지옥이라는곳두 좋은것 하나밖에없고 또 싫은것 하나밖에없다
근데 살고잇는 이곳에는 이것 저것 다잇다(땡 잡은거다)
여름오면 삐질삐질 하고 겨울오면 바들바들 한다
초등때 우리나라는 사계절이잇어 좋은나라라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기억이난다
속으로 무슨 선풍기도없어 더워죽겟는데 추운데 조개탄난로 잇어밧짜 

발시려 동상걸려가는데

덥지도 춥지도않은나라가 좋은나라이지 하고 투덜댄적잇다
물 값이 휘발유값보다 비싼 나라도잇단다
희한한 나라도 다 잇네
지금은 나두 비싼물 먹고 시꺼먼 썬그라스 쓰구 더해 대낮에 복면쓰구 다녀도 

뭐라 하지않는 나한창 자랄땐 엄두도 못낸 사껀사고들이다 그나 지금은 

당당하게 자유로운 나라에산다
제법무아 제행무상 열반적정 ㅡ삼법인
모든법은 분석해보면 나라하는 씨알머리가 잇는줄 알앗는데 없다니?
전에 딱딱한 골프공을 풀어본적잇다
아~때 가는고무줄로(찰고무줄) 칭칭 꽉꽉 빽빽 감겨져잇어 승질급한 나에게

 인내심 길러주는 골프공이엇따 조그만 공에서 찰고무줄이 

오늘에도 풀려나오는줄 착각들고 풀다지처 포기하려햇엇다

지겸떤시간의 끝이 보이기도해찌만 에휴~ 뭐라구? 봄찾으러 갓다가 지쳐 

집에 돌아오니 담장에 봄이 잇다더니 증말 지쳐 포기할려는데 쪼끄만 고무공 나오드라

눈에 황달이 물들어버렷다오

그때 서너개 더 풀엇으면 인내심 더 강햇을터인데 

소욕지족을 배우느랴 그랫나부다 하고만다

하튼 골프공속에는 쪼끄만고무공이나오는데 그고무공까지 까보니(면도칼로 찢으니

 오랜 허공향이 나더라

정말 텅 비어잇엇다
골프공 이거굉장히 딱딱하척 하는데 그속은 개뿔이더라
나두 잘난척해보지만 마찬가지 이다(소문난잔치 먹을것없다이다)
부자 빈자 강건자 허약자 좋은것 나뿐것 다 유명무실有名無實 이름만잇찌

 그속은 토각귀모 兎角龜毛이다

제법무아諸法無我 ㅡ모든 존재물에는 속은 공이요 무인데 가는고무줄 

무진장칭칭 (업짱두터워) 감겨잇어 무척딱딱한 그골프공의 힘은 

고금외 라(우리의 의식을 떠나잇다)
백운청풍 자거래 흰구름 맑은바람 스스로 오고간다 (지 맘이다)

이래라 저래라 말해밧짜
언자言者만 울화통 터진다

제법무아, 무아 이니, 우리의욕구심은, 부자이면 좋아하고 빈자이면 

싫어하는 딱딱한 존재물(두터운업짱)되어 싫어하는것 이겟따

욕심이 제아무리 쎈척하여, 겁먹구 -실은 겁에 질린지도 모르고 질린짓하지만) 우리는절룸인생 살아가고잇는지도 모른다
좋아하는것도 싫어하는것도愛憎 다 같은것이다
좋아하는것도 싫어하는것도 모두 욕구심의속성이다
욕심이 강력한 힘으로 우릴 좋아하고愛 싫어하게憎 부려먹는다
우릴 부려먹는다?
우리가 욕심을부려먹어두 시원찮은판에 뭐시라?(쪽팔리게 법에 굴림을 당하고잇다)

자존심에 흠집이 생겻으니 이를 어이 할꼬나

수처작주 입처개진 -한마디로말해 주인이되여 법을 굴리며 살자(법륜法輪)을 굴리자
욕심도 그속은 텅비워잇다 
겉만보니 쎈것같지만 골프공처럼 텅빈것空에대해=청정심에대해 잘못된만남(=티끌塵이요 또 비상非相) 이다
공과 비상간의 힘겨루기인가
어느한쪽에 기운다면 
비상(중생심)과 청정심空과의 갈등에 온전히 살아보려는 선남선녀인들 

온전의 파계되어 죄의식을느끼며 살아간다 (표리부동表裏不同)
그나 모든존재물의속성이 다 공하다는 제법무아 이다
근까
공(청정심)=색(중생심) 색=공이요 공=색 이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색은 공과 다르지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않으니 공이 곧 색이고 색은 곧 공이다
윤수현의 꽃길에서 노래한다
모를때야, 비단길은좋아하고愛 아픈길은 싫어햇찌만憎

이제알고보니 다 나의 욕구심(갈애)에 끄달려서執着이다
너무아파요 
불시일번 한철골 쟁득매화 박비향
한번 뼛꼴이 시려보지않고서 어찌 매화의 향기를 맡을수잇겟는가
홍인스님이 나룻배의 노를 저으려하자
제자인 혜능스님이 말한다
모를때야 모르겟지만, 이젠 알앗으니 제가 노를 젓겟읍니다
타력에서 자력으로 살아갈것입니다
부자 빈자 강자 약자 어떤것이 올지라도 집착(오염)되지말고 항상 청정하게 살아가라
건강해도 병약해도(당연지사 이오니) 관계치(오염)않고 살아가라
처염상정 處染常淨 ㅡ비록 드런물에서(희노애락) 살지만 

드런물에 물들지말고 희노애락하며 살아가라ㅡ열반적정(해탈열반)
삼법인三法印 = 제법무아 제행무상(변한다) 열반적정
본래성품은비엇으니 어떤 티끌인=법이없으니無有定法

=잇다면 인연=꿍짝 만이 잇을뿐이다=맹구파별契合


인因+연緣=과果=중생심=수연성=묘유妙有=허공발연

아공+법공=구공=청정심=불변성=진공眞空=해저생연

진공작용=순수무잡=무유정법=자명등自明燈=깨달음(지혜등불)

=무조작, 잇는그대로보임正見=망심=평등성지=불생불멸=맹귀파별盲龜跛鱉



여시아견 여시아사 如是我見如是我思

불교는 마음공부이다
교시불어 선시불심 이다
마음을 배우기위해서 먼저 말씀을 들어야하고 다음에는 마음을배ㅝ야하는데 

배운말씀을토대로 마음을 접하는것이다
말이 곧 마음이아니고 말은 마음을 말을통해 엿보는것이다
따라서 교를통해서 마음을직접배워야하므로 교가 뜻하는 교리를충분히

 익혀야하는것이다 
교리공부가 시원치않으면 막상 마음공부에임햇을때 마음공부를 잘할수 없을것 아닌가
뭐 근기가 출중하다면야 교리공부타가도 깨달을수도잇겟찌만 

우리같은 중하근기는 기본에 충실해야한다는것이다
깨닫고싶은 마음에 급한마음 당연한 마음이지만 급하게한다하여 

급히 이뤄지지않고 오히려 폐단이 생기는데 상기병도 상기병이지만 

급할수록 돌아가랫듯이 없는여유 만들어서라도 좀 공부가안될땐 

쉬엄쉬엄 느긋해야한다본다
인=과 과=인 이다
하튼간에 마음공부하다보면 크던작던간에 나름 깨닫게된다
선지식의말씀을 들을때 여유심을갖고듣는데 모르면모른채 듣다가 

마음이끌리는것이 생기면 다른것보다 집중하여 두번세번 파헤쳐야한다
그냥 이해하고 지나면 참선할때 공부가 약해진다
비록 말들마다 이해가 않되는것이 대다수일지라도 쬐끔 알지만 

요쬐끔을 더욱분명히 하는것이 중요타본다
이러케 분명되게 공부하다보면 어느순간에 크고작게 깨닫다가 어느때가되면

 갑자기 마음이 훤해진다 몰랏떤귀절이 절로 알아지고 아는이것이 이상황이구나하는

 상황이온다
뭐가 뭔지가 알아진다

구구단열심히외울때는 외웟어도 튀미한채로 지냇는데 이게 어느날 한눈에 

들어오는것과 비슷하게 나름 신기하게도 안목이 넓어진다
보는눈이 달라진다
더말한자면 생사가 분명햇떤것처럼 불생불멸이 분명해진다
한번읽어 이해한것과 두번세번읽어 이해되는것이분명다르다
생각(알음알이)으로 헤아리면(본인은 아니라 착각히지만ㆍ자기에게 자기가속는거다) 
생각으로 헤아리게되는것은 업짱이 두터워서이다(業力)
설사 깨달앗다하여도 업력이 나아잇는것을 스스로 알게되는것보면 불각일때는

 오히려 몰라 업력인줄 몰랏다가 그나마깨달앗을때 남아잇는 업력이 보이는거다하겟다
업력이 그러타ㆍ도고마성道高魔盛 공부가 깊어질수록 마구니가 기승을부린다
그대로 요동치말고 지긋하여 지속이어야한다 
힘따라 분수따라 이다
여시아견 여시아사 이엇읍니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오늘도걷는다마는정처없는이발길
내탓인가네탓인가
흥함이다하면 쇄퇴를이루게되고 괴롬憎이 다하면 조은것愛가온다

중도로써 살아가라 하시엇느니라
죻은것두 놀고 싫은것두놓아라
우리의 본성품을 알지못하면見性을 보지못하면 부처두 이룰수도없다(佛成)
자각自覺하라
우리의 성품은 하두밝아 비추지모싸는것이없다
무량광無量光그빛이 한량멊고 무량수無量壽이어 마냥 비추니 지혜의등불은

 꺼지지않는다
아미타불=무량광+ 무량수이다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연=과이다

인이없으면 연두없고 과두없다
이게잇으니저것두잇는거지 저것없으면 이것주없다
하든 인+연=과이다
과=결과물을 말한다
과물은 인+연의조합물이어 인연이아니면 과는없다
모든존재물=과 이다= 변한는말이다
모든존재물이 당생생 불생이어 가만잇찌를 못하는속성때문에 변한다
요사이는 수연성 아니랄까봐
부모가 또자식이 서로버린다
자가가난자식도 버린다 유기물이버려진다

인+연=과이다
인이없으면 연두없고 과두없다
이게잇으니저것두잇는거지 저것없으면 이것주없다
하든 인+연=과이다
과=결과물을 말한다
과물은 인+연의조합물이어 인연이아니면 과는없다
모든존재물=과 이다= 변한는말이다
모든존재물이 당생생 불생이어 가만잇찌를 못하는속성때문에 변한다
요사이는 수연성 아니랄까봐
부모가 또자식이 서로버린다
자가가난자식도 버린다 유기물이버려진다
아주꼴통은 친부모친자식두버린다
신이여 어디로 가시나이까?
태양은말없이(대침묵 ㆍ당연지사 이다)
비춘다
태양=존재물이다= 형상물
태양이말없다하여 죽은것이아니라 그작인 비추고잇는것이다(작용)
무량광무량수이다ㅡ비유이다
그나 비유물도 존재물이어 변해간다
청정하에는 비유도 안비유도 얄짤없이 지특성(승질머리따라)따라 변해간다
이것이 인+연과이다
인연법 하구 말로하면 말言물건 이다
인연법 자체가되면 말필요없구 근까 
향이라면 보일필요없이 또 흔들필요없이 향내가난다 이거다
우리님들의향相은 어디잇나요.
언자부지 지자불언
말을 벗어나잇나요
그나 이조차말이어니 화딱지나누나
어이련가


보시와 보시바라밀=무명업습기의 보시와 청정심의보시=지혜의작용과 생각의작용


지아설법 여벌유자

배고프지않아도 졸립지않아도 엄마곁에잇어야하는 습기자
의 습관(인+연=과)는 불어만간다
목적지에 도착을하면 고마운타고잇떤 뗏목(의지햇떤엄마품은) 떠나혼자서먹고

 혼자잠자고하며(순수무잡純粹無雜 순수=청정 잡=티끌) 홀가분하게 살아가는것이다

수다학파는 말한다

자식은품안의자식이란다
무엇을먹어라 누구와결혼해라
이미 자기마음대로한다

꿈의 대화
인*연=허망과果= 꿈이나고 꿈의움직임=꿈속의일=인+연 이라본다
꿈=인+연
갑돌과갑순 만난다=갑순+갑돌(원인)=과
인=과 이다
인 일뿐 연일뿐(습기일뿐=업일뿐이다)
토각귀모의세월지나며 업장만더해간다
나는걷는다=나는움직인다(自動)
나는 무엇인가= 업종자=청정심自性의작용=비추임에 등장하는 안청정심
청정심의작용 아니엇으면 비춤도아니겟고 물건(티끌도 그림자임도 아닌체

 그저움직이는=꽃은피고 바람은분다 일뿐인 그야말로 눈가루와같을뿐이겟다
무엇이데바종의종지입니까?
은쟁반에 눈이가득합니다(紅爐點雪=화롯불위에 눈꼬라지)
내가 청소자를 위해 청소한다?
내가 햇다면 =내가움직엿을뿐이고 =종자가 싹이 이어 잎이되고 꽃이 된것이겟다

과果(=업 꿈 망상)=인+연 이다
나의작용=나의움직임
나가 움직이지않으면 그나는 더이상 나가아니다
움직여야 예들어종자가싺이되고 움직여야잎이 또 꽃에 이르게되는거다
나가 움직임이없으면 말로하자면 무이어 청정인것이다
청정=공이고 무이다
여기서 공(실체적) 무(존재적)=청정무구 순수무잡=살불살조=무유정법 이라

 낯붉히며 말하는것이다
잇긴잇는데 없다 이다
간장 = 짜다(작용)
짜지않다면(작용인 움직임이없다면 그간장명찰은 떨어져 청정이다
소리내어불러본다
아 미 타 불 =업작업수=업이짓고 업이받는다
태양(상)은빛난다(용)
풍(상)운(상)아兒 =청정심의작용 이다

공산이기 고금외 空山理氣 古今外
백운청풍 자거래 白雲靑風 自去來
하사달마 월서천 何事達磨 越西天
계명축시 인일출 鷄鳴丑時 寅日出

청정한산의 이치기운은 고금 밖이요
근까 흰구름 맑은바람 스스로 오고간다(부처님두소용멊고 조사님도 

청정님의티클일뿐이어 눈에뵈는것이없어 (무유정법 이어) 지맘대로이다)
무슨일로 달마는서천을 건넛는가
축시되면 닭울고 인시되면 해가뜬다
인+연=과 인연법칙 이라 이름합니다


모닝나우 Ben E. King Don't Play That Song

(생각果=因+緣)생각이지만 생각아닌, 노래지만 노래아닌노래 =그런 울림(노래) 는 제발 하지마오-움직여도 움직이않는=동動인가 不動인가=盲龜跛鱉눈먼거북 절름자라 이련가...더 보기
관리



첫생각에집착허문중생이구두번째생각에 깨달으면부처이다 ㅡ6조혜능 ㅡ

생각의속성이 태생자체가 가만잇지못허구 움직인다 왜 움직이는지도모르고 꿈틀된다
자꾸움직이다보니 안움직이는것은 부당물이되어진다
움직인다?
움직이다보니 한편에선안움직이는것이잇게된다
움직인다는것은 상대적이라는말이되기두헌다
부동 과 수동 안다와모른다 이러타와 저러타 옳다그르다 길다짧다
자꾸움직이는것이 반복하므로서 이제는 안움직이면 저절로 움직인다 무의식두

 제헐일허는거다
의식=잠재의식+분별의식=제7식+제6식이다)=업식業識이다=미세업細業+투박업추業

 꼴보기싫은한자잇다 거칠추이던가 보이는게6식이고 마스크쓰구 안경두써야할

 뵈지두않는 미세먼지같이 겉으로 나타나지않는다=잠재의식이다
하튼 동시이다
하튼 분별식으루 보이는것에 또들리는것에 집착하면 중생이구 두벤째 생각에

 깨달으면 부처이다
두번째생각?
잘참구 어지간한것은 잘지낸다
근데 친한이가죽어두 용서힘들게하지만서두 나또는 내것(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망가뜨리면 울분이솟는 울렁임이두번째생각으로본다
제7식인말라식 이겟다
근까6식과7식의 비틀림 (자신속의내분 ㅡ 갈등)이겉으로나타난다
표리부동 ㅡ겉과속이 다른것이되어버린다
위선자 ㅡ속으론 싫은대두 안근척하는자
암튼 6분별사량식=꾸이려하는이성적추구심?
글구 잠재의식은 본능적이랄수잇겟따
6시콰7식의 싸움
자기와의쌈박질이다
요기서6식이승리하는것이 자기와의싸움에서의승리라 말하는것인사본다
하튼그타 나우는 노코멘트
아무튼간에 7식의 나타남을 알아라 더말해 분별사량식인6식은드러나잇엇으므로

 물론이고 기끔나타나는말라식6식의 울렁거림까지두 알아라이겟따
낯설기까한 말라식에 자신조차두 낯설은작용에 울고싶고 놀라기두헌다

(경끼驚氣걸린다)



생활하면서
삼독심(탐심 진심 치심)이잇다하여 아무일도일어나지않앗는데 독을뿜는것은아니다

 생겨진상황이
마음에 바라는마음(욕구심)에 들면愛 좋아하고 안들면 승질낸다 
처음마음의 착한마음인양 하던 양믜탈을벗고 늑대의이빨을드러낸다 
몸의짓 말의짓 생각의짓(業짓)=분별식으로는 착한짓하려지만 마음에 안들면

 잠재의식이나타나는것이다
착하던이가 화딱지내며 착한짓이고뭐고 어리석어 안하무인된다
헤여질때 가만헤어지는사람 보기쉽지않타
내짓은 로맨스 남짓은 부륜이다
내탓이면 간단한데 네탓되니 뒤끗이 사납다
그러면서도 참회두없이 나는 선남자 선녀인이구잇따
재밋는세상살이이다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고 결정되어잇는것은없다
그치만 꿍짝만맞으면 옳은것도 그른것도 관계치않고 무사통과이다
눈앞에사람과친하라 ㅡ톨스
난 아무것두 모른다
그나 너희들은 그조차두 모른다 ㅡ쏘크
소인배는 이기는것을 좋아하고 
어리석은자는 옳은것에 집착하고
지혜인은 인연법을본다


가야지 이젠 가야지
말로만?
아니야 이제는 꽃은피고 새도우는데 이제는 꼐합하러 갈꼬야
산넘고 물을건너서 혼자갈꺼야 정말가야지
꽃相이피면 꽃되어자고用 바람불면 바람되어 자련다
말로만 꽃되어피고 바람되어 잣지만

이제까지는 몰라 생각으로 꽃에서자고 바람불면 자야만햇찌만
이제 꽃이되고 바람이되어(계합) 움직여보련다
꽃이라면 피고 바람이라면 힘차게불어주마
물은 먹어본자만이 물맛을안다(중도)

저기꽃 잇네
가야지 어서갈꺼야
내가가듯이~
꽃되어 피어볼꺼야
나혼자갈꺼야
나는가련다
산이되여넘어도보고 강되어 쎙 건너도보련다
말하지마라 생각하지마라
나는간다
진짜간다 가야만한다 
머나먼길이라도 나는길이되러 가련다

가야지  https://www.youtube.com/watch?v=xxD6zesavFM



우리들은 불생불멸(永生)을 말하면서 이몸에 집착하고 이말에 집착하고

 이생각에 집착한다
이몸 이말 이생각(業作業受)에 집착하면 반드시 생노병사하며 당연흘러가는데

=隨緣性 어찌 영생에 집착하고 생사에 집착하며
집착하면서 집착하고잇음을 모르는것을 어찌 지혜라허겟으며 지혜의안목을

 기대할수 잇겟쓸까나
靑山流水=산은푸르고 물은 흐른다
언제가되어야 산과 물이 되어契合 푸르고 흐를것인가言行一致
꿈속의 별夢中事, 해뜰때까지 기다릴것없이
언능 깨어나라 (안일어나면 발로찬다)


여하시 조사서래의?
어떤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뜻입니까?

인+연을 묻는다
여름에는 삐질삐질 겨울에는 바들바들
유록화홍柳綠花紅버들은푸르고 꽃은붉더라
계한상수 압한하수 鷄寒上樹 鴨寒下水
날씨가 주우면, 
닭은 나무위에 오르고 오리는 물에든다
남쪽에는 귤이나고 북쪽에는 탱자가난다
안횡비직眼橫鼻直
눈은가로로 놓여잇고 코는 세로로 놓여잇다
학다리 롱다리 오리다리 숏다리
학다리는 길고 오리다리는 짧다
백척사륜 직하수
일파재동 만파수
야정수한 어불식
만선공재 월명귀
긴 낚시줄을 곧게드리우니
쪼끔일파는 자꾸일파 이룬다
밤=고요하고 물=차가우니
고기가 물지를 않는구나(물수가없다=우리의인식生覺 밖이다)
해서, 빈배에 달빛만잔뜩싫고 돌아오누나

명사는 존재물이고 동사는그작용이겟찌요
존재물=5온5蘊(업짱業障=지혜의장애물=쇠의녹, 생피부의 상채기)=오온=

색+수상행식=물질적존재+정신적존재=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5온을 비추워보니, 빵은빵인데 공갈빵이요
뿔은 뿔인데 개뿔이어라=유명무실 有名無實ㆍ이름만잇고 실체는없다= 

토각귀모兎角龜毛ㆍ토끼뿔 거북털이어라 =뿔은주장자를만들고 털은 털이개로쓰는다

하튼 모든 존재물=모두 속이비운것을 본 지혜는 모든 괴로움과 곤란함으로부터

 멀리 떠난다

기쁨의 비단길도 슬픔의길도 난 이제 못가요 모르고야 갓려햇찌 이젠 아는데,,

진짜루다 못가요-윤수현의 이쁜목울림 꽃길 되겟다
이쯤하면 파노라마가 흥미롭기도하겟꼬 진부하고 식상도하겟지요=몽중사夢中事
이맛을 아시나요?
이름은꽂분이 늘씬코S라인 입니다
인+연=과果=夢, 幻 요것을 인연법칙이라합니다

허공발연(생각밖) 해저생연(셍각안) 허공에서 불이나니 동시에 바다밑에서는

 연기가난다(제7말라식:잠재의식)제6:분별사량식:닉네임 알음알이)식 또 업짱식 이겟다

인연법=이것 잇으면 저것도잇꼬 저것없으면 이것도 없다

윤수현 /꽃길 https://www.youtube.com/watch?v=_pKT-EZg0EA


사교입선捨敎入禪

교를버리고 선에든다
= 교는 부처님의 말씀이요((보이지않는)마음을 가르치기위한 방편도구인 문자이므로, 다시말해 문자가 곧 마음이아니므로 버리고(=사교捨敎), 마음을 직접 가리키는 가르침(直指)인 선에 드는것이다(入禪)=근까 그대로 부처님 마음이 되어지는것이다
교시불어 선시불심=서산대사께서 말씀하시기를 교는부처님 말씀이요 선은 부처님마음이시다

특히 교와선이 둘이아님을 강조 하셧느니라
옮겨적은 이글은40년전쯤 의정부 망월사입구, 나무게시판에 붓으로 쓰여잇떤것이다
교=선, 교와선은 다르지않아 하나이다이다
하나는 도구로써(언설장구 방편) 마음을 가르친것이요
또하나는 직접 런닝구를 벗어 보인것이겟따(?)
해서 또 말해보기를(언설장구)
춘래 초자청 풍래초자언이다
봄이 움직이니(오니) 풀은 파라케 움직이고(되어지고)
바람이 움직이니(부니ㆍ물으니問). 
(화답하듯答, 응應하듯) 풀은 움직이드라(쓸어진다)



무유정법無有定法
우리의 본래성품(自性)은 하두 청정하여(순수무잡 眞實) =어떠한것두 정해진것것이없다
이것이야말로 진리이다?
=꿈속에서 별을찾누나
깨어라
깨지않고 꿈속에서 별을 찾고저한다면
자기와 친한이를 찾아라
=인연을찾으라=짝꿍을찾으라=소위 궁합이 맞는사람을 만나라
이렇게 인연(꿍짝이 맞는사람)을 만나면 꿈속에서의 가장 훌륭한 법을 살아가리라
왜냐하면 무유정법 이지만 정해진법이잇다면(꿈)을 잘꾸고 싶다면이다
꿍짝이맞는다=꿍과 짝이친하다=누구하고 제일로 친한가?
맹구파별盲龜跛鱉 =눈먼 거북이와 절름발이 자라가 젤 친한사이이겟다=친하게되면 옳다 그르다 是非가붙지않는다



눈앞에 놓여잇는 개천(개울)
오래전 부친을따라 친지집을 가는데 그마을가려면 개천을건너야햇다
지금은 넓직한다리가놓여잇고 뜸하지만 그다리위로는 빠쓰두 다닌다
하튼 물이불어낫을때는 아가인 나를 엎고 건느시기두하고 물이 적을때두 업구건너니 그마을 이야기가 나오면 그개천이생각난다
장마철이면 아예 갈 엄두조차 내지못햇떤 그땐그랫떤 그시절 전설의고향같다
하튼 늘 불편을주는그개천이엇다
인+연=과이다
내가 불편하다하게되는것이 과이겟고 개천은 연이되어 과=인 나의 불편은 곧 종자의일면이되엇다
근까 그치
개천만두그타
개천두 인+연에 의한결과물이다
나를 불편하게하려고 생긴것이아니다
개천은 나를 편하게도 또 불편하게두 할줄모른다
내가 씨알머리가 그래서 그런건데두 다시말해 내마음(중생심)이 불편을 만든거지(일체=유심조이댜 마음(중생심)이 만들어낸다)
내탓아니구 개천탓이다 해서 다리를놓기에이르르는데 이도 그러한 여차여차한사껀사고를연으로하여 교량건설에 이르른것이다
인과 인과 하며옛부터 지금에두 앞으로도 힘찬발전을위해 인과인과하며 살아갈것이다
인+연=과이다



여름(=경계상)에는 삐질삐질(=의태어) 겨울에는 바들바들
유록화홍柳綠花紅버들은푸르고 꽃은붉더라
계한상수 압한하수 鷄寒上樹 鴨寒下水
날씨가 주우면, 
닭은 나무위에 오르고 오리는 물에든다
남쪽에는 귤이나고 북쪽에는 탱자가난다
안횡비직眼橫鼻直
눈은가로로 놓여잇고 코는 세로로 놓여잇다
학다리 롱다리 오리다리 숏다리
학다리는 길고 오리다리는 짧다
백척사륜 직하수
일파재동 만파수
야정수한 어불식
만선공재 월명귀
긴 낚시줄을 곧게드리우니=우리마음=심種子(수연성=눈眼根으로 + 색을보고(눈의 대상물=연=경계)=안眼의식이 생긴다生=과물=우리가 형상을 보는것의 이치가 근경식이다=이때 과물인 안의식은 생주괴멸 되어가는 속성이잇으므로=안근+색경=눈이 색경을 만날뿐인것이 아니라 결과로 이어지니 안식물이生하는 속성=수연성이겟다=이과물 안식=妄識(청정심에대해 비상非相인것이다)

의식(잠재의식+분별의식)

곧게 드리우니=제6시지나 제7식 지나 제8종자식지나 불변성인 청정심 까지 드리우니 일파재동 만파수이고 夜=靜하고 水=寒 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가우니 =이도 아니고 저도 아니어 인+연 이어 =과물인 망상이고 몽상인 제6식인 분별사량인 의식이 물지를 못한다(집착을 안하지못하고 못한다)

긴 낚시줄을 곧게드리우니
쪼끔일파는 자꾸일파 이룬다
밤=고요하고 물=차가우니
고기가 물지를 않는구나(물수가없다=우리의인식生覺 밖이다)
해서, 빈배에 달빛만잔뜩싫고 돌아오누나

명사는 존재물이고 동사는그작용이겟찌요
존재물=5온5蘊(업짱業障=지혜의장애물=쇠의녹, 생피부의 상채기)=오온=색+수상행식=물질적존재+정신적존재=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5온을 비추워보니, 빵은빵인데 공갈빵이요
뿔은 뿔인데 개뿔이어라=유명무실 有名無實ㆍ이름만잇고 실체는없다= 토각귀모兎角龜毛ㆍ토끼뿔 거북털이어라 =뿔은주장자를만들고 털은 털이개로쓰는다

하튼 모든 존재물=모두 속이비운것을 본 지혜는 모든 괴로움과 곤란함으로부터 멀리 떠난다

기쁨의 비단길도 슬픔의길도 난 이제 못가요 모르고야 갓려햇찌 이젠 아는데,,

진짜루다 못가요-윤수현의 이쁜목울림 꽃길 되겟다
이쯤하면 파노라마가 흥미롭기도하겟꼬 진부하고 식상도하겟지요=몽중사夢中事
이맛을 아시나요?
이름은꽂분이 늘씬코S라인 입니다
인+연=과果=夢, 幻 요것을 인연법칙이라합니다

허공발연(생각밖) 해저생연(셍각안) 허공에서 불이나니 동시에 바다밑에서는 연기가난다(제7말라식:잠재의식)제6:분별사량식:닉네임 알음알이)식 또 업짱식 

날마다좋은 지금을산다
마음을쉬는 우리휴게실



Posted by 獨孤老人
,